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0
org.kosen.entty.User@893fb97
조재윤(abandon8)
- 3
제철소에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열이 아직 높은 냉각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포항제철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냉각수의 열공해를 처리하였다는데
이 방법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 제철소
- 냉각수
- 처리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용찬님의 답변
2005-10-10- 0
>제철소에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열이 아직 높은 냉각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포항제철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냉각수의 열공해를 처리하였다는데 >이 방법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제철소에서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을 시키고, 남은 열은 난방용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폐열등을 이용하여 고온의 온수로 만든 후 관을 통하여 각 지역(아파트 등)에 보내서 난방용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난방 비용은 폐열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드는 비용의 약 2/3 정도로 낮출수 있다고 합니다. -
답변
이준호님의 답변
2005-10-10- 0
>제철소에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열이 아직 높은 냉각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포항제철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냉각수의 열공해를 처리하였다는데 >이 방법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냉각수는 공정에 들어가서 약 10~20도의 온도 상승을 가져옵니다. 이정도의 온도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때문에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냉각수를 온수로 사용한다면 공장 내부 혹은 아주 제한적인 인접 거리에서만 가능하겠지요. 반면, 제철소의 폐열 (기본적으로 400도 이상)의 경우는 온풍을 이용 터빈을 가동 시키는 등으로 전기 에너지, 혹은 지역 난방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답변
김진국님의 답변
2005-10-23- 0
>제철소에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열이 아직 높은 냉각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포항제철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냉각수의 열공해를 처리하였다는데 >이 방법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냉각수가 생산공정에서 사용되어 지고 난후, 보통은 재사용을 위해 냉각탑(cooling tower)등의 공정으로 용수의 온도를 낮춥니다. 온도를 낮추기전 냉각수를 생산공정중의 heating을 필요로 하는 stream 전체 혹은 일부와 열교환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냉각수 온도를 낮춥니다. (개인적으로 포항제철의 냉각수 열공해 처리에 대해서는 알지 못합니다만) 일반 생산공정에는 이러한 low-grade의 에너지를 요구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가령 boiler feed water heating). 혹은 주변지역의 지역 난방 (가정용 용수 가열)등에 쓸수 있을것입니다. 이러한 열교환 (혹은 energy recovery)은, 사용된 냉각수가 가지고 있는 열량이 열교환 할수 있을 정도의 열량과 (열교환 가능한) 온도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냉각탑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냉각수가 공정에서 사용된후 상승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10-20 degree C 정도 온도가 상승합니다. 가령 공기 온도(wet bulb temp.)가 15 C로 한다면 냉각탑에서 생산되어질수 있는 (사용전) 냉각수는 18- 20 C 정도가 될것이고, 즉 사용후 냉각수는 약 28 - 40 C 내외가 될것입니다. 만일 이정도의 저온이라면 재사용 혹은 열교환 하기에 어려움이 있을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에너지 절감/재사용을 위한 투자비를 고려한다면 경제적으로 경쟁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heat pump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론 heat pumping을 위한 전력 소모가 수반되기는 하지만 냉각수의 low-grade를 이용하여 보다 높은 온도의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수 있습니다. 사용된 냉각수가 가지고 있는 열을 다른 매체로 전달하는과정에서 비용, 주위의 열역학적 환경(즉, 주변 시스템의 low-grade energy의 필요여부), 열역학적 효율등이 최선의 방법을 결정하는 요소가 됩니다. 또한 법령등의 규제 요소가 있다면 규제 제한 범위내이 최대 열효율과 최소 비용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법을 강구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