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1-01
org.kosen.entty.User@789114a7
성진욱(cermetal)
- 1
안녕하세요
OLED용 대면적 encapsulation을 위한 방법 및 최근동향 그리고 물질에 관한 정보를 갖고 계신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그럼 부탁드리겠습니다.
- large substrate
- encapsulation
- OLE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4-11-01- 0
>안녕하세요 > >OLED용 대면적 encapsulation을 위한 방법 및 최근동향 그리고 물질에 관한 정보를 갖고 계신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그럼 부탁드리겠습니다. ========================= OLED 관련 국내 특허 분석 파일을 첨부해 드립니다. ======================== 2. 유기 EL 생산 기술 97년에 처음으로 일본의 Pioneer가 유기 EL의 상업화에 시작한 이후, 작년에 약 2억불의 시장이 형성되었다. 유기 EL은 지금까지 2인치 이하의 멀티 컬러 제품에 사용되었다. PM 형의 유기 EL이 작년부터 휴대폰의 sub창에 본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2003년 초부터는 DSC 디스플레이로 AMOLED를 SK가 상업화에 성공하였으나 아직까지 생산량은 많지 않다. 이러한 상업화 추세를 미루어 볼 때에 앞으로 3-4년 동안은 주로 2-5 인치 급의 AM유기 EL의 상업화에 대부분의 업체가 주력할 전망이다. 2인치 이상의 제품은 주로 AM제품이 응용될 전망이다. 여기서 AM backplane응 어떻게 제작하는가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는 각 사의 현존하는 시설을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Excimer laser를 이용하는 방식은 균일도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비정질 실리콘을 이용한 backplane, SPC 결정화 (MIC, MILC, MICC포함) 에 의한 폴리 실리콘 backplane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 유기 EL 제품의 발전 전망은? Kodak에서 개발한 단분자를 기초로 하는 유기 EL 소자와, CDT, Dow 등의 고분자를 기초로 하는 고분자 LED 모두가 크게 발전하였다. 여기에 인광을 기초로 하는 PHOLED에 대한 연구 개발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 분야의 효율 및 수명이 크게 개선 되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인광 물질이 점차 가장 유망한 유기 EL 재료로 표준화되고 있다. 인광 물질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낮은 구동 전압과 낮은 구동 전류로 밝은 빛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값싼 비정질 실리콘 backplane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유기 EL의 산업화는 결국 재료와 장비 기술에 크게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산업화는 재료를 수입하고 공정 기술을 확보하여 시장을 조기 확보하는 쪽으로 가고 있다. 이는 TFT-LCD와 비슷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 유기 EL이 휴대용으로는 시장에서 LCD와 경쟁할 수 있지만, TV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소형이라도 유기 EL TV가 시장에서 LCD와 경쟁을 하기 시작하면 LCD업체들은 대부분 생산 라인을 유기 EL 라인으로 개조할 것이다. 4. 유기 EL과 TFT-LCD의 경쟁은? 유기 EL과 TFT-LCD의 경쟁관계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그러나 유기 EL의 시장은LCD의 1% 정도로 (작년 기준) 두가지 디스플레이를 직접 비교할 수 없다. 1983년에 TFT-LCD가 처음으로 상업화 되었을 때와 같이 유기 EL은 아주 초기 단계라고 생각한다. 즉, 상업화 측면에서는 20년의 차이가 있다. 유기 EL이 소형 mobile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이용된 후에, 지금부터 5-10년 후에 10인치 급의 TV분야에 본격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어 TFT-LCD와 경쟁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유기 EL의 성공은 어떠한 응용 제품으로 TFT-LCD와 경쟁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TFT-LCD에서 가장 투자가 많은 TFT array 장비를 유기 EL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기 EL 전문 업체와 TFT-LCD 업체와의 협력 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5. 한국 기업의 경쟁력은? TFT-LCD 생산 1,2위가 한국 업체이고 이들 업체는 금년에 6조원의 매출과 1조원의 순익을 달성할 전망이다. 유기 EL의 AM 생산 기술은 국이 최고의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 물질, 소자 구조, encap, 구동 회로, 화소 회로 분야에서는 일본, 미국 및 유럽이 한국에 앞서 있다. 유기 El의 생산 기술도 TFT-LCD와 마찬 가지로 한국이 최고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유기 EL 관련 대부분의 원천 기술이 외국에 있기 때문에 한국과의 특허 전쟁이 한국에서의 대량 생산을 크게 위협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현단계에서는 다각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