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0-18
org.kosen.entty.User@7088b074
박병준(natures)
- 4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을 소결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결하기 전에 여러 분말을 혼합하는데, 이 공정이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의 혼합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생산이 완료된 제품의 상태로 판단을 하고 있으나,
원료 준비부터 확인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량품을 양산할 가능성 마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말이 제대로 mixing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는데,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분말은 10㎛ 이하의 미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Ball Mill을 이용하여 mixing 하고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KOSEN 이외의 제 연락처는 natures2@korea.com 입니다.
- powder
- mixing
- tes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4-10-18- 0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을 소결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결하기 전에 여러 분말을 혼합하는데, 이 공정이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의 혼합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생산이 완료된 제품의 상태로 판단을 하고 있으나, >원료 준비부터 확인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량품을 양산할 가능성 마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말이 제대로 mixing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는데,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분말은 10㎛ 이하의 미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Ball Mill을 이용하여 mixing 하고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KOSEN 이외의 제 연락처는 natures2@korea.com 입니다. >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화장품쪽에서 “화장품용 미분체 혼합공정에서의 분산특성“연구에 관한 보고서가 있습니다. 단계별 미분의 혼합 정도, 혼합시 색깔과의 관계등을 통해 혼합 공정을 확인하는 방법등에 대한 자료가 있습니다.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scsk/1993/T00501043495.tif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위의 보고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답변
강형석님의 답변
2004-10-19- 0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을 소결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결하기 전에 여러 분말을 혼합하는데, 이 공정이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의 혼합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생산이 완료된 제품의 상태로 판단을 하고 있으나, >원료 준비부터 확인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량품을 양산할 가능성 마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말이 제대로 mixing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는데,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분말은 10㎛ 이하의 미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Ball Mill을 이용하여 mixing 하고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KOSEN 이외의 제 연락처는 natures2@korea.com 입니다. > 질문을 찬찬이 읽어보니 in situ로 바로 가능한 분석법이 있는지 물어보시는 것 같습니다만, 그런 분석법은 짤은 지식으로 저도 들어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답변이라기보다는 한가지 코멘트를 달아볼까 합니다. in situ로 가능한 분석법은 아닙니다만, 밀링으로부터 만들어진 입자라면 sem 같은 시각적 방법을 통해서는 제대로 혼합되었는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 같고, sem과 함께 보통 부착되어 있는 EDS나 WDS같은 장비를 확인하는 것은 어떨까 합니다. 제조된 혼합시료가 10um 미만이라고 하시니 시료의 각 부분부분별로 eds나 wds로 측정해서 얻어진 원소분석값을 비교해본다면 혼합정도의 정성적 분석은 가능하지 않을까도 싶네요. 만약 아주 균일하게 혼합되었다면 원소분석치는 부분마다 다 똑같겠지요. (eds or wds에 의한 여러 부분별 원소분석) vs (소결에 의해 제조된 샘플의 상태)에 대한 경험적 데이타가 수반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불균일성이 아주 작은 입경 영역(<100 nm)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라면 이런 방법도 별 도움은 안될것 같습니다. sem 장비가 focusing하는 게 그 정도까지는 못될테니, 불균일한 샘플도 부분부분마다 다 똑같은 원소분석치를 보일테니까요. 참고로 eds는 널렸지만 wds는 저도 잘 보지 못했는데, wds가 정량분석에는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답변
신찬식님의 답변
2004-10-20- 0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을 소결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결하기 전에 여러 분말을 혼합하는데, 이 공정이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의 혼합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생산이 완료된 제품의 상태로 판단을 하고 있으나, >원료 준비부터 확인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량품을 양산할 가능성 마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말이 제대로 mixing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는데,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분말은 10㎛ 이하의 미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Ball Mill을 이용하여 mixing 하고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KOSEN 이외의 제 연락처는 natures2@korea.com 입니다. > 현재로써는 뚜렷한 방법이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mixing확인하는 방법중이 하나가 간단하게 쓸수 있는것은 분말 유동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비록 시간이 정확하지 않을수 있지만 1/100초 단위로 측정하여 편차가 심하게 발생한다면 제대로 mixing되지 않을수 있으니 참고 하시길... 두번째 방법은 성분 분석기로 이용하는 방법인데 이것은 소결공정까지 진행후 확인하는 방법으로 C/S분석기 같은 장비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두 성분은 최소한 0.01%까지 측정할수 있으니까 좋겠지요.. 단, 소결과정중에 CO2분석기가 제대로 작동되어 있다면 유용한것입니다. -
답변
김치구님의 답변
2004-10-28- 0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을 소결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소결하기 전에 여러 분말을 혼합하는데, 이 공정이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분말의 혼합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생산이 완료된 제품의 상태로 판단을 하고 있으나, >원료 준비부터 확인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량품을 양산할 가능성 마저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말이 제대로 mixing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는데,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참고로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분말은 10㎛ 이하의 미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Ball Mill을 이용하여 mixing 하고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KOSEN 이외의 제 연락처는 natures2@korea.com 입니다. 저도 2번째 답변 하신분과 유사한 의견 입니다. 저도 compounding 개발 업무를 담당 하고 있습니다. 같은 고민이 있지요.. 첨가제로 사용되는 소량 배합되는 ingredient를 선정하여 잘 분산된 여부를 보기 위해 XRF 로 분석해 보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생산 QC 용으로도 가능 하며 이때 오차 범위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