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가장 감도가 높은 Luminometer 추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기계를 하나 구입할려구 하는데요, 제가 하는 실험 목적은 Lucigenin이라는 dye를 이용해서, 세포내에서 발생하는 Luminescence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제가 학위과정중에 해 보니깐 워낙 발생하는 Luminoscence가 적어서 (CPM 500-15000 사이), 매우 감도가 높은 Luminometer가 필요 하던데요, 혹시 각종 Luminometer (VictorLight, TECAN 등등)을 서로 비교해서 감도를 확인해 보신 분이 있으신지요? 가장 감도가 높은 Luminometer를 추천해 주세요~ 그리구 더불어 새해 복 많아~~많이~~~ 받으세요~ ^^
  • Luminomet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미경님의 답변

    중앙대학교 이미경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경험이 없어서 요즘 Luminometer로 실험을 많이 하시는 중앙대학교 생물학과의 김화수 선생님께서 답변을 작성하여 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화수입니다. Luminometer는 반딧불이의 반짝임의 원인인 luciferase를 분자 생물학적인 실험에서 repoter gene으로 요즘 많이 사용하고 있읍니다. 일반적으로 ludciferase cDNA를 포함하고 있는 vector를 동물 세포나 동물에 transfection시킨후 발현되는 luciferase 단백질을 luciferase substrate와 반응 시켜 luminometer라는 기기로 값을 측정하여 수치화하는 방법입니다. Luminometer는 일반적으로 microplate type이 대부분인데 이런 것들은 가격이 1,000만원이 넘고 대량으로 실험 하시는 분들이 주로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회사는 Roche와 Turner사 제품이 있고 최근 국내 그린메이트사에서 수입하는 Tecan 제품은 luminometer 기능과 다른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복합기기입니다. 드물게 그러나 소량의 시료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Berthold Tech.의 Junior LB 9509라는 tube type luminometer를 적극 추천합니다. 전용 tube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Eppendorf tube를 사용해도 무방하고 사용도 매우 용이 합니다. 물론 제 경험상 감도는 상당히 좋은 것 같구요. 많은 Lab에서 적당한 가격 (700 - 800만원)에 양질이라서 많이 사용 하시고 있읍니다. 참고로 luciferase activity는 단 시간에 소멸하므로 시료를 보관 했다가 추후에 실험 하는것은 의미가 없고 substrate도 구입하면 buffer녹여서 적당한 양으로 분주하여 호일로 빛을 차단하여 Deep freezer(-70 - 80도)에 보관 하는것이 좋은 실험결과를 얻을수 있읍니다. 저의 comment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읍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미경 드림
    중앙대학교 이미경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경험이 없어서 요즘 Luminometer로 실험을 많이 하시는 중앙대학교 생물학과의 김화수 선생님께서 답변을 작성하여 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화수입니다. Luminometer는 반딧불이의 반짝임의 원인인 luciferase를 분자 생물학적인 실험에서 repoter gene으로 요즘 많이 사용하고 있읍니다. 일반적으로 ludciferase cDNA를 포함하고 있는 vector를 동물 세포나 동물에 transfection시킨후 발현되는 luciferase 단백질을 luciferase substrate와 반응 시켜 luminometer라는 기기로 값을 측정하여 수치화하는 방법입니다. Luminometer는 일반적으로 microplate type이 대부분인데 이런 것들은 가격이 1,000만원이 넘고 대량으로 실험 하시는 분들이 주로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회사는 Roche와 Turner사 제품이 있고 최근 국내 그린메이트사에서 수입하는 Tecan 제품은 luminometer 기능과 다른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복합기기입니다. 드물게 그러나 소량의 시료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Berthold Tech.의 Junior LB 9509라는 tube type luminometer를 적극 추천합니다. 전용 tube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Eppendorf tube를 사용해도 무방하고 사용도 매우 용이 합니다. 물론 제 경험상 감도는 상당히 좋은 것 같구요. 많은 Lab에서 적당한 가격 (700 - 800만원)에 양질이라서 많이 사용 하시고 있읍니다. 참고로 luciferase activity는 단 시간에 소멸하므로 시료를 보관 했다가 추후에 실험 하는것은 의미가 없고 substrate도 구입하면 buffer녹여서 적당한 양으로 분주하여 호일로 빛을 차단하여 Deep freezer(-70 - 80도)에 보관 하는것이 좋은 실험결과를 얻을수 있읍니다. 저의 comment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읍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미경 드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