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rotein kinase C inhibitor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PKC의 specific inhibitor를 구입하려는데 궁금하게 있어서 도움 요청합니다. isoform에 따른 specific한 inhibitor를 구입하려고 하니 각각의 pseudosubtrate inhibitor들이 있는데, pseudosubtrate inhibitor와 myristoylated가 붙은 inhibitor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Myristoylated가 붙음으로써 cell-permeable inhibitor라는 것은 알겠는데 좀더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PK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저도 permeability의 차이로 알고 있습니다. pseudosubtrate inhibitor는 membrane permeability가 낮기 때문에 in vitro assay system 이나 permeabilized cell assay system에만 제한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PKC inhibition의 physiological meaning을 연구하기에는 제약이 많기 때문에 cell-permeable inhibitor를 사용하여 세포수준에서 PKC의 활성과 phenomenon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의문을 가지는 것은 실험을 하게 되면 특정조건하에서 PKC의 활성을 보고 downstream 단백질의 여러 활성을 추적하고 결국 이러한 세포경로가 어떠한 세포현상과 연결되는지를 규명하는 방향인데요... 결국 specific inhibitor를 이용한다는 건 loss-of-function(activity)을 살핌으로 활성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인데 과연 특정 조건하에서 myristoylated inhibitor의 transport level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inhibition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요...간단치는 않겠죠 이를 증명하는 것이... 또한, 특정 조건에서 peptide inhibitor의 degradation 등을 포함한 inactivation rate의 차이가 나지 않아야 겠죠... 이와 더불어 세포에 들어간 peptide inhibitor 가 특정 조건에서 gain-of-function의 역할을 하면 더더욱 곤란하겠죠(이는 peptide 서열이 차이가 나는 inhibitor를 사용하면 어느정도 무마되겠죠)... 여기에 대해서 어떤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첨부한 논문을 많이 인용하는데요 혹시나 싶어 첨부합니다... 하시는 일 잘되시길 바라고 좀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시면 저한테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PKC의 specific inhibitor를 구입하려는데 궁금하 있어서 도움 요청합니다. >isoform에 따른 specific한 inhibitor를 구입하려고 하니 각각의 pseudosubtrate inhibitor들이 있는데, pseudosubtrate inhibitor와 myristoylated가 붙은 inhibitor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Myristoylated가 붙음으로써 cell-permeable inhibitor라는 것은 알겠는데 좀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저도 permeability의 차이로 알고 있습니다. pseudosubtrate inhibitor는 membrane permeability가 낮기 때문에 in vitro assay system 이나 permeabilized cell assay system에만 제한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PKC inhibition의 physiological meaning을 연구하기에는 제약이 많기 때문에 cell-permeable inhibitor를 사용하여 세포수준에서 PKC의 활성과 phenomenon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의문을 가지는 것은 실험을 하게 되면 특정조건하에서 PKC의 활성을 보고 downstream 단백질의 여러 활성을 추적하고 결국 이러한 세포경로가 어떠한 세포현상과 연결되는지를 규명하는 방향인데요... 결국 specific inhibitor를 이용한다는 건 loss-of-function(activity)을 살핌으로 활성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인데 과연 특정 조건하에서 myristoylated inhibitor의 transport level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해야만 inhibition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요...간단치는 않겠죠 이를 증명하는 것이... 또한, 특정 조건에서 peptide inhibitor의 degradation 등을 포함한 inactivation rate의 차이가 나지 않아야 겠죠... 이와 더불어 세포에 들어간 peptide inhibitor 가 특정 조건에서 gain-of-function의 역할을 하면 더더욱 곤란하겠죠(이는 peptide 서열이 차이가 나는 inhibitor를 사용하면 어느정도 무마되겠죠)... 여기에 대해서 어떤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첨부한 논문을 많이 인용하는데요 혹시나 싶어 첨부합니다... 하시는 일 잘되시길 바라고 좀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시면 저한테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PKC의 specific inhibitor를 구입하려는데 궁금하 있어서 도움 요청합니다. >isoform에 따른 specific한 inhibitor를 구입하려고 하니 각각의 pseudosubtrate inhibitor들이 있는데, pseudosubtrate inhibitor와 myristoylated가 붙은 inhibitor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Myristoylated가 붙음으로써 cell-permeable inhibitor라는 것은 알겠는데 좀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허경선님의 답변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다시올렸습니다. ^^
    다시올렸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