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수소(2mol)+산소(1mole)혼합가스의 비중계산 방법 요청

수소(2mol)+산소(1mole)혼합가스의 비중을 계산하고 싶습니다. 각각의 순수 비중은 1) 수소비중 ; 액체 ; 1.41g/cm3 @ -183 celcius 2) 산소비중 ; 애게 ; 0.0709 g/cm3 @ -252.7 celcius 과 같지만 두기체의 혼합비, 수소:산소= 2:1일때의 비중계산은? 알려주세요. 아마 이 혼합기체에 대한 경험(곡선)data에 따른 값이 있을것 같은데요.....
  • specific gravity
  • specific volume
  • dens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정호님의 답변

    경험곡선을 찾는것보다는 상태방정식(Equation of State,EOS) 의 이용이 더 바람직합니다. 추천할만한 상태방정식으로는 Peng-Robinson EOS 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만, 님의 혼합계가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이므로 보다 간단하고 손쉬운 계산방법, 예를 들어 비리얼방정식이라던가 그밖에 학부수준의 텍스트 (물리화학, 화공열역학 등)에 나온 상태방정식을 이용하더라도 Peng-Robinson EOS 사용과 큰 차이가 없을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계산을 위해 알아야 하는 데이터는 압력과 온도 그리고 조성비이며, 선택한는 EOS 에 따라 binary interaction parameter 와 각 순수기체의 임계특성치등이 유도되는 프로퍼티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참고할만한 순수성분 데이터베이스는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었으면 합니다. http://webbook.nist.gov/chemistry/ >수소(2mol)+산소(1mole)혼합가스의 비중을 계산하고 싶습니다. > >각각의 순수 비중은 >1) 수소비중 ; 액체 ; 1.41g/cm3 @ -183 celcius >2) 산소비중 ; 애게 ; 0.0709 g/cm3 @ -252.7 celcius >과 같지만 > >두기체의 혼합비, 수소:산소= 2:1일때의 비중계산은? > >알려주세요. 아마 이 혼합기체에 대한 경험(곡선)data에 따른 값이 있을것 같은데요..... > >
    경험곡선을 찾는것보다는 상태방정식(Equation of State,EOS) 의 이용이 더 바람직합니다. 추천할만한 상태방정식으로는 Peng-Robinson EOS 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만, 님의 혼합계가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이므로 보다 간단하고 손쉬운 계산방법, 예를 들어 비리얼방정식이라던가 그밖에 학부수준의 텍스트 (물리화학, 화공열역학 등)에 나온 상태방정식을 이용하더라도 Peng-Robinson EOS 사용과 큰 차이가 없을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계산을 위해 알아야 하는 데이터는 압력과 온도 그리고 조성비이며, 선택한는 EOS 에 따라 binary interaction parameter 와 각 순수기체의 임계특성치등이 유도되는 프로퍼티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참고할만한 순수성분 데이터베이스는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었으면 합니다. http://webbook.nist.gov/chemistry/ >수소(2mol)+산소(1mole)혼합가스의 비중을 계산하고 싶습니다. > >각각의 순수 비중은 >1) 수소비중 ; 액체 ; 1.41g/cm3 @ -183 celcius >2) 산소비중 ; 애게 ; 0.0709 g/cm3 @ -252.7 celcius >과 같지만 > >두기체의 혼합비, 수소:산소= 2:1일때의 비중계산은? > >알려주세요. 아마 이 혼합기체에 대한 경험(곡선)data에 따른 값이 있을것 같은데요.....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