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2-17
org.kosen.entty.User@68c326dd
최완지(wanji)
- 2
안녕하세요...
LCD glass위에 칼라필터 패턴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려고 하는데
빛의 굴절율과 반사율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LCD glass의
빛의 굴절율과 반사율과도 많이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답변에 감사드리겠습니다...
- LC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성진님의 답변
2005-02-22- 0
궁금하신 점을 보다 명확하게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LCD glass위에 칼라필터 패턴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려고 하는데 >빛의 굴절율과 반사율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LCD glass의 >빛의 굴절율과 반사율과도 많이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답변에 감사드리겠습니다... -
답변
김강형님의 답변
2015-03-16- 0
제가 고민했던 것과 유사하여 혹시 도움이 되실지 몰라 올립니다.
우선 글라스 패턴의 결함의 종류를 파악하시고 그것이 어떤 재료로 되어 있으며 패턴의 굵기, 높이, 평탄도 등을 파악하시면 광선의 어느 파장과 간섭을 일으킬 지 예상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어떤 파장의 광선을 활용하여 검출할 지에 따라 현미경이나 검출장치의 종류도 결정됩니다.
기본적으로 현미경이나 광학적 검사장비는 대상을 구분할 수 있는 파장을 선택하고 그에 맞는 광원과 필터를 선정하고 이의 반사광을 어떻게 처리함으로써 결함을 구분할 수 있을까 고민함으로써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광학현미경도 1만배 정도까지 확대가 가능하고 해상도도 향상될 수 뿐 아니라 포커싱 거리도 늘릴 수 있는 렌즈가 개발되어 무조건 미크론 단위 이하는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한다는 생각은 버려도 될 것 같습니다. LCD 글라스라면 시편으로 절단하여 진공챔버에 넣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도 없으니까요.
위에 설명드린대로 대략 예측을 하시면 어떤 종류의 장비로 검사가 가능할지 예측할 수 있게 되고 그 후에 그 종류들로 확인해 보시고 보완하시면 가능해 질 것입니다.
저도 원자 단위 두께인 그래핀을 광학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그런 방식으로 하여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필터와 프리즘 등을 활용하면 그래핀에 구멍이 있는 결함을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낼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