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2.45GHz 마이크로 웨이브가 시스템 외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안녕하십니까.. 일본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한 플라즈마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종 가스의 이온화특성 연구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마이크로 웨이브를 인가하면 그 파가 장치 외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마이크로 웨이브를 인가하면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고.. 그래서 뭔가 안좋아 질수도 있다고 생각되니 실험하기 좀 무섭습니다. 게다가 화학공학 전공이라 잘 모르는터라... 현재 제 장치는 도파관을 통해 온 웨이브파가 석영판을 통하여 챔버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으며 챔버내는 진공시스템입니다. 앞쪽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VG Flange V150에 석영판을 삽입, 설치 되어 있습니다. 앞쪽에 철망을 설치하여 웨이브파가 나오지 못 하도록 해 놓았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측정장비를 삽입할 수 있는 ICF type Flange가 있으나 알루미늄호일로 막아놨습니다 장비 전체적으로 메인 전원스위치에 있는 쪽으로 어스 시켰습니다만... 휴대폰이라든지.. 이런쪽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만... 마이크로 웨이브 Generator power는 ~ 3 kW 입니다..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것이 좋은지... 건강을 위하여...^^;; 전문가 분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microwave
  • 2.45 GHz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현종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일본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한 플라즈마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종 가스의 이온화특성 연구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 >마이크로 웨이브를 인가하면 그 파가 장치 외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마이크로 웨이브를 인가하면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고.. >그래서 뭔가 안좋아 질수도 있다고 생각되니 실험하기 좀 무섭습니다. >게다가 화학공학 전공이라 잘 모르는터라... > >현재 제 장치는 >도파관을 통해 온 웨이브파가 석영판을 통하여 챔버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으며 챔버내는 진공시스템입니다. >앞쪽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VG Flange V150에 석영판을 삽입, 설치 되어 있습니다. >앞쪽에 철망을 설치하여 웨이브파가 나오지 못 하도록 해 놓았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측정장비를 삽입할 수 있는 ICF type Flange가 있으나 알루미늄호일로 막아놨습니다 >장비 전체적으로 메인 전원스위치에 있는 쪽으로 어스 시켰습니다만... >휴대폰이라든지.. 이런쪽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만... >마이크로 웨이브 Generator power는 ~ 3 kW 입니다.. >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것이 좋은지... >건강을 위하여...^^;; 전문가 분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글을 보다 예전의 생각이 나서 적어 봅니다. 적절한 대답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 이것은...목적 자체가 챔버 내부의 변화를 보기위해서 창이 필요하고 창을 통해서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철망이 있는것과 없는 것의 차이가 큰 것이고 철망이 존재한다면 그 매쉬정도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을 것입니다.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주위에 있는 모니터의 상이 왜곡이 된다는 것은 전자기 파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브라운관 형태의 모니터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모니터내부의 전자총에서 뛰어나오는 전자는 주위에 자기장이 존재하면 상이 왜곡 되거나 색이 다르게 보입니다. 모니터 앞면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자석주위에서 모니터의 색이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심장이 빠르게 뛴다는 것은..전 아직 경험해 보지 못했습니다....이부분은 감성적인 느낌이거나..예민한 신체반응을 가진 분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접지가 되어 있다면 전기적 신호 자체가 안정되게 유지됩니다...따라서 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확인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결론적으로 본다면...걱정하실 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래도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면 마이크로 웨이브 보다 주변에서 이용하고 있는 전기시설들...특히 power supply 등에서 좀 멀리 떨어지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일본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한 플라즈마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종 가스의 이온화특성 연구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 >마이크로 웨이브를 인가하면 그 파가 장치 외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마이크로 웨이브를 인가하면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고.. >그래서 뭔가 안좋아 질수도 있다고 생각되니 실험하기 좀 무섭습니다. >게다가 화학공학 전공이라 잘 모르는터라... > >현재 제 장치는 >도파관을 통해 온 웨이브파가 석영판을 통하여 챔버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으며 챔버내는 진공시스템입니다. >앞쪽에 내부를 볼 수 있도록 VG Flange V150에 석영판을 삽입, 설치 되어 있습니다. >앞쪽에 철망을 설치하여 웨이브파가 나오지 못 하도록 해 놓았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측정장비를 삽입할 수 있는 ICF type Flange가 있으나 알루미늄호일로 막아놨습니다 >장비 전체적으로 메인 전원스위치에 있는 쪽으로 어스 시켰습니다만... >휴대폰이라든지.. 이런쪽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만... >마이크로 웨이브 Generator power는 ~ 3 kW 입니다.. >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것이 좋은지... >건강을 위하여...^^;; 전문가 분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글을 보다 예전의 생각이 나서 적어 봅니다. 적절한 대답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 이것은...목적 자체가 챔버 내부의 변화를 보기위해서 창이 필요하고 창을 통해서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철망이 있는것과 없는 것의 차이가 큰 것이고 철망이 존재한다면 그 매쉬정도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을 것입니다.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주위에 있는 모니터의 상이 왜곡이 된다는 것은 전자기 파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브라운관 형태의 모니터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모니터내부의 전자총에서 뛰어나오는 전자는 주위에 자기장이 존재하면 상이 왜곡 되거나 색이 다르게 보입니다. 모니터 앞면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자석주위에서 모니터의 색이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심장이 빠르게 뛴다는 것은..전 아직 경험해 보지 못했습니다....이부분은 감성적인 느낌이거나..예민한 신체반응을 가진 분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접지가 되어 있다면 전기적 신호 자체가 안정되게 유지됩니다...따라서 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확인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결론적으로 본다면...걱정하실 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래도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면 마이크로 웨이브 보다 주변에서 이용하고 있는 전기시설들...특히 power supply 등에서 좀 멀리 떨어지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영환님의 답변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답변 : 마이크로파(2.45 GHz)의 파장은 약 12cm 정도입니다. 그래서 그 파장의 1/4인 3cm 이하로 메쉬(도전성 금속)를 만들어 접지를 잘 시키면 장치 외부로 마이크로파가 나오지 않습니다. 파장과 주파수 관련한 계산을 간단히 확인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했습니다.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답변 : 이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보고된 자료는 찾기 어렵습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제품의 제조사나 기타 여러가지 민감한 사항이 있는것 같습니다.(전자레인지 가까이에서는 전자파가 나타납니다.) 저의 경우에도 실험시에 상당히 기분이 나빠지는걸 느끼게 됩니다. 머리도 아프고 소화도 잘 안되는것 같은 기분입니다. 기분일수도 있지만 뭔가 미세한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이 듭니다. 소리에 의한 영향일 수도 있고요. 하지만 일부는 자연스럽게 실험하기도 합니다. 여러가지로 보아 뭐라 결론적으로 말하기 곤란합니다. 동물과 식물에 대해 영향을 실험하여 조사한 것도 있다는 이야기만 들었을 뿐 자료 찾기가 어렵습니다.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답변 : 접지는 실험실에서 가까운 배전반에 접지하면 될 것입니다.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질문1 2.45 GHz microwave를 사용할 경우, 철망의 매쉬는 어느정도가 적당한가요? 답변 : 마이크로파(2.45 GHz)의 파장은 약 12cm 정도입니다. 그래서 그 파장의 1/4인 3cm 이하로 메쉬(도전성 금속)를 만들어 접지를 잘 시키면 장치 외부로 마이크로파가 나오지 않습니다. 파장과 주파수 관련한 계산을 간단히 확인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했습니다. >질문2 모니터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장이 빠르게 뛰는것은 뭔가 전자파(전자기파?)가 나오는 것입니까? 답변 : 이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보고된 자료는 찾기 어렵습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제품의 제조사나 기타 여러가지 민감한 사항이 있는것 같습니다.(전자레인지 가까이에서는 전자파가 나타납니다.) 저의 경우에도 실험시에 상당히 기분이 나빠지는걸 느끼게 됩니다. 머리도 아프고 소화도 잘 안되는것 같은 기분입니다. 기분일수도 있지만 뭔가 미세한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이 듭니다. 소리에 의한 영향일 수도 있고요. 하지만 일부는 자연스럽게 실험하기도 합니다. 여러가지로 보아 뭐라 결론적으로 말하기 곤란합니다. 동물과 식물에 대해 영향을 실험하여 조사한 것도 있다는 이야기만 들었을 뿐 자료 찾기가 어렵습니다. >질문3 어스를 시키고 어스를 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답변 : 접지는 실험실에서 가까운 배전반에 접지하면 될 것입니다.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