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1-30
org.kosen.entty.User@6768c819
남미영(moolpoore)
- 2
실험을 하는 도중 konck out mutant와 mutation 시킨 gene을 overexpression 시켰을 때 나오는 phenotype이 같다면 어떻게 해석이 가능할까요??
혹 같은 경험이 있으시거나 해담을 주실 수 있는 분은 답을 부탁드립니다..
- mutan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4-11-30- 0
mutation시킨 유전자를 과발현하면 wild-type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억제하는 dominant negative 형태의 단백질이 만들어 져서 특정 유전자를 완전히 제거한 knockout-out 시스템과 동일한 현상을 관찰한 것이 아닐까요? dominant negative형태를 과발현하면 knockout-like phenotype이 나타나는 경우는 많죠...물론 dominant negative 과발현 시스템은 target gene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wild-type 단백질의 기능은 미약하나마 어느 정도는 살아있습니다. 보통 knockout을 했을 때 embryonic lethality가 나타나는 경우 dominant negative 또는 antisense transgenic의 경우 살아서 태어나는 경우들이 있거든요...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2010-01-14- 0
>실험을 하는 도중 konck out mutant와 mutation 시킨 gene을 overexpression 시켰을 때 나오는 phenotype이 같다면 어떻게 해석이 가능할까요??>혹 같은 경험이 있으시거나 해담을 주실 수 있는 분은 답을 부탁드립니다.. > dominant negative 효과인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