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재조합 효모에서 sonication하여 목적 단백질을 분리 할려고 하는데요..

yeast에서 sonication할려고 하는데...어떤 buffer를 사용 해야 하며, sonication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알고 싶습니다.. 관련 논문을 찾아 보았지만 쉽게 찾을 수도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엇습니다..혹시 관련 논문을 가지고 계신 분 있음 꼭 좀 부탁드립니 다.
  • yeast
  • bacterioc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단백질 추출을 목적으로 실험을 하려 하시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 (DNA, 다른 biomolecule 추출?)로 lysis를 하시런지를 조금 더 자세히 알려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yeast strain 명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Sonicator가 회사 제품마다 setting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Packed cell volume 및 buffer volume, yeast의 growth 상태에 따라 carbohydrate cell wall의 rigidity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단백질 추출을 목적으로 실험을 하려 하시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 (DNA, 다른 biomolecule 추출?)로 lysis를 하시런지를 조금 더 자세히 알려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yeast strain 명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Sonicator가 회사 제품마다 setting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Packed cell volume 및 buffer volume, yeast의 growth 상태에 따라 carbohydrate cell wall의 rigidity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성일님의 답변

    >단백질 추출을 목적으로 실험을 하려 하시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 (DNA, 다른 biomolecule 추출?)로 lysis를 하시런지를 조금 더 자세히 알려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yeast strain 명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개인적인 견해로는 Sonicator가 회사 제품마다 setting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Packed cell volume 및 buffer volume, yeast의 growth 상태에 따라 carbohydrate cell wall의 rigidity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 > pYD1-Leucocin A라는 균주로써 박테리오신을 세포막 근처에서 응축 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secreted되지 못하여서 sonicator 기계를 이용하여 파쇄후 목적물질을 분리 하여 항균 활성을 알아 볼려고 합니다.이에 관련되어 있는 논문을 찾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답니다.
    >단백질 추출을 목적으로 실험을 하려 하시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 (DNA, 다른 biomolecule 추출?)로 lysis를 하시런지를 조금 더 자세히 알려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yeast strain 명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개인적인 견해로는 Sonicator가 회사 제품마다 setting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Packed cell volume 및 buffer volume, yeast의 growth 상태에 따라 carbohydrate cell wall의 rigidity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 > pYD1-Leucocin A라는 균주로써 박테리오신을 세포막 근처에서 응축 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secreted되지 못하여서 sonicator 기계를 이용하여 파쇄후 목적물질을 분리 하여 항균 활성을 알아 볼려고 합니다.이에 관련되어 있는 논문을 찾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Biologics (http://www.biologics-inc.com) 홈페이지에서 Ultrasonic homogenizer를 찾아보시면 application note가 있는데 그 곳에 sonication 조건을 정리를 해 두 곳이 있긴 한데 도움이 될 지는 모르겠네요. 근데 일반적으로는 yeast 파쇄시 sonication 방법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cell wall이 잘 안되고 만약 되는 정도의 조건이라면 단백질 변성이 문제가 될것 같은데요...) 주로 glass bead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bead beater 나 pressure를 이용하는 French press, 또는 enzymatic lysis, 아님 요즘 merck나 pierce등에서 출시한 lysis solution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Biologics (http://www.biologics-inc.com) 홈페이지에서 Ultrasonic homogenizer를 찾아보시면 application note가 있는데 그 곳에 sonication 조건을 정리를 해 두 곳이 있긴 한데 도움이 될 지는 모르겠네요. 근데 일반적으로는 yeast 파쇄시 sonication 방법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cell wall이 잘 안되고 만약 되는 정도의 조건이라면 단백질 변성이 문제가 될것 같은데요...) 주로 glass bead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bead beater 나 pressure를 이용하는 French press, 또는 enzymatic lysis, 아님 요즘 merck나 pierce등에서 출시한 lysis solution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yeast에서 sonication할려고 하는데...어떤 buffer를 사용 해야 하며, > >sonication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알고 싶습니다.. > >관련 논문을 찾아 보았지만 쉽게 찾을 수도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 >되엇습니다..혹시 관련 논문을 가지고 계신 분 있음 꼭 좀 부탁드립니 > >다. ============================================= Yeast의 세포벽 파괴에는 기계적 파괴법, 화학적 가수분해법, 효모 세포벽 용균효소를 이용하는 방법, autolysis시키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다음 논문에서 보시면 Yeast의 세포 파괴에 대한 방법이 있습니다. 1. Appl. Environ. Microbiol. 55:116-124(1989) 2. J. Gen. Microbiol. 115:173-183 (1979) 3. J. Agric. Food. Chem. 43:1396-1399(1995) 4. J. Appl. Bacteriol. 59:243-255(1985) 5. Biotechnol. Lett. 5:731-736(1983) 6. Biotechnol. Lett. 6:247-250(1984)
    >yeast에서 sonication할려고 하는데...어떤 buffer를 사용 해야 하며, > >sonication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알고 싶습니다.. > >관련 논문을 찾아 보았지만 쉽게 찾을 수도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 >되엇습니다..혹시 관련 논문을 가지고 계신 분 있음 꼭 좀 부탁드립니 > >다. ============================================= Yeast의 세포벽 파괴에는 기계적 파괴법, 화학적 가수분해법, 효모 세포벽 용균효소를 이용하는 방법, autolysis시키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다음 논문에서 보시면 Yeast의 세포 파괴에 대한 방법이 있습니다. 1. Appl. Environ. Microbiol. 55:116-124(1989) 2. J. Gen. Microbiol. 115:173-183 (1979) 3. J. Agric. Food. Chem. 43:1396-1399(1995) 4. J. Appl. Bacteriol. 59:243-255(1985) 5. Biotechnol. Lett. 5:731-736(1983) 6. Biotechnol. Lett. 6:247-250(198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