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12-10
org.kosen.entty.User@3cdfbe75
성진욱(cermetal)
- 6
다름이 아니라 최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고 싶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물질은 quartz입니다. 그런데 진공 상태에서
quartz의 경우 크기가 커지면 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요?
그럼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quartz
- vacuum
- stiffnes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6
-
답변
김호경님의 답변
2004-12-11- 0
>진공상태에서 강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약간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왜냐하면 quartz가 모든 진공을 접하는 모든 면에 -의 압력이 걸려 결과적으로 이것들이 상쇄되어 stiffness에는 상관이 없을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에게 답변을 얻으려면 정확하게 조건 혹은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고 싶습니다. >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물질은 quartz입니다. 그런데 진공 상태에서 > >quartz의 경우 크기가 커지면 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요? > >그럼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답변
박장식님의 답변
2004-12-12- 0
>>>진공상태에서 강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약간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왜냐하면 quartz가 모든 진공을 접하는 모든 면에 -의 압력이 걸려 결과적으로 이것들이 상쇄되어 stiffness에는 상관이 없을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에게 답변을 얻으려면 정확하게 조건 혹은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고 싶습니다. >>>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물질은 quartz입니다. 그런데 진공 상태에서 >>> >>>quartz의 경우 크기가 커지면 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요? >>> >>>그럼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이해하기에는 진공상태에서 강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quartz 가 크지면 (두께는 일정) 대기압력으로 부터 받는 힘이 커지는 것에 기안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습니까. Quartz 와 같이 투명한 재료이외의 것이라면 스텐레스스틸, 알루미늄, 강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재료는 진공쳄버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재료의 크기가 크지면 두께를 커게하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진공과 대기압 사이에 있는 재료가 받는 힘은 힘을 방정식으로 부터 유도되어 있습니다. -
답변
박장식님의 답변
2004-12-12- 0
>>진공상태에서 강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약간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왜냐하면 quartz가 모든 진공을 접하는 모든 면에 -의 압력이 걸려 결과적으로 이것들이 상쇄되어 stiffness에는 상관이 없을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에게 답변을 얻으려면 정확하게 조건 혹은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고 싶습니다. >>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물질은 quartz입니다. 그런데 진공 상태에서 >> >>quartz의 경우 크기가 커지면 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요? >> >>그럼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답변
성진욱님의 답변
2004-12-13- 0
먼저 구체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다시 질문하신 것처럼 이해한 내용이 맞습니다. 그런데 다시 궁금한 사항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두께를 증가시키면 된다고 하셨는데 그 근거가 되는 힘의 방정식을 알려주실 수 있을런지요? 그럼 수고하세요. -
답변
김호경님의 답변
2004-12-14- 0
>먼저 구체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다시 질문하신 것처럼 이해한 내용이 맞습니다. > >그런데 다시 궁금한 사항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 >두께를 증가시키면 된다고 하셨는데 그 근거가 되는 힘의 방정식을 > >알려주실 수 있을런지요? > >그럼 수고하세요. > >제가 생각하기에는 재료역학책을 보시면 2축 응력이라는 곳에 압력용기으이 응력에 대한 식이 있습니다. 용기의 길이방향은 pr/2t, 원주방향은 pr/t입니다. p는 용기의 압력인데 통상적으로 +압력인데 진공의 경우는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압력에 해당하며 즉(-) r은 용기의 원통반경,t는 용기의 두께입니다. 결과적으로 용기의 막에는 압축응력이 걸리겠네요. 물론 위 공식은 얇은 용기로 통상적으로 평면응력 상태에 적용합니다. 큰 차이가 않나므로 이 공식을 써도 무방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압력알고 반경알면 Quart의 압축강도와 pr/2t, 혹은 pr/t를 같다고 하면 적절한 두께t를 구할수 있다고 봅니다. 용기가 공모양이면 모든 방향에 응력이 pr/t입니다. 응력이 그 재료의 강도를 넘으면 파괴가 되지요. 물론 적절한 안전율도 고려하셔야 됩니다.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2004-12-22- 0
> >다름이 아니라 최대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알고 싶습니다. >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물질은 quartz입니다. 그런데 진공 상태에서 > >quartz의 경우 크기가 커지면 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요? > >그럼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일단 진공 상태에 들어 가면 표면의 outgassing이 일어나고 이에 외부적 요건 즉 열이나 전기적등 물리적이 외력에서는 대기압에서 보다 더 취약해지지요. 내력의 물질은 진공도에 따른 물질의 변화와 외부적인 요건에 맞는 물질을 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진공 핸드북에 잘나와 있고 한국표준연구소에 진공기술쎈타에 신용현박사나 정광화 박사팀이 데이타를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