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olyethylene 구분과 가격

고분자인 Polyethylene이 있는데 고밀도 저밀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눈으로 봐서는 확인이 되지 않는데 만약 다리미로 열을 가해 유리판위에 올려서 얇은 막을 만들어 확인 할 수가 있는지요? 아니면 물에 뛰어 봐서 밀도로 아는 방법은 어떤지요? 또 하나는 PE의 보통의 가격을 1톤에 얼마정도 하는지 아시는 분 답을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Polyethylene
  • HDPE
  • LDP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성재님의 답변

    각각의 밀도가 다음과 같으니 정확한 부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정밀한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정확한 부피정보 얻는 것이 힘들면, 똑같은 질량을 가진 두종류의 Polyethylene을 언급하신데로, 물에 집어 넣어 증가하는 물의 부피로 부터 고밀도, 저밀도 Polyethylene 정보를 얻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군요. Low Density Polyethylene: 0.92 (g/cm³) High Density Polyethylene: 0.95 (g/cm³)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0.93 (g/cm³) >고분자인 Polyethylene이 있는데 고밀도 저밀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눈으로 봐서는 확인이 되지 않는데 >만약 다리미로 열을 가해 유리판위에 올려서 얇은 막을 만들어 확인 할 수가 있는지요? >아니면 물에 뛰어 봐서 밀도로 아는 방법은 어떤지요? > >또 하나는 PE의 보통의 가격을 1톤에 얼마정도 하는지 아시는 분 답을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각각의 밀도가 다음과 같으니 정확한 부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정밀한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정확한 부피정보 얻는 것이 힘들면, 똑같은 질량을 가진 두종류의 Polyethylene을 언급하신데로, 물에 집어 넣어 증가하는 물의 부피로 부터 고밀도, 저밀도 Polyethylene 정보를 얻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군요. Low Density Polyethylene: 0.92 (g/cm³) High Density Polyethylene: 0.95 (g/cm³)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0.93 (g/cm³) >고분자인 Polyethylene이 있는데 고밀도 저밀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눈으로 봐서는 확인이 되지 않는데 >만약 다리미로 열을 가해 유리판위에 올려서 얇은 막을 만들어 확인 할 수가 있는지요? >아니면 물에 뛰어 봐서 밀도로 아는 방법은 어떤지요? > >또 하나는 PE의 보통의 가격을 1톤에 얼마정도 하는지 아시는 분 답을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윤기님의 답변

    [PE의 종류별 특성 및 중합공정] ---------------------------------------------- 구분 , 사용촉매 , 밀도범위(g/cm2) , 중합공정 ---------------------------------------------- ULDPE : Methallocene , 0.880 ~ 0.900 , - VLDPE : Z-N계 , 0.900 ~ 0.920 , 고압법 LDPE : Radical개시제 , 0.910 ~ 0.925 , 고압법 LLDPE : Z-N계 , 0.915 ~ 0.940 , Slurry법 MDPE : Cr계 , 0.930 ~ 0.945 , 영액법 HDPE : Cr계 , 0.945 ~ 0.970 , 기상법 ---------------------------------------------- 자료출처: "케미즌닷컴": 회원 가입후에야 검색 가능할 것입니다. "http://www.chemizen.com/plastics/contents/techdata/meterial_pe.asp" 웹상에서 검색할 수 있는 또 다른 출처로는 다음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 [플라스틱원재료] "http://www.koreaplastic.org/pds/pe_hdpe.asp" "http://www.koreaplastic.org/pds/pe_ldpe.asp" "http://www.koreaplastic.org/pds/pe_lldpe.asp" 기준가격은 판내회사나 구매회사 마다 적용기준이 다르기에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국제가격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시중유통가격은 국제가격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현대석유화학": [시장동향]- [제품가동향]- [주간별 가격동향 리스트] http://www.seetec.com/e4cus/korean/k_tendency/km.htm 구체적인 가격이나 구매는 각 유화사의 PE영업부나 대리점으로, 기술적인 질문사항은 영업부를 통해 해당연구소로 문의하면 됩니다. 엘지화학(현대석유화학 포함), 호남석유화학, 대한유화, 한화석유화학, 삼성Atofina 등 >고분자인 Polyethylene이 있는데 고밀도 저밀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눈으로 봐서는 확인이 되지 않는데 >만약 다리미로 열을 가해 유리판위에 올려서 얇은 막을 만들어 확인 할 수가 있는지요? >아니면 물에 뛰어 봐서 밀도로 아는 방법은 어떤지요? > >또 하나는 PE의 보통의 가격을 1톤에 얼마정도 하는지 아시는 분 답을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PE의 종류별 특성 및 중합공정] ---------------------------------------------- 구분 , 사용촉매 , 밀도범위(g/cm2) , 중합공정 ---------------------------------------------- ULDPE : Methallocene , 0.880 ~ 0.900 , - VLDPE : Z-N계 , 0.900 ~ 0.920 , 고압법 LDPE : Radical개시제 , 0.910 ~ 0.925 , 고압법 LLDPE : Z-N계 , 0.915 ~ 0.940 , Slurry법 MDPE : Cr계 , 0.930 ~ 0.945 , 영액법 HDPE : Cr계 , 0.945 ~ 0.970 , 기상법 ---------------------------------------------- 자료출처: "케미즌닷컴": 회원 가입후에야 검색 가능할 것입니다. "http://www.chemizen.com/plastics/contents/techdata/meterial_pe.asp" 웹상에서 검색할 수 있는 또 다른 출처로는 다음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 [플라스틱원재료] "http://www.koreaplastic.org/pds/pe_hdpe.asp" "http://www.koreaplastic.org/pds/pe_ldpe.asp" "http://www.koreaplastic.org/pds/pe_lldpe.asp" 기준가격은 판내회사나 구매회사 마다 적용기준이 다르기에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국제가격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시중유통가격은 국제가격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현대석유화학": [시장동향]- [제품가동향]- [주간별 가격동향 리스트] http://www.seetec.com/e4cus/korean/k_tendency/km.htm 구체적인 가격이나 구매는 각 유화사의 PE영업부나 대리점으로, 기술적인 질문사항은 영업부를 통해 해당연구소로 문의하면 됩니다. 엘지화학(현대석유화학 포함), 호남석유화학, 대한유화, 한화석유화학, 삼성Atofina 등 >고분자인 Polyethylene이 있는데 고밀도 저밀도 두가지가 있습니다. > >눈으로 봐서는 확인이 되지 않는데 >만약 다리미로 열을 가해 유리판위에 올려서 얇은 막을 만들어 확인 할 수가 있는지요? >아니면 물에 뛰어 봐서 밀도로 아는 방법은 어떤지요? > >또 하나는 PE의 보통의 가격을 1톤에 얼마정도 하는지 아시는 분 답을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철종님의 답변

    눈으로도 어느정도 확인 됩니다. 대개 저밀도 PE 는 얇은 필름상으로 만들어지고 꽤 투명한 반면 고밀도 PE 는 필름상이라기 보단 Sheet 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운 편이고 불투명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필름을 양축으로 잡고 죽 당겼을때, LDPE 는 연신되면서 결정화가 일어나 불투명해지는 반면, HDPE 는 원래 결정화되어 있어 더이상 불투명해지지 않습니다. PE 톤당 가격은 작년 7월 기준으로 LDPE 는 655 달러, HDPE 는 595 달러 였네요.
    눈으로도 어느정도 확인 됩니다. 대개 저밀도 PE 는 얇은 필름상으로 만들어지고 꽤 투명한 반면 고밀도 PE 는 필름상이라기 보단 Sheet 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운 편이고 불투명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필름을 양축으로 잡고 죽 당겼을때, LDPE 는 연신되면서 결정화가 일어나 불투명해지는 반면, HDPE 는 원래 결정화되어 있어 더이상 불투명해지지 않습니다. PE 톤당 가격은 작년 7월 기준으로 LDPE 는 655 달러, HDPE 는 595 달러 였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