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테라파(Tera-Hz) 의 개념 및 리뷰논문 등 자료...

Tera-Hz파란 파장 300 마이크로 - 30 마이크로 미터 영역의 전자기파로서 투과율이 높아 투시 사진 촬영이 가능하여 비파괴 검사에 유리하답니다. 자연계에 광원이 존재하지 않아 연구개발이 미흡했던 영역이며 가시광선과 마이크로파 사이의 영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개념및 관련자료나 웹사이트 등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테라파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병철님의 답변

    테라헤르츠(THz)파는 T-ray라고도 하는데, 종이를 잘 투과하기 때문에 지폐에 숨겨져 있는 그림을 이미징하는데 가장 적합한 광원이지요. 종이,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콘크리트 등은 잘 투과하고 금속에서는 반사되며, 물에서는 흡수됩니다. 인체에 해롭지 않은 비파괴검사 광원으로서 보안이나 의료용으로 크게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광원입니다. 다만 자연에 존재하는 열광원이나 개발된 광원이 아주 미약하기 때문에 많은 가능성에 비해 응용기술이 거의 개발되어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금까지 개발된 광원 중에서 가장 강력한 광원은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하는 광원이지만 장치가 크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연구용으로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 외에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와 비선형 결정을 이용하는 방법, QCL이라는 소자 규모의 광원도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 초에 테라헤르츠파 기술을 “국가전략추진 10대 기간기술“중의 하나로 선정하였고, 작년에는 미국 MIT Technology Review에서 미래를 바꿀 10대기술중의 하나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KOSEN 분석자료 중에서 테라헤르츠파 관련자료를 찾을 수 있는데, “테라헤르츠파(THz) 과학의 새로운 기회“ 라는 자료는 제가 분석한 것입니다. 이 자료는 물리학/화학/생물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테라헤르츠의 가능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보안이나 의료 등 산업적으로 중요한 응용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고 있습니다. 첨부 파일을 참고하세요. 또 하나, “펄스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라는 자료는 3차원 이미징 기술에 관한 자료입니다. 국내에서는 테라헤르츠 관련 연구를 하는 곳이 몇 군데 있고, 저희 연구팀(한국원자력연구소 양자광학연구부 자유전자레이저연구팀)에서는 테라헤르츠 광원개발과 생체 이미징 기초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방문하시면 장치를 보여드리고 관련 자료를 드릴 수 있습니다. (042-868-8378, bclee4@kaeri.re.kr, 이병철) 외국에서는 테라헤르츠 이미징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 곳이 미국 RPI의 Zhang 교수 연구실(http://www.rpi.edu/~zhangxc/)과 일본 RIKEN의 Kawase 연구실 (http://www.riken.go.jp/lab-www/THz/)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Tera-Hz파란 파장 300 마이크로 - 30 마이크로 미터 >영역의 전자기파로서 투과율이 높아 투시 사진 촬영이 >가능하여 비파괴 검사에 유리하답니다. >자연계에 광원이 존재하지 않아 연구개발이 미흡했던 영역이며 >가시광선과 마이크로파 사이의 영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개념및 관련자료나 웹사이트 등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테라헤르츠(THz)파는 T-ray라고도 하는데, 종이를 잘 투과하기 때문에 지폐에 숨겨져 있는 그림을 이미징하는데 가장 적합한 광원이지요. 종이,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콘크리트 등은 잘 투과하고 금속에서는 반사되며, 물에서는 흡수됩니다. 인체에 해롭지 않은 비파괴검사 광원으로서 보안이나 의료용으로 크게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광원입니다. 다만 자연에 존재하는 열광원이나 개발된 광원이 아주 미약하기 때문에 많은 가능성에 비해 응용기술이 거의 개발되어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금까지 개발된 광원 중에서 가장 강력한 광원은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하는 광원이지만 장치가 크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연구용으로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 외에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와 비선형 결정을 이용하는 방법, QCL이라는 소자 규모의 광원도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 초에 테라헤르츠파 기술을 “국가전략추진 10대 기간기술“중의 하나로 선정하였고, 작년에는 미국 MIT Technology Review에서 미래를 바꿀 10대기술중의 하나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KOSEN 분석자료 중에서 테라헤르츠파 관련자료를 찾을 수 있는데, “테라헤르츠파(THz) 과학의 새로운 기회“ 라는 자료는 제가 분석한 것입니다. 이 자료는 물리학/화학/생물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테라헤르츠의 가능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보안이나 의료 등 산업적으로 중요한 응용분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고 있습니다. 첨부 파일을 참고하세요. 또 하나, “펄스 테라헤르츠 토모그래피“라는 자료는 3차원 이미징 기술에 관한 자료입니다. 국내에서는 테라헤르츠 관련 연구를 하는 곳이 몇 군데 있고, 저희 연구팀(한국원자력연구소 양자광학연구부 자유전자레이저연구팀)에서는 테라헤르츠 광원개발과 생체 이미징 기초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방문하시면 장치를 보여드리고 관련 자료를 드릴 수 있습니다. (042-868-8378, bclee4@kaeri.re.kr, 이병철) 외국에서는 테라헤르츠 이미징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 곳이 미국 RPI의 Zhang 교수 연구실(http://www.rpi.edu/~zhangxc/)과 일본 RIKEN의 Kawase 연구실 (http://www.riken.go.jp/lab-www/THz/)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Tera-Hz파란 파장 300 마이크로 - 30 마이크로 미터 >영역의 전자기파로서 투과율이 높아 투시 사진 촬영이 >가능하여 비파괴 검사에 유리하답니다. >자연계에 광원이 존재하지 않아 연구개발이 미흡했던 영역이며 >가시광선과 마이크로파 사이의 영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개념및 관련자료나 웹사이트 등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