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haemacytometer 사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100mm이고 0.0025mm2이더라구요. 제가 가진 것도 그러구요. 혹시 다른 규격이 있는지 만약 없다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 정확히 측정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haemacytometer
  • yeas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커버 글라스를 씌운 후 약 2-3분 고정을 시키신 후 사용해보세요. 실제 혈구를 카운트 할때도 어느정도 안정화를 시킨 후 사용하거든요. 그리고 분주하실때 어떻게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너무 많은 양을 분주했을 경우 커버 글라스를 씌워도 어느정도 유동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완전히 덮힐 정도로 많이 분주하시지 마시고, 조금씩 분주해서 완전히 덮히게 만드시는게 하나의 테크닉이라고 생각됩니다. 다시말해, 커버 글라스를 씌우고 파이펫으로 아주 소량 조금씩 분주해서 넘쳐 흐리지 않게 해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100mm이고 0.0025mm2이더라구요. 제가 가진 것도 그러구요. >혹시 다른 규격이 있는지 만약 없다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 정확히 측정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
    커버 글라스를 씌운 후 약 2-3분 고정을 시키신 후 사용해보세요. 실제 혈구를 카운트 할때도 어느정도 안정화를 시킨 후 사용하거든요. 그리고 분주하실때 어떻게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너무 많은 양을 분주했을 경우 커버 글라스를 씌워도 어느정도 유동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완전히 덮힐 정도로 많이 분주하시지 마시고, 조금씩 분주해서 완전히 덮히게 만드시는게 하나의 테크닉이라고 생각됩니다. 다시말해, 커버 글라스를 씌우고 파이펫으로 아주 소량 조금씩 분주해서 넘쳐 흐리지 않게 해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100mm이고 0.0025mm2이더라구요. 제가 가진 것도 그러구요. >혹시 다른 규격이 있는지 만약 없다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 정확히 측정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허광래님의 답변

    대략의 내용을 보니, 사용법에 대한 개선을 하는 것이 좋아보이는군요. 절데로 헤마사이토미터 안에 있는 세포들은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 그런데 왜 움직이느냐? 하는 것이 문제인데, 그렇다면 뭔가 사용법에 대해서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적절히 셋팅하고 약간의 시간을 두어 고정시켜준다면, 작은 효모라고 해서 절데로 안에서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이유에서인가 내부에 압력이 걸려서 안의 액체가 움직이고 있다는 이야기지요. 이것을 개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바글라스를 먼저 본체에 압력이 걸린 상태로 고정시킨 후에 액체를 주입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하는 방법은 본체와 카바글라스 접촉면 사이의 Newton ring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1) 커버글라스에 약간의 습기를 가한다 ---카바글라스에 입김을 쐬어주던지 본체의 접촉면에 침을 살짝 바르던지 2) 카바글라스를 본체의 1/4 지점 근처에 10-30도 정도의 각도로 비스듬이 접근한다. 3) 카바를 본체에 붙인 후에 본체의 나머지 3/4 부분동안, 양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민다. 4) 본체와 카바의 접촉면을 형광등 밑의 여러 각도에서 관찰하여, 2곳의 접촉면에 5-10개 정도의 동심원이 있는지 관찰한다. 이러한 동심원이 Newton ring입니다 5) 이러한 Newton ring은 본체와 카바글라스 사이의 압력이 걸려있다는 이야기로서, 배지를 카바와 본체의 접촉공간 안에 넣는다고 해서 절데로 카바글라스가 뜨지 않습니다. 또한 배지를 넣기 전에도 본체를 뒤집는다고 해서 카바글라스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6) 또한 주의 사항은 카바글라스의 양쪽 접촉면에 생긴 Newton ring이 균일한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만일 균일하지 않다면 양쪽 면의 압력이 틀린것이므로, volume상의 오차를 유발하겠지요.. 그럼 즐현미경 하십시요. 대전 효모연구실험실에서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100mm이고 0.0025mm2이더라구요. 제가 가진 것도 그러구요. >혹시 다른 규격이 있는지 만약 없다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 정확히 측정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
    대략의 내용을 보니, 사용법에 대한 개선을 하는 것이 좋아보이는군요. 절데로 헤마사이토미터 안에 있는 세포들은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 그런데 왜 움직이느냐? 하는 것이 문제인데, 그렇다면 뭔가 사용법에 대해서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적절히 셋팅하고 약간의 시간을 두어 고정시켜준다면, 작은 효모라고 해서 절데로 안에서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이유에서인가 내부에 압력이 걸려서 안의 액체가 움직이고 있다는 이야기지요. 이것을 개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바글라스를 먼저 본체에 압력이 걸린 상태로 고정시킨 후에 액체를 주입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하는 방법은 본체와 카바글라스 접촉면 사이의 Newton ring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1) 커버글라스에 약간의 습기를 가한다 ---카바글라스에 입김을 쐬어주던지 본체의 접촉면에 침을 살짝 바르던지 2) 카바글라스를 본체의 1/4 지점 근처에 10-30도 정도의 각도로 비스듬이 접근한다. 3) 카바를 본체에 붙인 후에 본체의 나머지 3/4 부분동안, 양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민다. 4) 본체와 카바의 접촉면을 형광등 밑의 여러 각도에서 관찰하여, 2곳의 접촉면에 5-10개 정도의 동심원이 있는지 관찰한다. 이러한 동심원이 Newton ring입니다 5) 이러한 Newton ring은 본체와 카바글라스 사이의 압력이 걸려있다는 이야기로서, 배지를 카바와 본체의 접촉공간 안에 넣는다고 해서 절데로 카바글라스가 뜨지 않습니다. 또한 배지를 넣기 전에도 본체를 뒤집는다고 해서 카바글라스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6) 또한 주의 사항은 카바글라스의 양쪽 접촉면에 생긴 Newton ring이 균일한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만일 균일하지 않다면 양쪽 면의 압력이 틀린것이므로, volume상의 오차를 유발하겠지요.. 그럼 즐현미경 하십시요. 대전 효모연구실험실에서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100mm이고 0.0025mm2이더라구요. 제가 가진 것도 그러구요. >혹시 다른 규격이 있는지 만약 없다면 지금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 정확히 측정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