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소각로 재순환영역(recirculation zone)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폐기물 연소시 소각로 내부에서 재순환영역(recirculation zone)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dead zone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recirculation zone
  • dead zon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종수님의 답변

    질문> 폐기물 연소시 소각로 내부에서 재순환영역(recirculation zone)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dead zone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질문 내용은 소각로 1차연소실 내부에서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는 이유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소각로 연소실에서 재순환 영역이 생기는 이유는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 연소실 출구의 위치 등이 적절하지 않아서 소각로 연소실 상부의 천정부근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의 가스는 완전연소가 되기 전에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휘발성 불완전 연소잔류물 등이 불완전연소 상태로 배출되는 원인이 됩니다. 해결방안은 출구의 위치를 포함한 연소실의 전체 형태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이외에 재순환영역이 발생하는 위치에 공기 노즐 등을 이용하여 연소실 내부의 기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는데, 단기적인 성과는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질문> 폐기물 연소시 소각로 내부에서 재순환영역(recirculation zone)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dead zone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질문 내용은 소각로 1차연소실 내부에서 재순환 영역이 발생하는 이유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소각로 연소실에서 재순환 영역이 생기는 이유는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 연소실 출구의 위치 등이 적절하지 않아서 소각로 연소실 상부의 천정부근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의 가스는 완전연소가 되기 전에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휘발성 불완전 연소잔류물 등이 불완전연소 상태로 배출되는 원인이 됩니다. 해결방안은 출구의 위치를 포함한 연소실의 전체 형태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이외에 재순환영역이 발생하는 위치에 공기 노즐 등을 이용하여 연소실 내부의 기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는데, 단기적인 성과는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