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6-22
org.kosen.entty.User@245d2387
김지혜(bluebada)
- 1
cancer cell에서 survival pathway로 많이 알려져있는 AKT mutant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dominant negative akt mutant 인 [K179M] 만 만들면 AKT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건지요
아니면 다른 논문을 보니 kianse inactive form으로 triple mutant를 만들어 썼더라구요([K179M], [S473A], [T308A])
이렇게 만들어야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AKT에 정통하신 분의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 ak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6-23- 0
AKT에 정통하지 않아 직접적인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참고적인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말씀하신 AKT의 dominant negative mutant는 AKT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활성을 억제하는 mutant입니다. 발현을 억제하려면 antisense나 siRNA 방법 등을 사용해야 겠지요. Dominant negative는 AKT의 발현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지요... 일반적으로 dominant negative는 첫째, active site mutant가 많습니다. 그러면 upstream으로 부터 신호 (예를 들면 phosphorylation)가 전달될 때, endogenous protein과 과발현시킨 dominant negative mutant는 upstream 신호를 경쟁적으로 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적으로 dominant negative mutant가 endogenous protein보다 많다면 dominant negative mutant가 훨씬 더 많은 신호을 전달 받게 됩니다. 그러므로 endogenous protein은 신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활성이 나타나지 않고, dominant negative mutant는 신호는 받지만 효소활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이 없기 때문에 이 역시 활성이 나타나지 않게됩니다. 둘째, 신호를 전달받으려면 protein-protein interaction이 일어나면서 modification이 일어나야 합니다. 그러므로 modification site를 없애 버리면 interaction은 하지만 modification은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mutant 역시 endogenous protein 보다 과발현되면 upstream protein과 interaction을 할 때 endogenous protein과 경쟁하여 mutant가 훨씬 더 많이 결합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그렇다면 endogenous protein은 interaction/modification이 안일어나기 때문에 활성이 나타나지 않고 mutant는 interaction은 하지만 modification이 안일어나기 때문에 역시 활성이 나타나지 않는 dominant negative mutant로 작용합니다. Gene targetingr과 RNA interference의 차이는 knock-out이냐 knock-down이냐의 차이죠...knock-out은 유전자 자체를 없애버렸기 때문에 발현이 아예 안되지만, Knock-down의 경우 100% 안된다고 말할 수 없죠... dominant negative mutant의 경우도 100% 활성을 억제한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K179M은 첫번째의 경우이고, S473A와 T308A는 두번째 경우인 듯 합니다. Triple mutant는 첫번째와 두번째를 합친 dominant negative mutant인 듯 합니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둘 다 만들어서 실험하시는 모델 시스템에 어떤 것이 적합한지를 테스트 하시는 것이 가장 좋지 않을까요? >cancer cell에서 survival pathway로 많이 알려져있는 AKT mutant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 >dominant negative akt mutant 인 [K179M] 만 만들면 AKT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건지요 >아니면 다른 논문을 보니 kianse inactive form으로 triple mutant를 만들어 썼더라구요([K179M], [S473A], [T308A]) >이렇게 만들어야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 >AKT에 정통하신 분의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