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아노다이징 황산법에의한 포아층 관찰에 대해서..

아노다이징 황산법에 의한 포아층을 관찰하려하는데요.. fesem으로도 관찰가능한가요?? 저희가 fesem으로 관찰 해봤는데.. 알루미늄 산화층과 기지층 관찰은 확실히 되었지만.. 정작 중요한 포아층 관찰이 안되던데.. 무엇때문에 관찰이 안되는지 모르겠어요.. 폴리싱에서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fesem으로는 측정 불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만약 fesem으로 관찰이 안될경우라면.. 어떤 장비로 관찰해야하나요?? epma로 관찰도 된다던데.. epma에대해서 알려주세요 .. ^^
  • anodizing
  • FESEM
  • EPM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승엽님의 답변

    >아노다이징 황산법에 의한 포아층을 관찰하려하는데요.. > >fesem으로도 관찰가능한가요?? > >저희가 fesem으로 관찰 해봤는데.. 알루미늄 산화층과 기지층 관찰은 > >확실히 되었지만.. 정작 중요한 포아층 관찰이 안되던데.. > >무엇때문에 관찰이 안되는지 모르겠어요.. > >폴리싱에서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fesem으로는 측정 불가능한지 > >알고 싶습니다. > >만약 fesem으로 관찰이 안될경우라면.. 어떤 장비로 관찰해야하나요?? > >epma로 관찰도 된다던데.. > >epma에대해서 알려주세요 .. ^^ > > > > 일단 시편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pore 층을 관찰하려면 굳이 폴리싱등의 작업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EPMA 는 분해능이 미세조직을 관찰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군요.
    >아노다이징 황산법에 의한 포아층을 관찰하려하는데요.. > >fesem으로도 관찰가능한가요?? > >저희가 fesem으로 관찰 해봤는데.. 알루미늄 산화층과 기지층 관찰은 > >확실히 되었지만.. 정작 중요한 포아층 관찰이 안되던데.. > >무엇때문에 관찰이 안되는지 모르겠어요.. > >폴리싱에서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fesem으로는 측정 불가능한지 > >알고 싶습니다. > >만약 fesem으로 관찰이 안될경우라면.. 어떤 장비로 관찰해야하나요?? > >epma로 관찰도 된다던데.. > >epma에대해서 알려주세요 .. ^^ > > > > 일단 시편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pore 층을 관찰하려면 굳이 폴리싱등의 작업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EPMA 는 분해능이 미세조직을 관찰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