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4-29
org.kosen.entty.User@4c03357a
김태현(xogus14)
- 2
무정전 아크릴은 어떻게 아크릴을 처리하여 만드는지 아니면 전혀 다른 물질인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체적저항이 높은 아크릴에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률을 갖도록 표면처리를 하거나 코팅을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정확한건지 알고 싶습니다.
일반 아크릴의 체적저항은 10^12Ωcm 정도 이면 무정전 아크릴은 10^6~10^8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 Acryl
- anti
- electrostat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2005-04-29- 0
제 생각에는 표면에 처리도 했지만 아크릴을 만들때 전도성을 지니도록 다른 첨가제를 넣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카본블랙 같은 물질은 전도성이 있기 때문에 이런 물질을 첨가하면 색은 좀 검게 되지만 전도성이 있어서 무정전아크릴이 될것 같습니다. 또 가소제처럼 전도성을 띠게 만드는 첨가제를 넣어서 전기를 잘 흐르게 만들었을거 같습니다. -
답변
전은진님의 답변
2005-05-10- 0
>무정전 아크릴은 어떻게 아크릴을 처리하여 만드는지 아니면 전혀 다른 물질인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체적저항이 높은 아크릴에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률을 갖도록 표면처리를 하거나 코팅을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정확한건지 알고 싶습니다. >일반 아크릴의 체적저항은 10^12Ωcm 정도 이면 무정전 아크릴은 10^6~10^8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코팅합니다. (코팅도 표면처리의 일종으로 볼수도 있지만요 ^^) 대부분 quaternary ammonium compound를 사용합니다. 일부 대전방지제를 컴파운딩 하는 경우가 있지만, 원하는 특성을 얻으려면 상당히 많은 양을 넣어야 하고, 가장 중요한 특성인 투명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가격 및 물성 면에서 선호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