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미생물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측정

퇴비화를 연구하고 있는데... 호기성에서 미생물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어떤 방법으로 측정을 하면될까요!!?? 뭐 장비를 사용하면 쉽고 간편하겠지만, 지금당장 급하게 장비를 구입할 시간도 없고 해서요!! 간단하게 NaOH 등에 녹여서 중화적정하여 측정하기도 하는것 같기는 한데... 잘 안되네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들께 도움을 요청합니다.
  • carbon dioxide
  • metaboli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측정기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해 본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이산화탄소는 다음 식에서 보는 것처럼 물 속에 용해되면 수소이온을 유리시켜 물의 pH를 산성화시키게 됩니다. CO₂+ H₂O = [H₂CO₃] ↔[HCO₃] + [H+] ↔[CO₃2-]+ [H=] 만일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수소이온 농도도 증가하게 되고 pH는 감소하게 되겠지요. 따라서 pH의 감소정도를 가지고 개략적인 농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리고 다음 방법은 이산화 탄소를 정량하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인데..시도를 해 보지 않아서..얼마나 정확할지는 모르겠습니다. 따 온것이라서 염화바륨법(Barium Chloride)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http://www.rda.go.kr/user.tdf?a=common.HtmlApp&c=1001&page=portal/agri/fertilizer_04_06.html >퇴비화를 연구하고 있는데... >호기성에서 미생물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어떤 방법으로 측정을 하면될까요!!?? >뭐 장비를 사용하면 쉽고 간편하겠지만, 지금당장 급하게 장비를 구입할 시간도 없고 해서요!! >간단하게 NaOH 등에 녹여서 중화적정하여 측정하기도 하는것 같기는 한데... 잘 안되네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들께 도움을 요청합니다. >
    측정기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해 본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이산화탄소는 다음 식에서 보는 것처럼 물 속에 용해되면 수소이온을 유리시켜 물의 pH를 산성화시키게 됩니다. CO₂+ H₂O = [H₂CO₃] ↔[HCO₃] + [H+] ↔[CO₃2-]+ [H=] 만일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수소이온 농도도 증가하게 되고 pH는 감소하게 되겠지요. 따라서 pH의 감소정도를 가지고 개략적인 농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리고 다음 방법은 이산화 탄소를 정량하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인데..시도를 해 보지 않아서..얼마나 정확할지는 모르겠습니다. 따 온것이라서 염화바륨법(Barium Chloride)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http://www.rda.go.kr/user.tdf?a=common.HtmlApp&c=1001&page=portal/agri/fertilizer_04_06.html >퇴비화를 연구하고 있는데... >호기성에서 미생물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어떤 방법으로 측정을 하면될까요!!?? >뭐 장비를 사용하면 쉽고 간편하겠지만, 지금당장 급하게 장비를 구입할 시간도 없고 해서요!! >간단하게 NaOH 등에 녹여서 중화적정하여 측정하기도 하는것 같기는 한데... 잘 안되네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을 알고 계신분들께 도움을 요청합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찬승님의 답변

    >간단하게 NaOH 등에 녹여서 중화적정하여 측정하기도 하는것 같기는 한데... 잘 안되네요!! 장비 없이 측정하려면, 물에 녹인뒤 염기로 적정하는방법외엔 없습니다. 말씀하신데로, NaOH에 녹이면 당연히 안되고요, 끓인뒤 곧바로 식힌 증류수에 녹여야 합니다. (이미 물속에 있는 CO2 제거) 그 뒤에 NaOH 로 산-염기 적정하면 됩니다. 반대로 세균이 산소를 소모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므로, 용존산소를 과망간산칼륨으로 산화환원 적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간접방법이 방해인자가 적어 더 정확합니다.
    >간단하게 NaOH 등에 녹여서 중화적정하여 측정하기도 하는것 같기는 한데... 잘 안되네요!! 장비 없이 측정하려면, 물에 녹인뒤 염기로 적정하는방법외엔 없습니다. 말씀하신데로, NaOH에 녹이면 당연히 안되고요, 끓인뒤 곧바로 식힌 증류수에 녹여야 합니다. (이미 물속에 있는 CO2 제거) 그 뒤에 NaOH 로 산-염기 적정하면 됩니다. 반대로 세균이 산소를 소모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므로, 용존산소를 과망간산칼륨으로 산화환원 적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간접방법이 방해인자가 적어 더 정확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오성택님의 답변

    American public health pollution analysis 미국 하폐수 분석 지침시 6장에 보면, 이산화탄소 측성 법이 정확하게 나와 있습니다. 그 내용을 보면, 먼저 포집후, H2CO3을 측정하고, 각 온도와 압력에 변화에 따라서 HCO3-, CO3-2를 차례대로 평형상수에 따라 계산하고, 합산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세균이 산소를 소모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므로, 미생물의 산소 소모량을 측정하셔서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예측하는 법이 있습니다. 본 방법은 위의 분이 설명하신것을 보충한것이며, 이 방법도 산업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물속에 포화 산소농도를 만들고 (9.2 ppm at 25 oC), 그 물에 미생물을 넣어 미생물이 산소를 소모하게 만들고, 산소 소모량을 시간대별로 체크합니다. 산소 정량방법은 용존산소 측정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환원 적정) 이 간접방법이 방해인자가 적어 더 정확하지만, 미생물이 수중 미생물이 아닐 경우 즉, 퇴비나, 토양 미생물일 경우나, 퇴비를 만드는 반응기의 성능을 체크하고 할때는 가능성이 미비하고, 위의 1번 방법을 권장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American public health pollution analysis 미국 하폐수 분석 지침시 6장에 보면, 이산화탄소 측성 법이 정확하게 나와 있습니다. 그 내용을 보면, 먼저 포집후, H2CO3을 측정하고, 각 온도와 압력에 변화에 따라서 HCO3-, CO3-2를 차례대로 평형상수에 따라 계산하고, 합산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세균이 산소를 소모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므로, 미생물의 산소 소모량을 측정하셔서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예측하는 법이 있습니다. 본 방법은 위의 분이 설명하신것을 보충한것이며, 이 방법도 산업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물속에 포화 산소농도를 만들고 (9.2 ppm at 25 oC), 그 물에 미생물을 넣어 미생물이 산소를 소모하게 만들고, 산소 소모량을 시간대별로 체크합니다. 산소 정량방법은 용존산소 측정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환원 적정) 이 간접방법이 방해인자가 적어 더 정확하지만, 미생물이 수중 미생물이 아닐 경우 즉, 퇴비나, 토양 미생물일 경우나, 퇴비를 만드는 반응기의 성능을 체크하고 할때는 가능성이 미비하고, 위의 1번 방법을 권장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