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30
org.kosen.entty.User@45a033c2
최순범(beom8649)
- 3
박테리아 표면의 세포벽에는 carboxyl group, phosphonate group, amine group과 같은 week acid 또는 base functional group이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실험의 목적상 week acid인 carboxyl group이 많아야 합니다. 기존의 알려진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amine group을 carboxyl group으로 바꾸는 chemical modification방법이 있습니다.
요즘 carboxyl group의 양을 증대시키는 다른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요. 보다 저렴하고 좋은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혹시 다른 분야를 연구하시는 분들 중에 저와는 최종 목적은 달라도 어쨌거나 carboxyl group의 양을 증대시켜야 하는 분들이 계실꺼라 생각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저랑 비슷한 고민을 하시고 계시거나 또는 하셨던 많은 분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꾸벅.
- carboxyl
- modific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신동호님의 답변
2005-06-01- 0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은 말씀하신 대로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표면 개질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디자인하여 최적의 조건을 갖추는 것이 생명입니다. 아무리 원하는 functional group이 표면에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전체적인 구조가 부적절한 상태라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실험내용을 설명해 주시면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박테리아 표면의 세포벽에는 carboxyl group, phosphonate group, amine group과 같은 week acid 또는 base functional group이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실험의 목적상 week acid인 carboxyl group이 많아야 합니다. 기존의 알려진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amine group을 carboxyl group으로 바꾸는 chemical modification방법이 있습니다. >요즘 carboxyl group의 양을 증대시키는 다른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요. 보다 저렴하고 좋은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혹시 다른 분야를 연구하시는 분들 중에 저와는 최종 목적은 달라도 어쨌거나 carboxyl group의 양을 증대시켜야 하는 분들이 계실꺼라 생각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저랑 비슷한 고민을 하시고 계시거나 또는 하셨던 많은 분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꾸벅. -
답변
최순범님의 답변
2005-06-01- 0
어느정도 더 자세히 설명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일단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carboxyl group을 증가시키려는 이유는 박테리아에서 carboxyl group이 중금속을 흡착(엄밀히 말하면 ion exchange 또는 complexation)시키는 major functional group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박테리아는 살아있는(living cell) 상태가 아닌 죽은(dead cell) 상태입니다. 따라서 박테리아가 중금속을 uptake 하는 것은 살아있는 박테리아가 중금속에 저항하기 위한 active transport가 아니라 박테리아 표면의 functional group에 의한 흡착현상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박테리아 표면에는 여러가지 functional group이 있습니다. 이중 charge를 띠는 functional group은 carboxyl, phosphonate, amine group으로 실험결과 밝혀졌으며 그중에서도 week acidic인 carboxyl group이 major functional group으로 실험결과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carboxyl group의 양을 증가시킬 수 만 있다면 .....매우 좋은거지요.^^; 죽은박테리아 세포는 carbon chain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생분해성 고분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carbon chain에 위에서 말씀드린 charged functional group이 붙어 있는 것이구요. 제가 실험해본 바에 의하면 강산으로 세포를 처리하여 carboxyl group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lipid의 hydrophilic head부분이 끊어지면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구요. 또 다른 방법은 succinylation이라고 하는 amine group을 carboxyl group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H2O2를 사용하여 -c-c-c-를 산화시켜 carboxyl group을 생성시킬 수 있다고 하는데 이 방법은 직접 해본것이 아니고 얼핏 들은 내용이라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 이미 방법을 다 알고 있는데 뭐가 고민입니까? 라고 물으실수도 있는데 위 방법에는 몇가지 단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최대한 저렴한 방법으로 보다 더 많이 carboxyl group을 생성시킬 수 있다면 좋은것 이겠지요. carboxyl group의 양을 한 10배만 뻥튀기 할 수 있다면 전 아마.............교수님께 인정받고 기쁜마음으로 졸업을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 >박테리아 표면의 세포벽에는 carboxyl group, phosphonate group, amine group과 같은 week acid 또는 base functional group이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실험의 목적상 week acid인 carboxyl group이 많아야 합니다. 기존의 알려진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amine group을 carboxyl group으로 바꾸는 chemical modification방법이 있습니다. >요즘 carboxyl group의 양을 증대시키는 다른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요. 보다 저렴하고 좋은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혹시 다른 분야를 연구하시는 분들 중에 저와는 최종 목적은 달라도 어쨌거나 carboxyl group의 양을 증대시켜야 하는 분들이 계실꺼라 생각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저랑 비슷한 고민을 하시고 계시거나 또는 하셨던 많은 분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꾸벅. -
답변
신동호님의 답변
2005-06-03- 0
Polyelectrolyte(고분자 전해질)이라는 고분자 물질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수용액 상에서 양/음의 전하를 띠고 있는 고분자를 말합니다. 이들 고분자는 서로 다른 전하를 띤 고분자가 수용액 상에서 만나면 정전기적 결합으로 한 몸이 되는 성질이 있습니다. 한번 결합이 일어나면 물리적 힘으로는 떨어뜨리기 어렵습니다. 정전기적 결합은 고분자 backbone에 연결되어 있는 functional group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들 group은 주로 amine, aldehyde, carbxoyl입니다. 주로 정전기적 결합이 amine-aldehyde, amine-carboxyl 형태로 일어나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박테리아 표면에 있는 aminie group이 전하를 띠고 있다면 상대 전하를 띠고 있는 과 정전기적으로 잘 결합하는 polyelectrolyte를 찾아서 해 보시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보다 효과를 증대시키려면 carboxyl기가 표면에 존재하는 dendrimer 형태의 polyelectrolyte를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이런 물질이 있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