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친수성에 대하여..

친수성의 기본 정의, 생성방법 및 물리적, 화학적 표현방법과 표면처리 후 친수성의 측정방법에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plasm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 > >친수성의 기본 정의, 생성방법 및 물리적, 화학적 표현방법과 >표면처리 후 친수성의 측정방법에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친수성을 말 그대로 물이 잘 붙는다는 것입니다. 화학적인 의미에서 보면 물이 극성을 띤 물질이므로 이런 물의 극성과 반데르발스 힘으로 잘 결합을 유지하는 성질입니다. 이런 어떤 물질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극성을 띠는 물질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팅을 할때 OH, C=O, NH4+ 등과 같이 극성을 띠는 관능기(functional group)를 가지는 물질을 코팅하거나 이온성을 띠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이온성을 띠게 되면 물의 극성 부분에 따라 다르게 이온 결합을 하기 때문입니다. 표현 방법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몰라서 제가 적지는 않겠습니다. 친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것이 접촉각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친수성을 클수록 접촉각의 크기가 작아지고 친수성을 작을수록 접촉각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쉽게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차가 많은 단점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 > >친수성의 기본 정의, 생성방법 및 물리적, 화학적 표현방법과 >표면처리 후 친수성의 측정방법에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친수성을 말 그대로 물이 잘 붙는다는 것입니다. 화학적인 의미에서 보면 물이 극성을 띤 물질이므로 이런 물의 극성과 반데르발스 힘으로 잘 결합을 유지하는 성질입니다. 이런 어떤 물질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극성을 띠는 물질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팅을 할때 OH, C=O, NH4+ 등과 같이 극성을 띠는 관능기(functional group)를 가지는 물질을 코팅하거나 이온성을 띠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이온성을 띠게 되면 물의 극성 부분에 따라 다르게 이온 결합을 하기 때문입니다. 표현 방법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몰라서 제가 적지는 않겠습니다. 친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것이 접촉각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친수성을 클수록 접촉각의 크기가 작아지고 친수성을 작을수록 접촉각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쉽게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차가 많은 단점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준호님의 답변

    윗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친수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물과의 접촉각 측정법입니다. 재료의 표면에 물을 올려놓고 물과 기반의 계면에서부터 물/기반/공기의 삼중점에서의 물의 표면벡터와의 각도를 접촉각이라고 하며, 접촉각이 90도를 넘을 경우 소수성, 90도 밑일 경우 친수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접촉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친수성이 강하다고 보면 되며, 이때의 접착에너지는 물의 표면장력이 일정하므로 1+cos(접촉각)에 비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 이때의 저촉각은 평형접촉각을 의미하며, 재료의 표면이 거칠 경우 접촉각은 일반적으로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윗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친수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물과의 접촉각 측정법입니다. 재료의 표면에 물을 올려놓고 물과 기반의 계면에서부터 물/기반/공기의 삼중점에서의 물의 표면벡터와의 각도를 접촉각이라고 하며, 접촉각이 90도를 넘을 경우 소수성, 90도 밑일 경우 친수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접촉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친수성이 강하다고 보면 되며, 이때의 접착에너지는 물의 표면장력이 일정하므로 1+cos(접촉각)에 비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 이때의 저촉각은 평형접촉각을 의미하며, 재료의 표면이 거칠 경우 접촉각은 일반적으로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