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6-29
org.kosen.entty.User@1183d56
이정헌(kaihansen21)
- 2
실험에 쓸 세포주를 찾던 중 glioblastoma와 glioma가 따로 나와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이 궁금하고요. 우리 나라에서는 microglia cell line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 bra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동욱님의 답변
2005-06-29- 0
잘모르지만 웹에보니 아래와같이 분류하더군요. 신경교종 (Glioma)중에 한종류가 교모세포종 (Glioblastoma)이라더군요. 참조:http://www.cnuh.co.kr/ns/dis/brain_tumor.htm#신경교종%20(Glioma) 신경교종 (Glioma) 1) 성상세포종 (Astrocytoma) - 성상세포종 - 역행성 성상세포종 (Anaplastic astrocytoma) - 교모세포종 (Glioblastoma) -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 (Pilocytic astrocytoma) 2) 핍지교종, 희돌기 교종 (Oligodendroglioma) 3) 상의세포종 (ependymoma) 수막종 (Meningioma) 청신경초종 (Acoustic schwannoma) 뇌하수체 선종 (Pituatary Adenoma) -------------- 대표적으로 실험에 많이 쓰는 microglia cell line 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원하면 ATCC를 보세요.(http://www.atcc.org) Human microglia cell line (HMO6) Murine microglia cell line (BV-2) Murine microglia cell line (N9) Rat microglia cell line (MLS-9) --- 웹을보니 microglia cell line중 BV2를 써서 한약재약리작용연구한것이있군요. 그리고, in vitro모델로 microglia cell line(BV2)을 이용하여 한약재의 효과를 조사하고 약재로부터의 약리활성 물질의 작용 기전을 연구하한다. 인체 신경아세포주에 한약을 여러 농도로 가해 신경세포의 apoptosis에 영향을 주는 농도를 확인한 후 apoptosis에 영향을 주는(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단백질들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 블로팅을 이용하여 이 단백질들의 발현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의 양을 Northern 블로팅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본 연구에 이용될 유전자에는 ICE-1, Nedd-2, caspase-3, bcl-2, bcl-XL, BAD, BAX 그리고 bcl-w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확립된 인체 신경아세포종 세포주들을 대상으로 한약이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시험관내에서 TUNEL 염색, 면역 블로팅, Northern 블로팅 등 각종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한다. 출처:http://web.kyunghee.ac.kr/~herbal/research/subject1a.html ------------------------------------------ >실험에 쓸 세포주를 찾던 중 glioblastoma와 glioma가 따로 나와 있다는 >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이 궁금하고요. 우리 나라에서는 microglia cell line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6-30- 0
암의 명명법은 복잡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설명하면 Glioma는 원발성 뇌종양의 절반을 차지하며 종류로는 80%를 차지하는 astrocytoma, 5-10%를 차지하는 oligodendroglioma, 5-10%를 차지하는 ependymoma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크게 해부병리학적 기준에 따라 4개의 grade로 나눌 수 있는데 쉽게 말해 more malignant한 grade 3 astrocytoma를 anaplastic astrocytoma로 grade 4 astrocytoma를 glioblastoma multiforme으로 명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glioma보다 훨씬 더 악성종양을 glioblastoma로 이해해도 될 것 같은데요... (혹시나 제가 잘못 알고 있으며 수정해 주세요...) 참고적으로 암의 명명에는 크게 2가지 규칙이 있는데, 원발 장기에 따라서나 암세포의 모양 또는 발생기원에 따라 분류합니다. 원발 장기에 따른 분류는 cell origin + oma (예를 들면 glial cell + oma = glioma)를 많이 사용합니다. >실험에 쓸 세포주를 찾던 중 glioblastoma와 glioma가 따로 나와 있다는 >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이 궁금하고요. 우리 나라에서는 microglia cell line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