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xanthine/ xanthine oxidase 실험에서..

    xanthine/ xanthine oxidase 실험에서..

    안녕하세요? 우선 답변주신 님에게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제가 실험을 해보았는데요.. 실은 실험이 잘 되질 않아서요? 반응을 시킨후에 바로 보라빛색을 띄는건가요? 그리고 반응시킬때 혹시 암조건에서 반응을 하는건가요? 그리고 또 한가지 의문점은요.. control (X/XO/NBT), positive control (X/XO/NBT/Vitamine C), sample (X/XO/NBT/sample) X: xanthine; XO: xanthine oxidase; NBT: nit...

    자세히 보기
    • xanthine/ xanthine oxidase

  • 열섬 현상에 대해

    열섬 현상에 대해

    열섬 현상을 측정하고 도시화 할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혹 이 분야 연구가 활발한 곳은 어디인가요?

    자세히 보기
    • heat island
    2005-10-06

  • siRNA 와 dominant negative mutant

    siRNA 와 dominant negative mutant

    지금 분자생물학 책보고공부학는 학부생입니다.. 그런데,,,,공부하다보니...자세한 설명없이 원론적으로 적혀있어서.. 이런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론과....실제적 사용예좀 가르쳐 주세요.. 둘다...loss of function에 사용된다는것은 아는데요..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siRNA
    • RNAi
    • donimant negative
    2005-10-06 이영호(bloomun)

  • Insulin resistance index 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Insulin resistance index 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지수를 구할때 흔히 Turner 등이 1985년 발표한 다음의 공식을 사용합니다. Fasting insulin(uU/ml)*fasting glucose(mmol/L) ------------------------------------------------- = HOMA-IR 22.5 이때 분모에 있는 22.5라는 상수의 유래를 알고 싶습니다. 어떻게 22.5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insulin resistance
    2005-10-06 강효찬(taifun)

  • DPPH시약을 만드려 합니다.

    DPPH시약을 만드려 합니다.

    항산화 시험을 하기 위해 DPPH법으로 사용하려 DPPH를 Et-OH에 녹여서 control을 잡았는데 DPPH 용액만을 가지고 delta값을 얻었는데 상당히 크게 나옵니다. 가지고 있던 시약이 냉동보관되어있기는 하였지만 사용기간이 1년이 넘었는데 dpph에 대한 일반사용상에 주의점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antioxidant
    • radical
    2005-10-05 황권택(hwangskt)

  • NOx 제거설비의 최근 기술동향?

    NOx 제거설비의 최근 기술동향?

    소각공정에서 NOx 를 저감시키기 위한 운전방법과 최근의 NOx 제거설비 동향 및 신기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NOx
    • SCR
    2005-10-05 김병렬(env21)

  • Knock-out시에 lethal한 유전자

    Knock-out시에 lethal한 유전자

    knock-out으로 기능분석 시 lethal해서 knocok-out으로 분석이 불가능한 단백질이 있을 것 같은데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그런 경우 어떤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고언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knock-out
    2005-10-04 임채진(kwcl)

  • 노이즈에 의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계산할 때...

    노이즈에 의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계산할 때...

    convection 문제나 diffusion-reaction model에 대한 noise에 의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고려할 때, 노이즈가 없는 경우에 대한 방정식들에 multiplicative noise나 additive noise 항을 덧붙여 주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무 문제 없는 걸까요? 아니면, first principle 에서 출발해서 중간에 noise에 의한 효과를 보정해 주는 것이 필수인가요? 후자의 경우, 별 문제가 없겠지만 많은 관련 논문들을 찾아보면 전자의 방법...

    자세히 보기
    • additive noise
    • dynamical system
    • multiplicative noise
    2005-10-04 조영권(blue3443)

  • 세포분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세포분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세포분리를 MACS에 의해서 하려하는데요~ cytosol에 분비되는 세포의 primary antibody라서 secondary antibody 가 안으로 들어가야 할듯한데.... 혹시 이러한 안에서 분비하는 세포의 상피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아시는 분 꼭 좀 알려 주세요~ FACS 방법은 넘 생존율이 낮아서요..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a
    • a
    • a
    2005-10-04 김선영(gari01)

  • phospholipase A2를 이용한 hydrolysis에 대하여

    phospholipase A2를 이용한 hydrolysis에 대하여

    phospholipase A2를 이용하여 세포막의 ester 결합을 끊고 carboxyl group을 생성시키는 즉, phospholipid를 hydrolysis 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enzyme에 관해서는 문외한 인지라 처음에는 최적 pH, 최적 온도, cofactor등이 필요한지도 모르고 그냥 섞어보았다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결과란 phospholipid의 hydrolysis로 인하여 세포막에 carboxyl group이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세히 보기
    • phospholipase
    • hydrolysis
    • lipid
    2005-10-03 최순범(beom8649)

  • 항산화 실험중에 xanthine/xanthine oxidase실험원리가 궁금합니다.

    항산화 실험중에 xanthine/xanthine oxidase실험원리가 궁금합니다.

    항산화 실험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실험원리가 너무나 궁금합니다. NBT가 어떠한 역활을 하는건지? 그리고 실험시 주의사항은 무엇인지도요. 꼭 잔틴과 NBT를 mixing해서 시약준비를 해야하는지도요.

    자세히 보기
    • superoxide radical

  • 알츠하이머 뇌가소성

    알츠하이머 뇌가소성

    안녕하십니까? 알츠하이머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이라고 하면 약으로 진행속도를 늦출뿐 걸리면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약으로 치매지연을 할 수 있지만 뇌를 많이 쓰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뇌가소성이 이부분을 설명이 된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알츠하이머를 지연시킬 수 있는 뇌가소성 연구를 알고 싶습니다. 혹 허혈성 치매에 대한 뇌가소성연구가 있으면 알려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Brain Plasticity
    • potentiaton
    • alzheimer
    2005-10-02 표만석(enRjql)

  • chemical crosslinking에 관해서

    chemical crosslinking에 관해서

    저는 생물학 공부를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target protein ID를 위해 요즘 새로이 떠오르는 biochemical assay 로 crosslinking을 이용한다고 나와 있는데 이게 어떤 개념인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chemical crosslinking 에 대해 검색을 해봐도 화학,특히 고분자쪽 자료로만 나와있고 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예는 찾기가 쉽지 않아서 여기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자료 부탁드려요~ ^^

    자세히 보기
    • chemical crosslinking

  • BIO glass에 관한 조성이 궁금해여

    BIO glass에 관한 조성이 궁금해여

    최근 선전에 많이 나오는 바이오글라스의 조성이 궁굼함니다. 국내에서도 산업화가 가능한지? 생산업체가 있는지? 응용부문의 예상 시장은?

    자세히 보기
    • anion

  • 발생학에서의 용어질문입니다~ Gli gene과 protein의 역할이 뭔가요?

    발생학에서의 용어질문입니다~ Gli gene과 protein의 역할이 뭔가요?

    척추동물의 사지 발생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많은 자료를 얻지 못해서 헤매고 있습니다. 많은 용어를 잘 모르겠는데.. 아시는 분은 한가지라도 답해주시면 감사합니다~ *Gli2/ Gli3/ Gli1(Gli proteins & gene): *Shh-soaked beads: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family ci/ Gli *Gli1-CreERT2 mice *Cre recombinase(CreERT2)/C...

    자세히 보기
    • limb
    • sonic hedgehog
    • Gli
    2005-09-29 허영주(crazy566)

  • TiO2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

    TiO2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

    제가 일 관련해서 몇가지 특허를 읽어봤는데요.. 폴리카보네이트에 TiO2를 컴파운딩할 경우에, TiO2의 함량이 20% 정도로 과량이 첨가되면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켜서 성형품의 물성이 확 떨어 진다고 나와있더군요. TiO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키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거죠? 주변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용하시는 분들도 잘 모르던데요..

    자세히 보기
    • TiO2
    • 폴리카보네이트
    • 분해
    2005-09-29 이명세(sycamore)

  • 두께에 따라 flexible 해지는 이유???

    두께에 따라 flexible 해지는 이유???

    팀사람들이랑 Tea time 중에 나온 말인데요.. 대부분의 재료가 두께가 얇아지면 flexible 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고분자라면 대강 chain 같은 걸로 설명하면 될 거 같은데, 알루미늄같은 것들도 얇게 만들면(호일처럼) stiffness가 확 줄잖아요. 이건 왜 그런건가요???

    자세히 보기
    • flexible
    • material
    2005-09-29 이명세(sycamore)

  • 물속에서 철의 표면에 흡착하는 규산이온

    물속에서 철의 표면에 흡착하는 규산이온

    물속에다 철(Fe)을 먼저 담그고 규산이온(H2SiO3)을 첨가하여 철의 표면에 규산이온을 흡착시켰습니다. 이때 반응 구조식을 어떻게 표시하는것이 적절한가요? 자세하게 서술식 설명과 화학 구조식을 부탁합니다.

    자세히 보기
    • ionic bonding
    • metal ion adsorption

  • "기술집약형 외국인직접투자의 국내유치: 관점 및 정책방향" 자료가 필요합니다.

    "기술집약형 외국인직접투자의 국내유치: 관점 및 정책방향" 자료가 필요합니다.

    다른 자료는 입수 되어 있는데, 표제 자료가 필요 합니다.

    자세히 보기
    • 연구소 유치
    2005-09-29 박준규(imjkpark)

  • haemacytometer 사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haemacytometer 사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

    자세히 보기
    • haemacytometer
    • yeast
    2005-09-29 조은재(cej1018)

전체 17556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xanthine/ xanthine oxidase 실험에서..

    xanthine/ xanthine oxidase 실험에서..

    안녕하세요? 우선 답변주신 님에게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제가 실험을 해보았는데요.. 실은 실험이 잘 되질 않아서요? 반응을 시킨후에 바로 보라빛색을 띄는건가요? 그리고 반응시킬때 혹시 암조건에서 반응을 하는건가요? 그리고 또 한가지 의문점은요.. control (X/XO/NBT), positive control (X/XO/NBT/Vitamine C), sample (X/XO/NBT/sample) X: xanthine; XO: xanthine oxidase; NBT: nit...

    자세히 보기
    • xanthine/ xanthine oxidase

  • 열섬 현상에 대해

    열섬 현상에 대해

    열섬 현상을 측정하고 도시화 할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혹 이 분야 연구가 활발한 곳은 어디인가요?

    자세히 보기
    • heat island
    2005-10-06

  • siRNA 와 dominant negative mutant

    siRNA 와 dominant negative mutant

    지금 분자생물학 책보고공부학는 학부생입니다.. 그런데,,,,공부하다보니...자세한 설명없이 원론적으로 적혀있어서.. 이런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론과....실제적 사용예좀 가르쳐 주세요.. 둘다...loss of function에 사용된다는것은 아는데요..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siRNA
    • RNAi
    • donimant negative
    2005-10-06 이영호(bloomun)

  • Insulin resistance index 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Insulin resistance index 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지수를 구할때 흔히 Turner 등이 1985년 발표한 다음의 공식을 사용합니다. Fasting insulin(uU/ml)*fasting glucose(mmol/L) ------------------------------------------------- = HOMA-IR 22.5 이때 분모에 있는 22.5라는 상수의 유래를 알고 싶습니다. 어떻게 22.5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insulin resistance
    2005-10-06 강효찬(taifun)

  • DPPH시약을 만드려 합니다.

    DPPH시약을 만드려 합니다.

    항산화 시험을 하기 위해 DPPH법으로 사용하려 DPPH를 Et-OH에 녹여서 control을 잡았는데 DPPH 용액만을 가지고 delta값을 얻었는데 상당히 크게 나옵니다. 가지고 있던 시약이 냉동보관되어있기는 하였지만 사용기간이 1년이 넘었는데 dpph에 대한 일반사용상에 주의점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antioxidant
    • radical
    2005-10-05 황권택(hwangskt)

  • NOx 제거설비의 최근 기술동향?

    NOx 제거설비의 최근 기술동향?

    소각공정에서 NOx 를 저감시키기 위한 운전방법과 최근의 NOx 제거설비 동향 및 신기술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보기
    • NOx
    • SCR
    2005-10-05 김병렬(env21)

  • Knock-out시에 lethal한 유전자

    Knock-out시에 lethal한 유전자

    knock-out으로 기능분석 시 lethal해서 knocok-out으로 분석이 불가능한 단백질이 있을 것 같은데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그런 경우 어떤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고언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knock-out
    2005-10-04 임채진(kwcl)

  • 노이즈에 의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계산할 때...

    노이즈에 의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계산할 때...

    convection 문제나 diffusion-reaction model에 대한 noise에 의한 효과를 이론적으로 고려할 때, 노이즈가 없는 경우에 대한 방정식들에 multiplicative noise나 additive noise 항을 덧붙여 주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무 문제 없는 걸까요? 아니면, first principle 에서 출발해서 중간에 noise에 의한 효과를 보정해 주는 것이 필수인가요? 후자의 경우, 별 문제가 없겠지만 많은 관련 논문들을 찾아보면 전자의 방법...

    자세히 보기
    • additive noise
    • dynamical system
    • multiplicative noise
    2005-10-04 조영권(blue3443)

  • 세포분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세포분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세포분리를 MACS에 의해서 하려하는데요~ cytosol에 분비되는 세포의 primary antibody라서 secondary antibody 가 안으로 들어가야 할듯한데.... 혹시 이러한 안에서 분비하는 세포의 상피세포를 분리하는 방법 아시는 분 꼭 좀 알려 주세요~ FACS 방법은 넘 생존율이 낮아서요..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a
    • a
    • a
    2005-10-04 김선영(gari01)

  • phospholipase A2를 이용한 hydrolysis에 대하여

    phospholipase A2를 이용한 hydrolysis에 대하여

    phospholipase A2를 이용하여 세포막의 ester 결합을 끊고 carboxyl group을 생성시키는 즉, phospholipid를 hydrolysis 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enzyme에 관해서는 문외한 인지라 처음에는 최적 pH, 최적 온도, cofactor등이 필요한지도 모르고 그냥 섞어보았다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결과란 phospholipid의 hydrolysis로 인하여 세포막에 carboxyl group이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세히 보기
    • phospholipase
    • hydrolysis
    • lipid
    2005-10-03 최순범(beom8649)

  • 항산화 실험중에 xanthine/xanthine oxidase실험원리가 궁금합니다.

    항산화 실험중에 xanthine/xanthine oxidase실험원리가 궁금합니다.

    항산화 실험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실험원리가 너무나 궁금합니다. NBT가 어떠한 역활을 하는건지? 그리고 실험시 주의사항은 무엇인지도요. 꼭 잔틴과 NBT를 mixing해서 시약준비를 해야하는지도요.

    자세히 보기
    • superoxide radical

  • 알츠하이머 뇌가소성

    알츠하이머 뇌가소성

    안녕하십니까? 알츠하이머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이라고 하면 약으로 진행속도를 늦출뿐 걸리면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약으로 치매지연을 할 수 있지만 뇌를 많이 쓰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뇌가소성이 이부분을 설명이 된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알츠하이머를 지연시킬 수 있는 뇌가소성 연구를 알고 싶습니다. 혹 허혈성 치매에 대한 뇌가소성연구가 있으면 알려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Brain Plasticity
    • potentiaton
    • alzheimer
    2005-10-02 표만석(enRjql)

  • chemical crosslinking에 관해서

    chemical crosslinking에 관해서

    저는 생물학 공부를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target protein ID를 위해 요즘 새로이 떠오르는 biochemical assay 로 crosslinking을 이용한다고 나와 있는데 이게 어떤 개념인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chemical crosslinking 에 대해 검색을 해봐도 화학,특히 고분자쪽 자료로만 나와있고 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예는 찾기가 쉽지 않아서 여기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자료 부탁드려요~ ^^

    자세히 보기
    • chemical crosslinking

  • BIO glass에 관한 조성이 궁금해여

    BIO glass에 관한 조성이 궁금해여

    최근 선전에 많이 나오는 바이오글라스의 조성이 궁굼함니다. 국내에서도 산업화가 가능한지? 생산업체가 있는지? 응용부문의 예상 시장은?

    자세히 보기
    • anion

  • 발생학에서의 용어질문입니다~ Gli gene과 protein의 역할이 뭔가요?

    발생학에서의 용어질문입니다~ Gli gene과 protein의 역할이 뭔가요?

    척추동물의 사지 발생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많은 자료를 얻지 못해서 헤매고 있습니다. 많은 용어를 잘 모르겠는데.. 아시는 분은 한가지라도 답해주시면 감사합니다~ *Gli2/ Gli3/ Gli1(Gli proteins & gene): *Shh-soaked beads: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family ci/ Gli *Gli1-CreERT2 mice *Cre recombinase(CreERT2)/C...

    자세히 보기
    • limb
    • sonic hedgehog
    • Gli
    2005-09-29 허영주(crazy566)

  • TiO2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

    TiO2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

    제가 일 관련해서 몇가지 특허를 읽어봤는데요.. 폴리카보네이트에 TiO2를 컴파운딩할 경우에, TiO2의 함량이 20% 정도로 과량이 첨가되면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켜서 성형품의 물성이 확 떨어 진다고 나와있더군요. TiO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키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거죠? 주변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용하시는 분들도 잘 모르던데요..

    자세히 보기
    • TiO2
    • 폴리카보네이트
    • 분해
    2005-09-29 이명세(sycamore)

  • 두께에 따라 flexible 해지는 이유???

    두께에 따라 flexible 해지는 이유???

    팀사람들이랑 Tea time 중에 나온 말인데요.. 대부분의 재료가 두께가 얇아지면 flexible 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고분자라면 대강 chain 같은 걸로 설명하면 될 거 같은데, 알루미늄같은 것들도 얇게 만들면(호일처럼) stiffness가 확 줄잖아요. 이건 왜 그런건가요???

    자세히 보기
    • flexible
    • material
    2005-09-29 이명세(sycamore)

  • 물속에서 철의 표면에 흡착하는 규산이온

    물속에서 철의 표면에 흡착하는 규산이온

    물속에다 철(Fe)을 먼저 담그고 규산이온(H2SiO3)을 첨가하여 철의 표면에 규산이온을 흡착시켰습니다. 이때 반응 구조식을 어떻게 표시하는것이 적절한가요? 자세하게 서술식 설명과 화학 구조식을 부탁합니다.

    자세히 보기
    • ionic bonding
    • metal ion adsorption

  • "기술집약형 외국인직접투자의 국내유치: 관점 및 정책방향" 자료가 필요합니다.

    "기술집약형 외국인직접투자의 국내유치: 관점 및 정책방향" 자료가 필요합니다.

    다른 자료는 입수 되어 있는데, 표제 자료가 필요 합니다.

    자세히 보기
    • 연구소 유치
    2005-09-29 박준규(imjkpark)

  • haemacytometer 사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haemacytometer 사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haemacytometer를 사용하여 yeast의 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haemacytometer에 yeast를 주입 시킨 후 현미경으로 보니 고정 되지 않고 자꾸 움직입니다. 다른 분에게 물어 보니 haemacytometer는 혈구와 같이 큰 cell을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일 거라고 합니다. 그럼 haemacytometer에도 세균이나 yeast와 같은 작은 것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격이 있습니까?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모두가 Depth 가 0....

    자세히 보기
    • haemacytometer
    • yeast
    2005-09-29 조은재(cej1018)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