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0
org.kosen.entty.User@7d3efb94
김윤기(europa21c)
- 1
유리섬유복합소재(Glass Fiber Resinforce Polymer) 를 이용한
구조용 부재(H빔,찬넬,앵글)로 수중(잔류염소 농도 0.2ppm 정도)에
설비를 시공하려고 하는데 다음 사항들을 확인해 보고 싶습니다.
1. 유리섬유복합소재를 사용한 구조용 부재에서
중요시해야하는 물리적,화학적 물성은 무엇인가?
1-1 항복강도,인장강도.압축강도,굴곡강도,굴곡탄성률 등이
철,스텐레스와 대비하여 어떤 특성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1-2 유리장섬유와 베이스레진의 함유율,
유리장섬유의 직조방향에 따른 물성 변화는 어떻게 시험하는가?
1-3 FRP,SMC 물탱크처럼 음용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지 보려면
어떤 항목을 시험해야하는가?
2. 유리섬유복합소재의 구조용 부재를 절단 및 타공 등
가공할시 유의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3. 유리섬유복합소재의 수중에서의 일반적인 변화 양태는 어떤가?
4. 베이스레진(통상 폴리에스터 또는 비닐에스터)의 특성이나 제품생산 불량등으로
복합소재에 물이 침투했을때 물성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이외에 확인해야할 중요한 항목이 있는지요?
참고할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Glass Fiber Resinforce Polymer
- FRP Composites
- Effects of Moistu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문진성님의 답변
2005-10-10- 0
>유리섬유복합소재(Glass Fiber Resinforce Polymer) 를 이용한 >구조용 부재(H빔,찬넬,앵글)로 수중(잔류염소 농도 0.2ppm 정도)에 >설비를 시공하려고 하는데 다음 사항들을 확인해 보고 싶습니다. > >1. 유리섬유복합소재를 사용한 구조용 부재에서 > 중요시해야하는 물리적,화학적 물성은 무엇인가? > 1-1 항복강도,인장강도.압축강도,굴곡강도,굴곡탄성률 등이 > 철,스텐레스와 대비하여 어떤 특성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 1-2 유리장섬유와 베이스레진의 함유율, > 유리장섬유의 직조방향에 따른 물성 변화는 어떻게 시험하는가? > 1-3 FRP,SMC 물탱크처럼 음용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지 보려면 > 어떤 항목을 시험해야하는가? > >2. 유리섬유복합소재의 구조용 부재를 절단 및 타공 등 > 가공할시 유의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 >3. 유리섬유복합소재의 수중에서의 일반적인 변화 양태는 어떤가? > >4. 베이스레진(통상 폴리에스터 또는 비닐에스터)의 특성이나 제품생산 불량등으로 > 복합소재에 물이 침투했을때 물성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 >이외에 확인해야할 중요한 항목이 있는지요? > >참고할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 1-1 강도 및 탄성율 등의 물성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물성치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금속재와 비교시에는 강도를 비중으로 나눈 비강도의 수치로 비교합니다. 금속에 비해 절대치를 낮더라도 FRP의 가장 큰 장점중의 하나가 금속대비 경량이므로 같은 중량일때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1-2 유리장섬유의 직조방향에 따른 물성 변화 측정은 일방향 섬유매트를 각각 각도를 달리하여 lay-up한 다음 수지를 함침시켜 경화시킨 후 물성을 측정합니다. 1-3 물탱크 같은 경우는 KS규격에 시험항목이 명시되어 있을 겁니다. 식품에 관련된 제품이라면 일반적인 물성 외에 KMnO4 소비량, 중금속함유량, 증발잔류물등을 검사하게 됩니다. 2. 가공시 유의점 분진이 많이 발생하므로 집진설비를 갖추면 좋구요 가공시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초경날을 사용하고 냉각을 잘 실시해야 됩니다. 3. 열경화성 수지제품의 경우 성형시에 수분의 침투는 전체적인 물성저하를 가져오나 성형제품의 경우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고 보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