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0-05
org.kosen.entty.User@14cd3bc4
곽계영(gykwak)
- 3
요즘 석유가및 원료가가 급등하고 있는데요.
천연가스를 처리하여 물질를 합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및 공급 전망을 단기및 장기적으로 예측한 자료를 구하고자 합니다.또한 예상가격 추이에 대한 자료도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석유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대체에너지인 천연가스도 상승하지 않을 수 없을텐데요.
5년 혹은 10년 후의 석유및 천연가스 매장량에 따른 가격 예상치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를 얻고자 합니다.
또한 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는 석유과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특히 천연가스에 대해서 향후 수급 방법에 대한 계획이나 자료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들면 러시아의 가스전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국내로 연결하는 작업이 어느 시점까지 도달했는지 알고 싶네요. 이부분은 정치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차후 대량의 천연가스를 수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견을 부탁드랍니다.
그럼 건승하십시오.
- LPG
- Methane
- Petroleu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4-10-05- 0
국내외 에너지 동향 및 전망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다음 사이트에 가시면 에너지 수급 동향과 수급 현황/소비에 대한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mocie.go.kr/upload/statistics/total_statistical_list.asp?page=1&recode=10&mode=0&keyfield=sta_title&key=에너지&startday=&endday= 첨부한 것은 샘플입니다. 그리고 에너지 경제 연구원 홈페이지에 가시면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keei.re.kr/index.html =================================================================== 요즘 석유가및 원료가가 급등하고 있는데요. > 천연가스를 처리하여 물질를 합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현재 세계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및 공급 전망을 단기및 장기적으로 예측한 자료를 구하고자 합니다.또한 예상가격 추이에 대한 자료도 알고 싶습니다. > > 일반적으로는 석유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대체에너지인 천연가스도 상승하지 않을 수 없을텐데요. > 5년 혹은 10년 후의 석유및 천연가스 매장량에 따른 가격 예상치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를 얻고자 합니다. > > 또한 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는 석유과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특히 천연가스에 대해서 향후 수급 방법에 대한 계획이나 자료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들면 러시아의 가스전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국내로 연결하는 작업이 어느 시점까지 도달했는지 알고 싶네요. 이부분은 정치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차후 대량의 천연가스를 수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견을 부탁드랍니다. > > 그럼 건승하십시오. > > -
답변
백기태님의 답변
2004-10-05- 0
에너지 경제 신문기사입니다. 에너지 경제연구원 홈페이지에 가셔도 자료가 있습니ㅏㄷ. 국제 가스연맹 회장 George H.B. Verberg LNG, 앞으로 20년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 천연가스는 환경친화성, 이용자의 편리성 및 공급사업자에 대한 확실한 경제성 등 세 가지 면에서 현재 세계에서 최적의 연료로 꼽히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 시 천연가스는 탄산가스를 가장 적게 배출해 석유보다 50%, 석탄보다 80% 낮은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향후 10년간 천연가스 산업에 대한 전망은 매우 밝다. 앞으로 15∼20년에 걸쳐 세계 전체 에너지 수요는 연간 1.7% 정도씩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천연가스의 증가율은 이 보다 높은 연 2.4%의 빠른 증가가 확실시된다. 특히 LNG수요는 가장 빠른 증가폭을 보여 연 평균 7.5%의 높은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같은 이유로 LNG가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의 가스산업에 있어서 LNG는 태평양 연안지역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대단히 중요한 하나의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2002년도에 한국, 일본, 대만이 전 세계 LNG 수입의 68%를 차지했다는 것은 매우 특기할 일이다. 2002년 미국은 전 세계 LNG 수입의 약 4%, 유럽은 나머지 28%를 차지했다. 향후 10년 LNG 수요증가는 세계 가스시장에 심대한 영향을 미쳐 확실히 그 시장형태를 바꾸게 될 것이다. 현재는 아직 세계 가스시장 (global gas market) 이라는 것이 없다. 실제는 3대 가스수요지역(태평양 연안지역, 북미대륙, 유럽)과 3대 가스 수출지역(러시아, 중동, 동남아)만 있을 뿐이다. 수요지역과 공급지역간의 가스 교역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장기 “Take or Pay“ 계약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러한 계약형태는 LNG를 포함해 가스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이는 가스 급자와 수입자간 가격과 계약 량의 손실위험성을 나누어 갖는 훌륭한 하나의 방법이다. 이에 비해 단기 거래는 예외적인 것이며 가스 수요지역들 간에는 가스(또는 LNG)의 교역은 거의 없는 실정이며 또 상이한 가스지역간에는 가격 조정도 거의 없다. 그러나 이같은 형태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의 급속한 가스수요의 증가는 서로 다른 전통적인 가스수요와 수출의 두 지역을 LNG시장으로 몰아가고 있다. 유럽은 이미 많은 양의 LNG를 수입해 오고 있었기 때문에 이 단계가 별로 극적이지 않지만 미국에게는 근본적인 변화이다. LNG는 얼마 전까지 미국 가스시장에서 미미한 규모이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지만 LNG 도입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러한 변화는 세계 LNG 시장에 분명히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고 이어서 세계 천연가스시장을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최근까지 태평양 연안지역은 LNG를 중동의 동쪽과 동남아지역에서만 공급받아 왔고 유럽은 지중해와 대서양의 생산지에서 LNG를 도입해 왔으며 파이프라인 가스는 러시아와 노르웨이에서 수입하고 있다. 북미대륙은 최근까지 거의 자급자족해 온 실정이다. 지역으로 나눠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던 것이 LNG시장으로 바뀌는 이러한 커다란 변화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과로 발전할 것이다. 첫째 유럽과 태평양 연안지역에서는 전통적인 자기의 구매지역에서 미국 구매력의 위력을 느끼게 될 것이 분명하다. 벌써 호주의 에너지 담당 장관이 미국으로 상당량의 LNG를 수출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바 있다. 미국에 공급되는 양 만큼 태평양 연안지역에는 LNG 공급이 안 될 것이다. 당분간은 세계 다른 곳에 다소 과잉 물량이 있어 미국으로의 공급이 별 문제가 안될 전망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남아 지역에서 LNG의 생산설비를 확장하려는 중요한 계획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또한 LNG는 에너지의 한 부문으로서 중국에게 있어 산업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에너지 필요량에 있어 거의 한계가 없는 큰 잠재시장이다. 미국 역시 유럽에 대한 전통적인 LNG 공급처인 대서양과 지중해의 LNG 수출업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 또한 유럽인들은 미국 가스사업자들을 자기들의 LNG 경쟁자로서 만나게 될 것이다. 중동의 공급지역은 태평양 연안지역, 유럽, 북미의 3대 가스수요지역에 LNG를 공급하기 위해 경쟁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 변화는 LNG 시장에서 단기 계약이 차츰 나타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단기 계약이 앞으로 오랫동안 장기 계약을 모두 대신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확실히 계약의 일부가 될 것이고 이는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세 번째 변화는 셋 이상 또는 이하의 분리된 가스수요지역간에 단기교역이 일어나는 것을 보게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던 가격 조정이 행해질 것이다. 종국에는 현재는 알 수 없는 3개의 가스수요지역간 가격관계 (price relationship)를 가져올 것이다. 이같은 나의 주장에 대해 오해하지는 말아 주길 바란다. 나는 세계가스시장이 이같은 방향으로의 발전이나 변화가 가시적으로 당장 일어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10년 아니면 20년 이내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세계에서의 발전에 비춰보면 이는 오히려 짧은 기간인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모두의 앞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한국가스산업계에 있는 나의 친구들로부터 알아 온 바를 종합해보면 나는 그들이 이러한 변화들에 적절히 대응할 것을 확신하며 한국 가스산업의 커다란 발전과 밝은 장래를 기대한다. 정리=김호경대기자<2004.2.9> -
답변
권옥배님의 답변
2004-10-06- 0
안녕하세요..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에서 근무하는 선임연구원 권옥배입니다. 귀하께서 얻고자 하는 자료는 우리공사 www.kogas.or.kr로 들어오시면 천연가스에 관한 자료는 상당량이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리고 부족한 자료가 있으시면 산업자원부(http://www.mocie.go.kr/)나 석유공사 홈페이지에 가시면 어느정도 만족한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혹시라도 천연가스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항이 있으시다면 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제 이메일주소는 ref_kwon@kogas.re.kr입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 요즘 석유가및 원료가가 급등하고 있는데요. > 천연가스를 처리하여 물질를 합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현재 세계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및 공급 전망을 단기및 장기적으로 예측한 자료를 구하고자 합니다.또한 예상가격 추이에 대한 자료도 알고 싶습니다. > > 일반적으로는 석유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대체에너지인 천연가스도 상승하지 않을 수 없을텐데요. > 5년 혹은 10년 후의 석유및 천연가스 매장량에 따른 가격 예상치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를 얻고자 합니다. > > 또한 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는 석유과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특히 천연가스에 대해서 향후 수급 방법에 대한 계획이나 자료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들면 러시아의 가스전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국내로 연결하는 작업이 어느 시점까지 도달했는지 알고 싶네요. 이부분은 정치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차후 대량의 천연가스를 수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견을 부탁드랍니다. > > 그럼 건승하십시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