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Na2CO3와 NaHCO3 분석

입자내에 함유되어 있는 Na2CO3와 NaHCO3의 함량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어떤 기기를 이용해서 분석할 수 있는지, 어디서 분석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Na2CO3
  • NaHCO3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입자내에 함유되어 있는 Na2CO3와 NaHCO3의 함량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어떤 기기를 이용해서 분석할 수 있는지, 어디서 분석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식품분석 실험에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 실험 목적 염산과 탄산염을 반응시킬 때,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무게 변화나,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탄산염이 어떤 화합물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또 이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물질의 반응에서 일정성분비의 법칙이 성립함을 증명할 수 있다. ◇ 실험의 원리 이 실험에서 쓰이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a2CO3 + 2HCl --> CO2 + H2O + 2NaCl … ① NaHCO3 + HCl --> CO2 + H2O + NaCl … ② 실험 A. 탄산염의 분석(무게 변화) 탄산나트륨 1몰과 탄산수소나트륨 1몰이 염산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무게는 각각 같지만, 반응하는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자량이 다르므로 전체 시료의 무게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발생률은 달라진다. ①번 식에서 (감소한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를 계산해 보면, ×100 = ×100 = ×100 = 41.5% ∴ (남은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 58.5% ②번 식에서 (감소한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를 계산해 보면, ×100 = ×100 = ×100 = 52.3% ∴ (남은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 47.7% 그러므로, (감소한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혹은 (남은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해 봄으로써, 반응에 사용된 시료가 어떤 화합물인지 알아낼 수 있다. 실험 B. 탄산염의 분석(이산화탄소의 부피)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PV=nRT 에서 P, R, T 는 측정할 수 있으므로, V를 구함으로써 n을 구할 수 있다.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n과 반응한 탄산염의 몰수를 비교하여 각 시료가 어떤 화합물인지 밝힐 수 있다. Data & Result 실험 A. 탄산염의 분석(무게 변화) 실험기구 및 시약 0.001g 까지 잴 수 있는 전자저울, Weighing Boat x 6, 탄산나트륨 (Na2CO3 : Sodium 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 Sodium Bicarbonate) (미리 0.1 g 정도를 각각 3개씩 측정해 둔다.), 6N HCl (진한 염산을 2배로 묽혀서 사용.) 실험방법 1. 잘 마른 weighing boat를 전자저울에 올려놓고, 5ml의 6N 염산을 가한 후, tare를 눌러 0.000이 되도록 맞춘다. 2. 0.001g까지 정확히 측정한 sample A를 가한 후, 10초 간격으로 무게 변화가 없을 때까지, 눈금을 읽는다. (처음의 30초 동안은 가능한 한 데이터를 많이 수집한다.)
    >입자내에 함유되어 있는 Na2CO3와 NaHCO3의 함량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어떤 기기를 이용해서 분석할 수 있는지, 어디서 분석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 식품분석 실험에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 실험 목적 염산과 탄산염을 반응시킬 때,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무게 변화나,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탄산염이 어떤 화합물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또 이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물질의 반응에서 일정성분비의 법칙이 성립함을 증명할 수 있다. ◇ 실험의 원리 이 실험에서 쓰이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a2CO3 + 2HCl --> CO2 + H2O + 2NaCl … ① NaHCO3 + HCl --> CO2 + H2O + NaCl … ② 실험 A. 탄산염의 분석(무게 변화) 탄산나트륨 1몰과 탄산수소나트륨 1몰이 염산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무게는 각각 같지만, 반응하는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자량이 다르므로 전체 시료의 무게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발생률은 달라진다. ①번 식에서 (감소한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를 계산해 보면, ×100 = ×100 = ×100 = 41.5% ∴ (남은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 58.5% ②번 식에서 (감소한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를 계산해 보면, ×100 = ×100 = ×100 = 52.3% ∴ (남은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 47.7% 그러므로, (감소한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혹은 (남은 시료의 무게/처음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해 봄으로써, 반응에 사용된 시료가 어떤 화합물인지 알아낼 수 있다. 실험 B. 탄산염의 분석(이산화탄소의 부피)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PV=nRT 에서 P, R, T 는 측정할 수 있으므로, V를 구함으로써 n을 구할 수 있다.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n과 반응한 탄산염의 몰수를 비교하여 각 시료가 어떤 화합물인지 밝힐 수 있다. Data & Result 실험 A. 탄산염의 분석(무게 변화) 실험기구 및 시약 0.001g 까지 잴 수 있는 전자저울, Weighing Boat x 6, 탄산나트륨 (Na2CO3 : Sodium 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 (NaHCO3 : Sodium Bicarbonate) (미리 0.1 g 정도를 각각 3개씩 측정해 둔다.), 6N HCl (진한 염산을 2배로 묽혀서 사용.) 실험방법 1. 잘 마른 weighing boat를 전자저울에 올려놓고, 5ml의 6N 염산을 가한 후, tare를 눌러 0.000이 되도록 맞춘다. 2. 0.001g까지 정확히 측정한 sample A를 가한 후, 10초 간격으로 무게 변화가 없을 때까지, 눈금을 읽는다. (처음의 30초 동안은 가능한 한 데이터를 많이 수집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기철님의 답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제가 하고자 하는 분석은 입자 하나에 Na2CO3와 NaHCO3 및 기타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Na2CO3와 NaHCO3 각각의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가능한 실험적 혹은 기기적 분석이 어떤 것이 있는지요? 또한 의뢰할 수 있는 곳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제가 하고자 하는 분석은 입자 하나에 Na2CO3와 NaHCO3 및 기타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Na2CO3와 NaHCO3 각각의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가능한 실험적 혹은 기기적 분석이 어떤 것이 있는지요? 또한 의뢰할 수 있는 곳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