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ntibacterial peptide design

antibacterial peptide design 할려고 합니다.. 우선 첫번째로 합성 회사를 알고 싶고요.. 두번쨰로는 제가 실험하는 leucocin A라는 Antibacterial peptide는 3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참고 문헌을 찾아보니 소수성과 친수성 비율의 동일하게 하니깐.. 항균 활성이나 인간 세포의 독 성이 줄어 드는 것들이 있었습니다..(BBRC.2004.조선대등) 아미노산을 무작위로 랜덤하게 맞출수는 없는것 같네요. 예를 들어 친수성 아미노산 A를 소수성 B로 바꿀지 c로 바꿀지 그런부분에 대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세번째로 최소저해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의 실험 방법과 MIC와 MBC가 무엇을 나타내고 의미하는지 자세히 코맨트 부탁 드립니다.
  • antibacterial pepti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와 MB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실험은 기본적으로 항생제의 in vitro 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입니다. 말그대로 MIC는 균주의 발육을 억제하는 항생제의 최소농도이고 MBC는 주어진 시간에 살균을 할 수 있는 항생제의 최소농도입니다. hankukm.com.ne.kr에서 미생물학 정보로 들어가서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참고해 보세요... 펩타이드 주문은 www.peptron.co.kr가 어떨런지요.... >antibacterial peptide design 할려고 합니다.. > >우선 첫번째로 합성 회사를 알고 싶고요.. > >두번?로는 제가 실험하는 leucocin A라는 Antibacterial peptide는 > >3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참고 문헌을 찾아보니 > >소수성과 친수성 비율의 동일하게 하니깐.. 항균 활성이나 인간 세포의 독 > >성이 줄어 드는 것들이 있었습니다..(BBRC.2004.조선대등) > >아미노산을 무작위로 랜덤하게 맞출수는 없는것 같네요. > >예를 들어 친수성 아미노산 A를 소수성 B로 바꿀지 c로 바꿀지 > >그런부분에 대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 >그리고 세번째로 최소저해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의 > >실험 방법과 MIC와 MBC가 무엇을 나타내고 의미하는지 자세히 코맨트 부탁 > > 드립니다. > > > >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와 MB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실험은 기본적으로 항생제의 in vitro 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입니다. 말그대로 MIC는 균주의 발육을 억제하는 항생제의 최소농도이고 MBC는 주어진 시간에 살균을 할 수 있는 항생제의 최소농도입니다. hankukm.com.ne.kr에서 미생물학 정보로 들어가서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참고해 보세요... 펩타이드 주문은 www.peptron.co.kr가 어떨런지요.... >antibacterial peptide design 할려고 합니다.. > >우선 첫번째로 합성 회사를 알고 싶고요.. > >두번?로는 제가 실험하는 leucocin A라는 Antibacterial peptide는 > >3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참고 문헌을 찾아보니 > >소수성과 친수성 비율의 동일하게 하니깐.. 항균 활성이나 인간 세포의 독 > >성이 줄어 드는 것들이 있었습니다..(BBRC.2004.조선대등) > >아미노산을 무작위로 랜덤하게 맞출수는 없는것 같네요. > >예를 들어 친수성 아미노산 A를 소수성 B로 바꿀지 c로 바꿀지 > >그런부분에 대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 >그리고 세번째로 최소저해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의 > >실험 방법과 MIC와 MBC가 무엇을 나타내고 의미하는지 자세히 코맨트 부탁 > > 드립니다. >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정훈님의 답변

    그외의 항균펩타이드는 좀 사이즈가 큰걸로는 라이소자임, 나이신 그리고 류코신 같은 박테리오신은 거의 모든 유산균에서 생산이 되는데 페디오신, 라티신 등등이 있습니다. 이런 유산균에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거의 크기가 30 - 40 아미노산 정도입니다. 아미노산 서열이 이미 다 알려져 있으니까 이들 박테리오신의 아미노산 서열의 공통점을 우선 찾아보시고 실험에 들어가시는게 현명한 것 같습니다.
    그외의 항균펩타이드는 좀 사이즈가 큰걸로는 라이소자임, 나이신 그리고 류코신 같은 박테리오신은 거의 모든 유산균에서 생산이 되는데 페디오신, 라티신 등등이 있습니다. 이런 유산균에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거의 크기가 30 - 40 아미노산 정도입니다. 아미노산 서열이 이미 다 알려져 있으니까 이들 박테리오신의 아미노산 서열의 공통점을 우선 찾아보시고 실험에 들어가시는게 현명한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성철님의 답변

    저는 조선대 단백질소재연구센터에서 항생펩타이드 관련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1. 우선 국내에 있는 합성회사는 펩트론과 애니젠이 있읍니다. 두곳 다 합성상태가 좋습니다. 2. 무작위로 아미노산을 바꾸면 구조가 틀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lix구조인 peptide가 일반적으로 membrane이나 이와 같이만든 환경에서 amphiphatic하게 구조가 바뀝니다. 이구조가 틀어지는 아미노산을 치환을 하게 되면 활성을 잃게 됩니다. helix구조일 경우는 heel diagrame을 그려서 한쪽과 다른 한쪽이 소수성과 친수성으로 구별되게 치환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3. 또한 친수성도 charge를 가지지 않는 아미노산을 (+)charge 아미노산(K, R)을 치환 하면 활성이 ?아지게 됩니다. 단, charge만 높이면 salt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4. 소수성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L, W, I, A을 많이 치환을 하는데 이들은 약간의 규칙이 필요 합니다. 잘못하면 hemolysis나 세포 독성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것은 글로는 설명하기가 힘듭니다. 5. 그리고 구조에 따라서 그방법들이 다릅니다. 6. design해서 그펩타이드의 가능성과 특성을 예상 할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참고 하시길 http://aps.unmc.edu/AP/main.php 7. MIC와 MBC는 실험방법 이 조금다릅니다. 또한 MFC(minimum fugicidal concentration)도 있읍니다. 그리고 요즘은 그보다 specificity/therapeutic index가 더 중요 한것 같습니다. >antibacterial peptide design 할려고 합니다.. > >우선 첫번째로 합성 회사를 알고 싶고요.. > >두번?로는 제가 실험하는 leucocin A라는 Antibacterial peptide는 > >3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참고 문헌을 찾아보니 > >소수성과 친수성 비율의 동일하게 하니깐.. 항균 활성이나 인간 세포의 독 > >성이 줄어 드는 것들이 있었습니다..(BBRC.2004.조선대등) > >아미노산을 무작위로 랜덤하게 맞출수는 없는것 같네요. > >예를 들어 친수성 아미노산 A를 소수성 B로 바꿀지 c로 바꿀지 > >그런부분에 대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 >그리고 세번째로 최소저해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의 > >실험 방법과 MIC와 MBC가 무엇을 나타내고 의미하는지 자세히 코맨트 부탁 > > 드립니다. > > > >
    저는 조선대 단백질소재연구센터에서 항생펩타이드 관련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1. 우선 국내에 있는 합성회사는 펩트론과 애니젠이 있읍니다. 두곳 다 합성상태가 좋습니다. 2. 무작위로 아미노산을 바꾸면 구조가 틀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lix구조인 peptide가 일반적으로 membrane이나 이와 같이만든 환경에서 amphiphatic하게 구조가 바뀝니다. 이구조가 틀어지는 아미노산을 치환을 하게 되면 활성을 잃게 됩니다. helix구조일 경우는 heel diagrame을 그려서 한쪽과 다른 한쪽이 소수성과 친수성으로 구별되게 치환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3. 또한 친수성도 charge를 가지지 않는 아미노산을 (+)charge 아미노산(K, R)을 치환 하면 활성이 ?아지게 됩니다. 단, charge만 높이면 salt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4. 소수성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L, W, I, A을 많이 치환을 하는데 이들은 약간의 규칙이 필요 합니다. 잘못하면 hemolysis나 세포 독성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것은 글로는 설명하기가 힘듭니다. 5. 그리고 구조에 따라서 그방법들이 다릅니다. 6. design해서 그펩타이드의 가능성과 특성을 예상 할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참고 하시길 http://aps.unmc.edu/AP/main.php 7. MIC와 MBC는 실험방법 이 조금다릅니다. 또한 MFC(minimum fugicidal concentration)도 있읍니다. 그리고 요즘은 그보다 specificity/therapeutic index가 더 중요 한것 같습니다. >antibacterial peptide design 할려고 합니다.. > >우선 첫번째로 합성 회사를 알고 싶고요.. > >두번?로는 제가 실험하는 leucocin A라는 Antibacterial peptide는 > >3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참고 문헌을 찾아보니 > >소수성과 친수성 비율의 동일하게 하니깐.. 항균 활성이나 인간 세포의 독 > >성이 줄어 드는 것들이 있었습니다..(BBRC.2004.조선대등) > >아미노산을 무작위로 랜덤하게 맞출수는 없는것 같네요. > >예를 들어 친수성 아미노산 A를 소수성 B로 바꿀지 c로 바꿀지 > >그런부분에 대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 >그리고 세번째로 최소저해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의 > >실험 방법과 MIC와 MBC가 무엇을 나타내고 의미하는지 자세히 코맨트 부탁 > > 드립니다. >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