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4-24
org.kosen.entty.User@5bcb6381
임기용(limky1332)
- 4
현재 한미간의 소고기 협상이 진행중입니다
광우병 때문이죠 지금까지 광우병은 소 사료에 육골분이 함유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에서도 소 사료에 육골분을 첨가하는 축산업자는
없다고 보아야 겠지요
그렇다면 광우병은 사라지게 될까요?
축산업자들이 소 사료에 높은 에너지 함량사료를 주는 이유는 그것이 소고기의
맛을 결정하는 마블링과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고기의 맛을 좋게하는 마블링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1.유전적 특징
2.높은 에너지 함량 사료의 급여기간 3.제한급이 연장 입니다
따라서 1의 요인을 가지지 못한 소의 경우 2와 3의 방법으로 마블링을 조절합니다
혹시 1과 2.3의 요인은 Anty Synergy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바로 이점이 광우병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닐까요?
인간이 신의 영역에 도전한 결과가 광우병의 원인이 아닐까 하는 의문입니다
저의 분석이 과학적으로 입증 될 수 있을까요?
한민족과학기술자 여러분! 알고 싶습니다
- BS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2005-04-26- 0
저도 이쪽 전공은 아니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위에서도 말씀하셨다시피 유전적 특성으로 육질이 좋은 소가 아니라면 후천적인 요인인 먹는 사료로 고기의 육질을 조절한다고 봅니다. 사람도 지방이 많이 든 음식을 많이 먹으면 비만이 되듯이 소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저는 원래 소는 초식성이라 주로 식물성을 먹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식물에도 혹시나 벌레같은게 있을수도 있지만 하여튼 대부분은 풀을 먹는다고 봅니다. 근데 사람이 인공적으로 사료에 에너지 함량이 많은 원료를 넣어 소에게 먹인다면 채식으로 유지되던 몸에 뭔가 변화가 생기지 않겠습니까? 일단 에너지 함량이 높은 사료를 먹게 되면 소화를 시켜 영양분이 흡수되어 피를 통해 온몸으로 전달이 될 겁니다. 근데 채식성의 혈액이 아닌 에너지가 높은 성분이 든 혈액은 뇌에도 영향을 미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이라면 그 영양성분에 의한 뇌의 이상이 없다고 장담할 수 없지 않을까요? 아무리 골육분을 넣지 않고 사료를 준다고는 해도 거기에 양분이 많은, 즉 원래 소가 먹던 풀보다 영양분이 많은 사료를 먹인다면 문제가 생길수 있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남성우님의 답변
2005-04-26- 0
사료를 쓰지 않는 호주나 뉴질랜드쪽에서는 광우병이 보고된 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광우병을 유발하는 요인중 유력한 것이 prion입니다. prion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단백질분자로 서로 엉겨붙어 신경전달을 방해하여 신경세포를 사멸시킵니다. 이 prion이 소의 몸속에서 생겨난(혹은 소가 섭취한) 원인 중에서, 동물성사료를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습니다. >현재 한미간의 소고기 협상이 진행중입니다 >광우병 때문이죠 지금까지 광우병은 소 사료에 육골분이 함유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에서도 소 사료에 육골분을 첨가하는 축산업자는 >없다고 보아야 겠지요 >그렇다면 광우병은 사라지게 될까요? >축산업자들이 소 사료에 높은 에너지 함량사료를 주는 이유는 그것이 소고기의 >맛을 결정하는 마블링과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고기의 맛을 좋게하는 마블링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1.유전적 특징 >2.높은 에너지 함량 사료의 급여기간 3.제한급이 연장 입니다 >따라서 1의 요인을 가지지 못한 소의 경우 2와 3의 방법으로 마블링을 조절합니다 >혹시 1과 2.3의 요인은 Anty Synergy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바로 이점이 광우병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닐까요? >인간이 신의 영역에 도전한 결과가 광우병의 원인이 아닐까 하는 의문입니다 >저의 분석이 과학적으로 입증 될 수 있을까요? >한민족과학기술자 여러분! 알고 싶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4-26- 0
제가 이 분야의 전공자는 아니지만 기본적인 개념으로 접근하면 특정 유전자형을 가진 소가 광우병의 감수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이 될 수 있느냐는 유전학적 방법으로 접근해야겠죠. 대표적인 것이 가계도 분석인데 광우병이 걸린 소의 가계도를 기반으로 광우병에 걸린 소가 특정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으냐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흔히 linkage analysis라고 transmission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질환도 가족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원인 유전자의 유전자형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아직 힘든 일입니다. 최근 genome scanning을 많이 하지만 아직 염색체의 특정위치만 찾아내는 경우가 많죠...그러니 역학조사를 통해 알아낸 광우병의 원인인 동물성 사료를 먹이지 않으면 광우병 문제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으니까 엄청난 돈과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연구를 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어 보입니다. 문제는 현재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 병원성 프라이온이 관련된 것인데 하나는 이 프라이온을 가진 소는 모두 광우병에 걸리느냐의 문제이고 또 다른 하나는 광우병에 걸린 소가 모두 프리이온의 이상을 보이느냐의 문제입니다. 필요조건이냐 충분조건이냐의 문제인데 동물성 사료를 섭취한 모든 소가 광우병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봐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또 다른 인자가 광우병에 관여한다는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데 이는 유전적 특징도 하나의 후보가 될 수 있겠죠... 잘 모르는 분야라서 그냥 사견이었습니다. >현재 한미간의 소고기 협상이 진행중입니다 >광우병 때문이죠 지금까지 광우병은 소 사료에 육골분이 함유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에서도 소 사료에 육골분을 첨가하는 축산업자는 >없다고 보아야 겠지요 >그렇다면 광우병은 사라지게 될까요? >축산업자들이 소 사료에 높은 에너지 함량사료를 주는 이유는 그것이 소고기의 >맛을 결정하는 마블링과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고기의 맛을 좋게하는 마블링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1.유전적 특징 >2.높은 에너지 함량 사료의 급여기간 3.제한급이 연장 입니다 >따라서 1의 요인을 가지지 못한 소의 경우 2와 3의 방법으로 마블링을 조절합니다 >혹시 1과 2.3의 요인은 Anty Synergy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바로 이점이 광우병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닐까요? >인간이 신의 영역에 도전한 결과가 광우병의 원인이 아닐까 하는 의문입니다 >저의 분석이 과학적으로 입증 될 수 있을까요? >한민족과학기술자 여러분! 알고 싶습니다 -
답변
황보종님의 답변
2005-04-29- 0
좋은 답변들이 많이 있네요. 이와 관련된 정보는 국가기관인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홈페이지 http://agis.nlri.go.kr/korea 로 가시면, 축산기술상담란이 있습니다. 님의 견해와 의견을 등록하시면 관련 전문가들로 부터 좋은 답변은 물론, 관련자료들을 얻으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관련 전문가와 직접 연락은 물론이겠지요. Have a l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