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tainless강관 용접

스텐레스강관의 용접방법중 레이저,erw(전기저항용접),tig,plasma용접기중 장,단점 및 각각의 용접기특성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특히 레이저용접이 타용접방법에 비해 우수한 점이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 stainless welding
  • sus welding
  • laser weld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원희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부족하지만, 제가 아는정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혹시, 스텐레스 강관의 두께가 얼마나 되나요? 그리고, 후면비드를 만들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텐레스 강관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부의 가스차폐를 우선적으로 잘해주셔야 합니다. 용접토치 부위는 차폐가스가 나오니까 괜찮은데, 후면 즉 강관의 안의 차폐는 주로 양쪽 끝단을 막고서 용접을 하곤 합니다. 1. 레이져 용접 : 다양한 종류의 금속을 용접할 수 있는 고에너지 용접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일반 아크용접과 비교할 때 에너지 집중도가 높은 키홀 원리를 이용하므로써 용접깊이 대비 용접폭의 크기가 작고, 열영향부가 적습니다. 박판인 경우는 후면비드까지 만들어 낼수 있습니다만 레이져의 출력문제로 인해 1패스당 최대 10mm이상 용접이 불가능합니다. 보통 2~4mm정도까지 용접합니다. 2. TIG와 플라즈마 용접 : TIG와 플라즈마 용접법은 거의 유사하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접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박판인 경우에 TIG를 주로 쓰고, 다소 후판인 경우에 TIG로 여러층을 용접하기 보단 플라즈마 용접법으로 1층으로 용접하면 작업시간 단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곤 합니다. TIG보다 플라즈마의 입열량이 높기 때문에 1패스당 용착량도 많고, 용접깊이도 깊습니다. 1번의 레이져 용접이 출력의 문제로 1패스당 용입깊이가 얕기 때문에 그 대신에 플라즈마 용접을 대신 사용하곤 합니다. 용접깊이가 10mm를 초과할 경우엔 J그루브 개선과 TIG로 여러층을 용접하면 됩니다. 전기저항 용접은 경험이 없어서 뭐라 말씀을 못드리겠구요, TIG용접을 할 경우에는 강관이므로 오비탈 TIG장비가 많이 시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용접방법은 전자빔 용접입니다. 일반 탄소강 기준으로 60kV급 장비 1패스에 100mm 용입깊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부족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부족하지만, 제가 아는정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혹시, 스텐레스 강관의 두께가 얼마나 되나요? 그리고, 후면비드를 만들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텐레스 강관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부의 가스차폐를 우선적으로 잘해주셔야 합니다. 용접토치 부위는 차폐가스가 나오니까 괜찮은데, 후면 즉 강관의 안의 차폐는 주로 양쪽 끝단을 막고서 용접을 하곤 합니다. 1. 레이져 용접 : 다양한 종류의 금속을 용접할 수 있는 고에너지 용접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일반 아크용접과 비교할 때 에너지 집중도가 높은 키홀 원리를 이용하므로써 용접깊이 대비 용접폭의 크기가 작고, 열영향부가 적습니다. 박판인 경우는 후면비드까지 만들어 낼수 있습니다만 레이져의 출력문제로 인해 1패스당 최대 10mm이상 용접이 불가능합니다. 보통 2~4mm정도까지 용접합니다. 2. TIG와 플라즈마 용접 : TIG와 플라즈마 용접법은 거의 유사하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접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박판인 경우에 TIG를 주로 쓰고, 다소 후판인 경우에 TIG로 여러층을 용접하기 보단 플라즈마 용접법으로 1층으로 용접하면 작업시간 단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곤 합니다. TIG보다 플라즈마의 입열량이 높기 때문에 1패스당 용착량도 많고, 용접깊이도 깊습니다. 1번의 레이져 용접이 출력의 문제로 1패스당 용입깊이가 얕기 때문에 그 대신에 플라즈마 용접을 대신 사용하곤 합니다. 용접깊이가 10mm를 초과할 경우엔 J그루브 개선과 TIG로 여러층을 용접하면 됩니다. 전기저항 용접은 경험이 없어서 뭐라 말씀을 못드리겠구요, TIG용접을 할 경우에는 강관이므로 오비탈 TIG장비가 많이 시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용접방법은 전자빔 용접입니다. 일반 탄소강 기준으로 60kV급 장비 1패스에 100mm 용입깊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부족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영도님의 답변

    부족하나마 답변 드립니다. TIG 용접법 TIG 용접법을 이용할 경우는 강관의 경우 거의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맞대기 용접을 하므로 모재와 거의 유사한 화학조성을 가진 용접을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용접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킹(Backing) 가스를 아르곤이나 질소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비싼 단점이 있다. 질소가스를 사용할 경우 hot cracking 의 우려가 있다. TIG 용접의 경우 약 3mm 또는 그 이하 두께의 강관을 용접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TIG 용접의 표준용어는 GTMA (Gas Tungsten Arc Welding)입니다. PAW 플라즈마 용접은 TIG용접보다는 용입이 깊고 용융폭이 좁습니다.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강관 (3-10mm)의 경우에 적당하며 따라서 강관의 두께에 따라 TIG 보다는 PAW가 유리한 경우가 있습니다. PAW의 경우에도 백킹(Backing) 가스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ERW 정확히 스테인레스 강관에서는 쓰이는 ERW는 고주파 용접 (HF : High Frequency Welding)이 맞는 표현입니다. HF 용접은 ERW의 하위용접 법에 해당합니다. HF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빠른 용접 속도 입니다. (약 100m/min). 따라서 생산성을 고려한 강관회사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용접을 하고 있습니다. 고주파 용접은 HF 와 HFI 방식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HF 방식은 고주파 전류가 강관 표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을 하면서 전류를 하게하여 강관이 맞닿는 곳에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HFI 용접은 강관 둘레로 인덕션 코일을 감아서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대부분 HFI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 방식은 아연도금된 강관 및 고품질을 요하는 강관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레이저용접이 용접성 면에서는 거의 모든 타 용접보다 우수합니다. 특히, 우수한 점은 TIG 용접보다 약 1000배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주 좁은 용융폭을 얻을 수 있으며 뛰어난 용접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동화가 가능하며 용접 속도도 약 18 m/min으로 빠른 편이며 용접 열영향부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저 용접기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부족하나마 답변 드립니다. TIG 용접법 TIG 용접법을 이용할 경우는 강관의 경우 거의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맞대기 용접을 하므로 모재와 거의 유사한 화학조성을 가진 용접을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용접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킹(Backing) 가스를 아르곤이나 질소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비싼 단점이 있다. 질소가스를 사용할 경우 hot cracking 의 우려가 있다. TIG 용접의 경우 약 3mm 또는 그 이하 두께의 강관을 용접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TIG 용접의 표준용어는 GTMA (Gas Tungsten Arc Welding)입니다. PAW 플라즈마 용접은 TIG용접보다는 용입이 깊고 용융폭이 좁습니다.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강관 (3-10mm)의 경우에 적당하며 따라서 강관의 두께에 따라 TIG 보다는 PAW가 유리한 경우가 있습니다. PAW의 경우에도 백킹(Backing) 가스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ERW 정확히 스테인레스 강관에서는 쓰이는 ERW는 고주파 용접 (HF : High Frequency Welding)이 맞는 표현입니다. HF 용접은 ERW의 하위용접 법에 해당합니다. HF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빠른 용접 속도 입니다. (약 100m/min). 따라서 생산성을 고려한 강관회사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용접을 하고 있습니다. 고주파 용접은 HF 와 HFI 방식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HF 방식은 고주파 전류가 강관 표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을 하면서 전류를 하게하여 강관이 맞닿는 곳에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HFI 용접은 강관 둘레로 인덕션 코일을 감아서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대부분 HFI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 방식은 아연도금된 강관 및 고품질을 요하는 강관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레이저용접이 용접성 면에서는 거의 모든 타 용접보다 우수합니다. 특히, 우수한 점은 TIG 용접보다 약 1000배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주 좁은 용융폭을 얻을 수 있으며 뛰어난 용접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동화가 가능하며 용접 속도도 약 18 m/min으로 빠른 편이며 용접 열영향부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저 용접기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