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RNA isolation 3

여러 연구자들의 조언에 힘입어 pancreas RNA isolaion에는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quality check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온 ratio값은 2.00으로 모두 양호하나 28s/18s의 비율이 0.3-0.7로 매우 저조합니다. 28s의 band가 어느정도 degredation이 된듯 싶은데요. 현 상황에서 비율을 1.3 이상으로 isolation하고 싶은데 가능할지를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RNA isolation방법은 액체질소에서 갈은후에 QAGEN에서 나오는 RNeasy protect Mini Kit을 사용하여 isolation하였습니다. 이 kit의 lysis buffer는 Guanidine isothiocyanate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homogenize한 후의 steps에서 주의해야될 부분이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rn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허광래님의 답변

    RNA work을 잘 하셔서 성공하셨다니 축하합니다. 두번?의 관문은 gel에서의 순수도 입니다. 통상 spec을 사용하나, 이것 별 의미 없습니다. 즉 수치를 믿으면 안된다는 것이지요. 반드시 RNA 젤을 걸어서 확인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젤을 걸때 1) EtBr를 나중에 넣는 것이 좋으며, 2) 만일 염도가 높으면 밴드가 짜리몽땅 해 지므로 이 점을 감안해서 염기를 없에는 후속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컬럼 한번 더 걸기 혹은 EtOH 침전 한번 더하기) 3) 밴드의 발기비를 눈으로 보면 통상 2:1 정도 이상이 나옵니다. 아래서 이야기 한 것처럼 실험해서 조직 분쇄 후 시약을 넣으면, RNA ?팁?수 있는 찬스는 거의 없으므로 걱정 한하셔도 됩니다. 다만 28S/18S RNA의 밝기 비와 salt만 신경쓰시면 됩니다. 너무 염도가 높으면 다음 실험이 잘 안됩니다.(cDNA 합성) ^^대전에서 >여러 연구자들의 조언에 힘입어 pancreas RNA isolaion에는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quality check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온 ratio값은 2.00으로 모두 양호하나 28s/18s의 비율이 0.3-0.7로 매우 저조합니다. >28s의 band가 어느정도 degredation이 된듯 싶은데요. >현 상황에서 비율을 1.3 이상으로 isolation하고 싶은데 가능할지를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 >RNA isolation방법은 액체질소에서 갈은후에 QAGEN에서 나오는 RNeasy protect Mini Kit을 사용하여 isolation하였습니다. 이 kit의 lysis buffer는 Guanidine isothiocyanate로 알고 있습니다. > >혹시 homogenize한 후의 steps에서 주의해야될 부분이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RNA work을 잘 하셔서 성공하셨다니 축하합니다. 두번?의 관문은 gel에서의 순수도 입니다. 통상 spec을 사용하나, 이것 별 의미 없습니다. 즉 수치를 믿으면 안된다는 것이지요. 반드시 RNA 젤을 걸어서 확인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젤을 걸때 1) EtBr를 나중에 넣는 것이 좋으며, 2) 만일 염도가 높으면 밴드가 짜리몽땅 해 지므로 이 점을 감안해서 염기를 없에는 후속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컬럼 한번 더 걸기 혹은 EtOH 침전 한번 더하기) 3) 밴드의 발기비를 눈으로 보면 통상 2:1 정도 이상이 나옵니다. 아래서 이야기 한 것처럼 실험해서 조직 분쇄 후 시약을 넣으면, RNA ?팁?수 있는 찬스는 거의 없으므로 걱정 한하셔도 됩니다. 다만 28S/18S RNA의 밝기 비와 salt만 신경쓰시면 됩니다. 너무 염도가 높으면 다음 실험이 잘 안됩니다.(cDNA 합성) ^^대전에서 >여러 연구자들의 조언에 힘입어 pancreas RNA isolaion에는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quality check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온 ratio값은 2.00으로 모두 양호하나 28s/18s의 비율이 0.3-0.7로 매우 저조합니다. >28s의 band가 어느정도 degredation이 된듯 싶은데요. >현 상황에서 비율을 1.3 이상으로 isolation하고 싶은데 가능할지를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 >RNA isolation방법은 액체질소에서 갈은후에 QAGEN에서 나오는 RNeasy protect Mini Kit을 사용하여 isolation하였습니다. 이 kit의 lysis buffer는 Guanidine isothiocyanate로 알고 있습니다. > >혹시 homogenize한 후의 steps에서 주의해야될 부분이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