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u, Fe 등의 금속과 그 산화물의 전기전도도

Cu, Fe 등은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CuO, Cu2O, Cu2O3, FeO, Fe2O3 등의 각 금속산화물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1. 각 산화물의 산화수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관련한 표 또는 자료를 찾을수 있을까요? 2. 아니면 각 산화수에 따라 어느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는지 이론적으로 계산할수가 있을까요?
  • conductiv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첨부해 드리는 자료는 Electrical Conductivity of Aqueous Solution라는 자료로서 International Critical Tables of Numerical Data, Physics, Chemistry and Technology라는 text에 나오는 것 입니다. 그리고 기타 물질의 물리적 성질(Find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에 대한 자료를 찾아 보실려면 다음 사이트에 들어 가시면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http://www.library.vanderbilt.edu/science/property.htm >Cu, Fe 등은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CuO, Cu2O, Cu2O3, FeO, Fe2O3 등의 각 금속산화물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1. 각 산화물의 산화수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관련한 표 또는 자료를 찾을수 있을까요? >2. 아니면 각 산화수에 따라 어느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는지 이론적으로 계산할수가 있을까요?
    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첨부해 드리는 자료는 Electrical Conductivity of Aqueous Solution라는 자료로서 International Critical Tables of Numerical Data, Physics, Chemistry and Technology라는 text에 나오는 것 입니다. 그리고 기타 물질의 물리적 성질(Find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에 대한 자료를 찾아 보실려면 다음 사이트에 들어 가시면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http://www.library.vanderbilt.edu/science/property.htm >Cu, Fe 등은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CuO, Cu2O, Cu2O3, FeO, Fe2O3 등의 각 금속산화물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1. 각 산화물의 산화수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관련한 표 또는 자료를 찾을수 있을까요? >2. 아니면 각 산화수에 따라 어느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는지 이론적으로 계산할수가 있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황민영님의 답변

    첨부해 주신 자료는 수용액의 전기전도도이군요. 이것도 필요한 자료이며 감사를 드립니다. 추천 해주신 사이트에 자료가 많더군요. 계속 찾고 있는데 처음에 질문드린, 금속산화물의 자료는 아직 못찾았습니다. 혹시 있으신분은 추가로 부탁 드립니다.
    첨부해 주신 자료는 수용액의 전기전도도이군요. 이것도 필요한 자료이며 감사를 드립니다. 추천 해주신 사이트에 자료가 많더군요. 계속 찾고 있는데 처음에 질문드린, 금속산화물의 자료는 아직 못찾았습니다. 혹시 있으신분은 추가로 부탁 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유지행님의 답변

    금속 산화물의 전기전도도는 온도와 산소분압에 따라 다릅니다. 산화분위기로 갈 수록, 금속의 산화수가 증가하고 다른 상을 만들기 때문에 전기전도도는 온도-산소분압(또는 기체나 용액에서의 산소 activity)과 같은 열역학적 조건을 명시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대략적인 값을 원하신다면, 아래 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G.V. Samnonov “The Oxide Handbook“ IFI/Plenum 그리고, 좀더 깊이 있는 이해를 원하신다면 Per Kofstad “Nonstoichimetry, Diffus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Binary Metal Oxides“ 를 추천합니다. 재료나 고체화학의 base가 없으면 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그래프들로부터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끝으로, 일반적인 조건(상온, 공기, 습윤 분위기)에서 금속보다는 산화물이 안정합니다. 공기중에 노출된 금속의 표면은 아주 얇은 산화물 피막이 있고 이를 통한 산화반응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것처럼 보일 뿐이지요. >Cu, Fe 등은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CuO, Cu2O, Cu2O3, FeO, Fe2O3 등의 각 금속산화물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1. 각 산화물의 산화수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관련한 표 또는 자료를 찾을수 있을까요? >2. 아니면 각 산화수에 따라 어느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는지 이론적으로 계산할수가 있을까요?
    금속 산화물의 전기전도도는 온도와 산소분압에 따라 다릅니다. 산화분위기로 갈 수록, 금속의 산화수가 증가하고 다른 상을 만들기 때문에 전기전도도는 온도-산소분압(또는 기체나 용액에서의 산소 activity)과 같은 열역학적 조건을 명시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대략적인 값을 원하신다면, 아래 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G.V. Samnonov “The Oxide Handbook“ IFI/Plenum 그리고, 좀더 깊이 있는 이해를 원하신다면 Per Kofstad “Nonstoichimetry, Diffus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Binary Metal Oxides“ 를 추천합니다. 재료나 고체화학의 base가 없으면 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그래프들로부터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끝으로, 일반적인 조건(상온, 공기, 습윤 분위기)에서 금속보다는 산화물이 안정합니다. 공기중에 노출된 금속의 표면은 아주 얇은 산화물 피막이 있고 이를 통한 산화반응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것처럼 보일 뿐이지요. >Cu, Fe 등은 불안정하기는 하지만, CuO, Cu2O, Cu2O3, FeO, Fe2O3 등의 각 금속산화물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1. 각 산화물의 산화수에 따른 전기전도도와 관련한 표 또는 자료를 찾을수 있을까요? >2. 아니면 각 산화수에 따라 어느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는지 이론적으로 계산할수가 있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