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01
org.kosen.entty.User@63f45a99
정영희(violet1618)
- 1
저는 생물학 공부를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target protein ID를 위해 요즘 새로이 떠오르는 biochemical assay 로 crosslinking을 이용한다고 나와 있는데
이게 어떤 개념인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chemical crosslinking 에 대해 검색을 해봐도
화학,특히 고분자쪽 자료로만 나와있고
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예는 찾기가 쉽지 않아서 여기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자료 부탁드려요~ ^^
- chemical crosslink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10-04- 0
생물학적으로 cross-linking reaction은 여러 가지 실험방법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chemical cross-linking 방법은 오래전 부터 사용되어 왔고 요즘 떠오르고 있다면 새로운 개념의 chemical cross-linker의 제작 분야가 되겠지요. 예를 들면, disulfide bridge를 이용해 reducing condition에 따라 가역적으로 cross-linking되는 probe나 cross-linking이 일어났는지를 쉽게 확인하기위해 형광표지를 한 probe 등입니다. Protein-protein interaction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transient interaction이나 affinity가 낮은 complex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단백질이 결합한다는 말은 상당히 가깝게 근접해서 아미노산 잔기 사이에서 H-bond, hydrophobic interaction, electrostatic interactoin을 하고 있다는 말이죠...그러므로 size가 매우 작은 chemical cross-linker는 이 두 단백질 사이에 들어가서 stable complex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물론 두 단백질 사이에서 공유결합을 유도하려면 cross-linker는 적어도 두개의 functional group을 가지고 있어야겠죠) 반면, 결합하지 않는다면 두 단백질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cross-linking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in vivo에 직접 적용하기는 힘든 면도 있습니다. 효소반응의 경우 매우 특이적이지만 생체고분자와 chemical compound의 반응은 특이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실험적 경험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다른 한 분야는 biotechnology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한가지 예를 들면 antibody를 이용하여 affinity chromatography를 수행하고자 한다면, 한가지는 antibody를 직접 bead에 붙일 수 있는 CNBR resin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또는 antibody와 비공유적으로 잘 결합하는 protein-A나 protein-G resin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antibody의 양이 매우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비공유결합이기 때문에 나중에 antibody-antigen 결합을 끊어주기 위해 low pH buffer 등을 사용하면 antigen만 elution 되는 것이 아니라 antibody도 같이 elution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에 antibody-Protein-A (or G) complex를 chemical cross-linker를 사용하여 공유결합을 유도하면 antibody의 양을 작게 사용하면서 antigen을 순수하게 정제할 수 있죠...(물론 실험을 해 보면 100%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대충 이와 유사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저는 생물학 공부를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 >논문을 읽다가 target protein ID를 위해 요즘 새로이 떠오르는 biochemical assay 로 crosslinking을 이용한다고 나와 있는데 >이게 어떤 개념인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chemical crosslinking 에 대해 검색을 해봐도 >화학,특히 고분자쪽 자료로만 나와있고 >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예는 찾기가 쉽지 않아서 여기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자료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