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4-23
org.kosen.entty.User@70b4c185
장시영(sychana)
- 4
인간의 모든 물리적, 정신적 작용에는 각각 독특한 생체화학물질이 생성되고 전기화학적 작용을 거쳐 전달되고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물질이 아직 미지의 영역으로 있어 인간이 정복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겠지만, 정신적 질환에 이러한 발견이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습니다.
정상적인 인지능력을 벗어나, 자신의 의지를 스스로 조절하지 못할정도로 과도한 정신적 환각이나 질환을 보인다면, 신체내부에서 어떤 특별한 생체 화학물질들이 나타나는지, 현재까지 발견된 것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psychopath
- fanaticism
- biochemica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2005-04-23- 0
첨부파일
- 1). 0423083108Categorical versus dimensional models of mental disorder.pdf (0 KB)
- 2). 0423083108Neuropsychiatric disturbances.pdf (0 KB)
- 3). 0423083108Qigong-induced mental disorders-a review.pdf (0 KB)
- 4). 0423083108Neuropsychiatric disturbances.pdf (0 KB)
- 5). 0423083108Qigong-induced mental disorders-a review.pdf (0 KB)
-
1). 0423083108Categorical versus dimensional models of mental disorder.pdf
(0 KB)
-
2). 0423083108Neuropsychiatric disturbances.pdf
(0 KB)
-
3). 0423083108Qigong-induced mental disorders-a review.pdf
(0 KB)
-
4). 0423083108Neuropsychiatric disturbances.pdf
(0 KB)
- 5). 0423083108Qigong-induced mental disorders-a review.pdf (0 KB)
키워드로 검색해서 올립니다. 잘몰라서 찾은것만 올려 드립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2005-04-23- 0
첨부파일
- 1). 0423083930The Relationship of Matern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Birth Outcomes and Infant Development.pdf (0 KB)
- 2). 0423083930A neuroimmunological model of antisoci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pdf (0 KB)
- 3). 0423083930Comorbid depress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as predictors of aggressive and hyperactive symptom responsiveness during inpatient treatment of conduct-disordered, ADHD boys.pdf (0 KB)
-
1). 0423083930The Relationship of Matern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Birth Outcomes and Infant Development.pdf
(0 KB)
-
2). 0423083930A neuroimmunological model of antisoci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pdf
(0 KB)
- 3). 0423083930Comorbid depress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as predictors of aggressive and hyperactive symptom responsiveness during inpatient treatment of conduct-disordered, ADHD boys.pdf (0 KB)
도움이 되시길..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2005-04-25- 0
정신적 질환이나 증상은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이 원인입니다. 더 궁극적인 원인은, 신경세포의 이상, 물리적,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겠으나, 원인이 무엇이든 결과적으로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뇌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현대 정신의학은 무엇보다 약물치료를 우선으로 합니다. 또 이전과 달리 매우 치료가 잘 됩니다. 정신질환과 관련되는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에는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GABA 등이 있습니다. 신경전달물질의 과잉, 부족,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의 변화가 올 수 있으며, 약물치료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이상 상태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외에도 무수히 많은 신경전달물질이 관련되어 있고 이것은 신체의 호르몬, 면역체계와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정신적인 문제가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일이 매우 많이 있습니다. * 이상은 카톨릭의대 정신과 김정진선생님께서 답변해주셨습니다.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2005-05-04- 0
이전에 너무 포괄적인 답변을 드린 것 같아 전문가께 다시 문의하였더니 아래와 같은 답변을 얻었습니다. 간단한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실까 하여 또 올립니다. ------------------------------------------------- 우선 환각증상과 관련된 물질은 대표적으로 도파민(dopamine)이 있습니다. 물론 다른 신경전달물질과 상호작용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