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전기에서 소리가 날 수 있나요.?

평소에는 못느끼지만 조용한 곳에 있을땐, 형광등에서 뿌,,, 또는 미... 하는 소리가 납니다. 또, 품질이 나쁜 LCD의 경우에도 백라이트에서 소리가 납니다. 이 소리가 왜 나는 것이죠..? 전기가 잘못접촉하면 나는 소리인가요.? 질문을 드리는 배경은, 앞으로 수소연료전지가 개발되면 광범위하게 쓰일텐데 그 중요한 특징중 하나가 무소음 이라 들었는데요. 만약 전기에서 소리가 난다면 출력을 높일수록 전기소음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 혹 하는 마음에 질문드립니다.
  • 전기
  • 소음
  • 연료전지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오늘날 형광등은 구형 형광등과 달리 예열을 하는 스타트전구가 없습니다. (오스램과 같은 회사에서 나오는 전등) 구형 형광등은 안정기로 철심에 코일을 감아 사용하는데 잘 알다시피 가정용 교류의 주파수가 60 Hz기 때문에 철심과 같은 곳에서 전자기장이 변하면서 철판이 떨리거나, 형광등내의 물체가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소리가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형 형광등에는 전자식 안정기를 사용하는데... 전자식 안정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꾼 다음 인버터를 사용하여 고주파를 얻는데 이때 인버터에서 나오는 고주파가 가청주파수인 20 kHz 이하가 되는 제품을 사용했다면 웅~하는 잡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전공이 아니라서 인버터의 구조를 모르나 고주파를 얻기 위해서 발진회로를 사용할 것이고 이때 사용하는 발진기가 (짐작으로는 압전기를 사용할 듯) 가청주파수 한계내의 진동을 한다면 당연히 고주파 잡음이 날 수 있습니다. LCD의 백라이트에는 압전용 인버터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인버터의 발진부분이 가청주파수 한계내에서 움직인다면 듣기 싫은 고주파 잡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가청주파수 바깥에 있는 수십 kHz 용을 사용한다고 해도 가청주파수내의 기계적인 움직임과 상관있다면 잡음이 날 수 있습니다. 회로내에서 고주파를 얻기 위해서는 수정 발진회로나 쌍으로 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순전히 회로를 통해 고주파를 얻을 경우는 잡음이 나지 않습니다. 잡음이 난다고 해도 듣지를 못하겠지요. 그러나 압전기나 릴레이와 같은 기계적인 부품이 들어가는 고주파용 발진회로에서는 기계부품이 잡음을 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연료전지는 직류를 얻기 ??문에 진동을 일으킬 교류성분이 없으므로 당연히 소음이 나지 않겠지요. 다만 수소를 공급하는 부분에서 액체가 흘러갈때나 기화될 때 가청주파수내의 잡음을 낼 가능성은 있습니다.
    오늘날 형광등은 구형 형광등과 달리 예열을 하는 스타트전구가 없습니다. (오스램과 같은 회사에서 나오는 전등) 구형 형광등은 안정기로 철심에 코일을 감아 사용하는데 잘 알다시피 가정용 교류의 주파수가 60 Hz기 때문에 철심과 같은 곳에서 전자기장이 변하면서 철판이 떨리거나, 형광등내의 물체가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소리가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형 형광등에는 전자식 안정기를 사용하는데... 전자식 안정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꾼 다음 인버터를 사용하여 고주파를 얻는데 이때 인버터에서 나오는 고주파가 가청주파수인 20 kHz 이하가 되는 제품을 사용했다면 웅~하는 잡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전공이 아니라서 인버터의 구조를 모르나 고주파를 얻기 위해서 발진회로를 사용할 것이고 이때 사용하는 발진기가 (짐작으로는 압전기를 사용할 듯) 가청주파수 한계내의 진동을 한다면 당연히 고주파 잡음이 날 수 있습니다. LCD의 백라이트에는 압전용 인버터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인버터의 발진부분이 가청주파수 한계내에서 움직인다면 듣기 싫은 고주파 잡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가청주파수 바깥에 있는 수십 kHz 용을 사용한다고 해도 가청주파수내의 기계적인 움직임과 상관있다면 잡음이 날 수 있습니다. 회로내에서 고주파를 얻기 위해서는 수정 발진회로나 쌍으로 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순전히 회로를 통해 고주파를 얻을 경우는 잡음이 나지 않습니다. 잡음이 난다고 해도 듣지를 못하겠지요. 그러나 압전기나 릴레이와 같은 기계적인 부품이 들어가는 고주파용 발진회로에서는 기계부품이 잡음을 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연료전지는 직류를 얻기 ??문에 진동을 일으킬 교류성분이 없으므로 당연히 소음이 나지 않겠지요. 다만 수소를 공급하는 부분에서 액체가 흘러갈때나 기화될 때 가청주파수내의 잡음을 낼 가능성은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평소에는 못느끼지만 조용한 곳에 있을땐, > >형광등에서 뿌,,, 또는 미... 하는 소리가 납니다. > >또, 품질이 나쁜 LCD의 경우에도 백라이트에서 소리가 납니다. > >이 소리가 왜 나는 것이죠..? 전기가 잘못접촉하면 나는 소리인가요.? > > > > >질문을 드리는 배경은, 앞으로 수소연료전지가 개발되면 광범위하게 쓰일텐데 그 중요한 특징중 하나가 무소음 이라 들었는데요. 만약 전기에서 소리가 난다면 출력을 높일수록 전기소음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 혹 하는 마음에 질문드립니다. 전기에서 소리가 나는것이 아니라 기기에서 나는 소리입니다.
    >평소에는 못느끼지만 조용한 곳에 있을땐, > >형광등에서 뿌,,, 또는 미... 하는 소리가 납니다. > >또, 품질이 나쁜 LCD의 경우에도 백라이트에서 소리가 납니다. > >이 소리가 왜 나는 것이죠..? 전기가 잘못접촉하면 나는 소리인가요.? > > > > >질문을 드리는 배경은, 앞으로 수소연료전지가 개발되면 광범위하게 쓰일텐데 그 중요한 특징중 하나가 무소음 이라 들었는데요. 만약 전기에서 소리가 난다면 출력을 높일수록 전기소음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 혹 하는 마음에 질문드립니다. 전기에서 소리가 나는것이 아니라 기기에서 나는 소리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