지식나눔

micro/nano particle의 전하량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제가 charged nano/micro particle이 포함된 유체 유동의 해석을 하려고 하는데 입자당 전하량을 추정할 수가 없군요. 입자를 생산하는 업체에 문의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답을 보내왔습니다. CML and carboxyl particles are charged. The actual amount of charge depends on the specific batch. I am attaching our current product listings for these particle types. The listing includes the charge content for each batch. The column titled COOH(microEq/g) gives the charge content per gram of latex; COOH(microC/cm2) gives the charge in micro coloumbs per square cm of surface, assuming a monolayer of charge groups; and A2/COOH gives the amount of square surface area per charge group. 카탈로그를 보니 각 해당 값들이 제품번호별로 나와 있더군요. 여기에서 charge group은 어떤 의미를 의미하는지요? 또한 전기장하의 입자의 거동을 살피기 위하여 입자의 전하량을 고려하려면 COOH(microC/cm2)xA2(suare of angstrom)/COOH 하면 될까요? 답변 부탁합니다.
  • micro particle
  • charg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아마도 fludization 실험을 하면서 유체유동 특성을 하전량으로 파악하시려고 하시는 지요? 먼저 charge group은 쉽게 설명하면 염산(HCl)은 음이온으로 하전된 Cl minus ion 이라고 부릅니다. OH(-) 는 수산화 이온 그룹, NH3(+)는 암모니아 , COOH(-)는 아세트기로 하전된 하전기입니다. Proton은 positive charge, electron은 negative charge를 나타내고, neutron은 전기적으로 중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Carboxyl group(COOH)와 amino group(NH3) 아미노산이나 단백질내에서 charge group로 존재하여 수소를 가지고 전자를 주거나 받아서 산이나 염기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결국 하전 그룹은 분자내에 전하를 가지고 있는 분자 하전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러한 하전 그룹 정도를 측정하려면 제품을 구입하였을때 나와 있는 라텍스 g 당 COOH 하전량(전기량) COOH(microEq/g)이 있을 경우 실험시 사용한 라텍스 g 수를 측정하여 하전량은 바로 계산이 됩니다. 입자당 전하량은 COOH(microC/cm2)와 하전그룹 1 개당 면적 A2(square area/COOH) 곱하면 하전그룹 1개당 전하량은 계산이 됩니다. A가 angstrom은 의미 하는 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하전된 카르복시 입자가 단순히 유체안에서 중성으로 되는 상황이 아니고 하전체를 계속 유지한다면 위의 계산으로 바로 측정이 됩니다. 만약 반응을 하여 neutron으로 되는 경우는 그 만큼 계산에서 빼야 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이전에 입자로 유동층을 만들면서 스펙을 보고 계산한것이 생각나 올립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답변 부탁합니다. >제가 charged nano/micro particle이 포함된 유체 유동의 해석을 하려고 하는데 입자당 전하량을 추정할 수가 없군요. >입자를 생산하는 업체에 문의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답을 보내왔습니다. >CML and carboxyl particles are charged. >The actual amount of charge depends on the specific batch. I am >attaching our current product listings for these particle types. The >listing includes the charge content for each batch. The column titled >COOH(microEq/g) gives the charge content per gram of latex; >COOH(microC/cm2) gives the charge in micro coloumbs per square cm of >surface, assuming a monolayer of charge groups; and A2/COOH gives the >amount of square surface area per charge group. >카탈로그를 보니 각 해당 값들이 제품번호별로 나와 있더군요. >여기에서 charge group은 어떤 의미를 의미하는지요? 또한 전기장하의 입자의 거동을 살피기 위하여 입자의 전하량을 고려하려면 COOH(microC/cm2)xA2(suare of angstrom)/COOH 하면 될까요? >답변 부탁합니다.
    아마도 fludization 실험을 하면서 유체유동 특성을 하전량으로 파악하시려고 하시는 지요? 먼저 charge group은 쉽게 설명하면 염산(HCl)은 음이온으로 하전된 Cl minus ion 이라고 부릅니다. OH(-) 는 수산화 이온 그룹, NH3(+)는 암모니아 , COOH(-)는 아세트기로 하전된 하전기입니다. Proton은 positive charge, electron은 negative charge를 나타내고, neutron은 전기적으로 중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Carboxyl group(COOH)와 amino group(NH3) 아미노산이나 단백질내에서 charge group로 존재하여 수소를 가지고 전자를 주거나 받아서 산이나 염기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결국 하전 그룹은 분자내에 전하를 가지고 있는 분자 하전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러한 하전 그룹 정도를 측정하려면 제품을 구입하였을때 나와 있는 라텍스 g 당 COOH 하전량(전기량) COOH(microEq/g)이 있을 경우 실험시 사용한 라텍스 g 수를 측정하여 하전량은 바로 계산이 됩니다. 입자당 전하량은 COOH(microC/cm2)와 하전그룹 1 개당 면적 A2(square area/COOH) 곱하면 하전그룹 1개당 전하량은 계산이 됩니다. A가 angstrom은 의미 하는 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하전된 카르복시 입자가 단순히 유체안에서 중성으로 되는 상황이 아니고 하전체를 계속 유지한다면 위의 계산으로 바로 측정이 됩니다. 만약 반응을 하여 neutron으로 되는 경우는 그 만큼 계산에서 빼야 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이전에 입자로 유동층을 만들면서 스펙을 보고 계산한것이 생각나 올립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답변 부탁합니다. >제가 charged nano/micro particle이 포함된 유체 유동의 해석을 하려고 하는데 입자당 전하량을 추정할 수가 없군요. >입자를 생산하는 업체에 문의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답을 보내왔습니다. >CML and carboxyl particles are charged. >The actual amount of charge depends on the specific batch. I am >attaching our current product listings for these particle types. The >listing includes the charge content for each batch. The column titled >COOH(microEq/g) gives the charge content per gram of latex; >COOH(microC/cm2) gives the charge in micro coloumbs per square cm of >surface, assuming a monolayer of charge groups; and A2/COOH gives the >amount of square surface area per charge group. >카탈로그를 보니 각 해당 값들이 제품번호별로 나와 있더군요. >여기에서 charge group은 어떤 의미를 의미하는지요? 또한 전기장하의 입자의 거동을 살피기 위하여 입자의 전하량을 고려하려면 COOH(microC/cm2)xA2(suare of angstrom)/COOH 하면 될까요? >답변 부탁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