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항생제 함량 측정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microparticle 생성 후 particle안의 항생제 함량 측정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microparticle은 PLGA로 생성할 것이고요... 항생제는 ampicillin, tetracycline, chlorampenicol, penicillin G, ofloxacin을 사용할 것입니다.... 아시고 있으신분 부탁드립니다.
  • antibiotic
  • conten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태호님의 답변

    >microparticle 생성 후 particle안의 항생제 함량 측정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microparticle은 PLGA로 생성할 것이고요... > >항생제는 ampicillin, tetracycline, chlorampenicol, penicillin G, ofloxacin을 사용할 것입니다.... > >아시고 있으신분 부탁드립니다. 어떤 background를 가지고 있는 분인지 모르지만 전체적으로는 약품물리학 및 유사 분야를 공부하신 분이 대답해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다만 제가 ofloxacin의 양을 측정하는 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ofloxacin은 UV 흡광도가 매우 크며, 1N NaOH수용액에 잘 녹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분광학적 방법(UV 흡광도 측정)을 이용하여 정량이 가능할 것입니다.
    >microparticle 생성 후 particle안의 항생제 함량 측정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microparticle은 PLGA로 생성할 것이고요... > >항생제는 ampicillin, tetracycline, chlorampenicol, penicillin G, ofloxacin을 사용할 것입니다.... > >아시고 있으신분 부탁드립니다. 어떤 background를 가지고 있는 분인지 모르지만 전체적으로는 약품물리학 및 유사 분야를 공부하신 분이 대답해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다만 제가 ofloxacin의 양을 측정하는 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ofloxacin은 UV 흡광도가 매우 크며, 1N NaOH수용액에 잘 녹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분광학적 방법(UV 흡광도 측정)을 이용하여 정량이 가능할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microparticle 생성 후 particle안의 항생제 함량 측정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microparticle은 PLGA로 생성할 것이고요... > >항생제는 ampicillin, tetracycline, chlorampenicol, penicillin G, ofloxacin을 사용할 것입니다.... > >아시고 있으신분 부탁드립니다. 항생제를 비롯한 대부분의 약효물질들의 정량법은 “약전“ 이라고 하는 것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약전인 대한약전, 미국 약전인 USP, 유럽약전인 EP 등이 바로 그것 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항생물질은 “항기(항생물질기준)“ 이라고 해서 따로 있지요. 앞서 언급한 약전이나 분석관련 문헌을 찾으면 적당한 정량분석방법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항기의 경우 대부분이 bioassay법으로 되어 있어 사용하기 좀 힘들 겁니다. 가능한한 HPLC법을 찾으시길 권합니다. 각 물질의 표준물질도 대부분 판매되고 있으니 정량분석에 별 문제는 없을 걸로 생각됩니다. 보다 자세한 답변이 필요하시면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microparticle 생성 후 particle안의 항생제 함량 측정법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microparticle은 PLGA로 생성할 것이고요... > >항생제는 ampicillin, tetracycline, chlorampenicol, penicillin G, ofloxacin을 사용할 것입니다.... > >아시고 있으신분 부탁드립니다. 항생제를 비롯한 대부분의 약효물질들의 정량법은 “약전“ 이라고 하는 것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약전인 대한약전, 미국 약전인 USP, 유럽약전인 EP 등이 바로 그것 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항생물질은 “항기(항생물질기준)“ 이라고 해서 따로 있지요. 앞서 언급한 약전이나 분석관련 문헌을 찾으면 적당한 정량분석방법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항기의 경우 대부분이 bioassay법으로 되어 있어 사용하기 좀 힘들 겁니다. 가능한한 HPLC법을 찾으시길 권합니다. 각 물질의 표준물질도 대부분 판매되고 있으니 정량분석에 별 문제는 없을 걸로 생각됩니다. 보다 자세한 답변이 필요하시면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