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6-13
org.kosen.entty.User@5cdc27ff
김선미(kim2846)
- 2
식물은 전형성능을 갖고있는데 왜 식물은 갖고 동물은 없을까요
또 식물은 cell division 능력이 뛰어난데 암으로까지는 전해지지 않을까요 식물에도 암이라는게 존재할수있을까요
- totipotenc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임채진님의 답변
2005-06-14- 0
>식물은 전형성능을 갖고있는데 왜 식물은 갖고 동물은 없을까요 > >또 식물은 cell division 능력이 뛰어난데 암으로까지는 전해지지 않을까요 식물에도 암이라는게 존재할수있을까요 > > 식물학을 공부는 안했지만, 제가 아는 분이 식물체 & plant cell culture한걸 이용한 caspase activity를 측정하는 등의 실험을 진행하셨었습니다. 그리고 외부 병원균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침입 부위를 apoptotic cell death로 죽이는 기작이 있고, calus를 culture하면서 tumor와 비슷한 형상으로 abnormal growth가 일어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그렇지만 이것이 동물에게 있는 암의 특징과 100% 일치하지 않으니까 같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전이, 신생혈관 형성 등과 유사한 기작은 없고 단지 조절되지 못하는 세포 분열 뿐이니까요..) -
답변
김윤성님의 답변
2005-06-22- 0
>식물은 전형성능을 갖고있는데 왜 식물은 갖고 동물은 없을까요 > >또 식물은 cell division 능력이 뛰어난데 암으로까지는 전해지지 않을까요 식물에도 암이라는게 존재할수있을까요 >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부터 하겠습니다. 식물에도 암이 있습니다. 식물암은 Agrobacterium이라고 하는 박테리아가 일으킵니다. Agrobacterium tumafaciens는 식물내에 자기의 DNA를 전달하여 식물 호르몬 양에 변화를 유도하여 세포분열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그 결과 식물에 tumor가 생깁니다. 그러면 왜 A. tumafaciens는 이러한 일을 하는가? 식물에 전달된 유전자 중 일부는 식물에는 없는 물질을 만들도록 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국 tumor화 된 식물세포는 식물에는 없는 물질을 대량으로 만들게 되고 A. tumafaciens는 그 물질을 먹고 삽니다. 즉 식물세포을 키우는 것이지요. 그리고는 자기가 필요한 영양분을 만들게 하는 겁니다. 음 어떻게 보면 인간이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랑 비슷한 면이 있군요. 그런데 이러한 성질은 아주 유용합니다. 현재 식물유전공학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식물학자들은 A. tumafaciencs의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여 인간이 원하는 유전자를 식물에 도입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상당수가 그러한 A. tumafaciens의 능력을 이용하여 만들어 집니다. 첫번째 질문은 open quetion입니다. 단지 가능성을 얘기해 본다면..식물은 동물과 발생과정이 상당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동물은 자기 성기를 태어나면서 부터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식물은 그렇지 않지요. 나중에 필요할 때 생깁니다. 그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꽃 입니다. 또한 동물은 처음 배발생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기관이 다 생겨나고 나중에 크기만 커지지만 식물은 기관 발생이 배발생이후 에도 계속 됩니다. 오히려 배발생과정에서는 전혀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씨가 발아한 직후 잎이 전혀 없다가 조금 지나야 잎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잎이 계속해서 생겨나지요. 이는 잎으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세포가 계속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어떤과정을 거쳐서 잎이 분화하는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관련된 호르몬의 역할도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잎 자체에도 계속분화할 수 있는세포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물을 절단하여 적당한 호르몬이 들어 있는 배지에 두면 완전한 개체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데 호르몬에 반응하는 세포는 바로 이미 분화능이 있는 세포들일 것입니다. 그 세포들은 호르몬에 반응하여 아마도 전분화능이 있는 세포로 바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부터는 아직 전혀 모르는 부분입니다. 식물호르몬의 작용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조만간 식물의 전형성능과 관련된 메카니즘이 밝혀지리라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