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Z-DNA와 B-DNA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Z-DNA와 B-DNA가 각각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꼬여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DNA는 전부 오른 나선으로 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왼쪽으로 꼬인 Z-DNA도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전공이 이쪽이 아니어서..^^;) Z-DNA는 왜 존재하는 건가요? (기능) Z-DNA가 B-DNA로 바뀌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이런 등등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 Z-DNA
  • B-DN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Z-DNA와 B-DNA가 각각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꼬여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DNA는 전부 오른 나선으로 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왼쪽으로 꼬인 Z-DNA도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전공이 이쪽이 아니어서..^^;) >Z-DNA는 왜 존재하는 건가요? (기능) >Z-DNA가 B-DNA로 바뀌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 >이런 등등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정확한 답변은 아니지만..대략 Z-DNA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네요. Z-DNA *A form, B form은 우선형인데 반해 좌선형의 구조를 가진 DNA *B-DNA와의 차이점 ①Z-DNA에는 1 turn 당 12개의 염기쌍이 있는 반면 B-DNA에는 10개가 있다. ②Z-DNA는 사슬에 한가지 형태의 groove(minor groove)만 존재하지만 B-DNA에는 major와 minor groove가 존재한다. *Fluorescent antibody(Z-DNA 검출,확인 방법) ①토끼 항체를 염소에 주입한다. ②그러면 토끼항체에 대한 염소 항체가 형성된다. ③염소 항체에 형광성이 높은 분자, fluorescein,을 부착시킨다. ④광학현미경 관찰을 위해 초파리의 침샘세포를 준비한다. ⑤여기에 Z-DNA에 대한 토끼 항체를 넣고 ⑥토끼항체에 대한 형광성의 염소항체를 넣는다. ⑦일정시간 후에 cell을 씻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염색체내에 Z-DNA가 존재하는 곳에 anti-Z-DNA(Z-DNA에 대한 토끼항체)가 결합하고 다시 형광성의 염소항체가 같은 지점에 결합하게 되어 Z-DNA는 염소항체의 형광물질에 의해 표시된다. Z-DNA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도 지속적 연구중이고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고 하네요. http://www.yotor.com/wiki/ko/zd/Zdna.htm 사이트도 참조하세요.
    >Z-DNA와 B-DNA가 각각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꼬여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DNA는 전부 오른 나선으로 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왼쪽으로 꼬인 Z-DNA도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전공이 이쪽이 아니어서..^^;) >Z-DNA는 왜 존재하는 건가요? (기능) >Z-DNA가 B-DNA로 바뀌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 >이런 등등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정확한 답변은 아니지만..대략 Z-DNA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네요. Z-DNA *A form, B form은 우선형인데 반해 좌선형의 구조를 가진 DNA *B-DNA와의 차이점 ①Z-DNA에는 1 turn 당 12개의 염기쌍이 있는 반면 B-DNA에는 10개가 있다. ②Z-DNA는 사슬에 한가지 형태의 groove(minor groove)만 존재하지만 B-DNA에는 major와 minor groove가 존재한다. *Fluorescent antibody(Z-DNA 검출,확인 방법) ①토끼 항체를 염소에 주입한다. ②그러면 토끼항체에 대한 염소 항체가 형성된다. ③염소 항체에 형광성이 높은 분자, fluorescein,을 부착시킨다. ④광학현미경 관찰을 위해 초파리의 침샘세포를 준비한다. ⑤여기에 Z-DNA에 대한 토끼 항체를 넣고 ⑥토끼항체에 대한 형광성의 염소항체를 넣는다. ⑦일정시간 후에 cell을 씻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염색체내에 Z-DNA가 존재하는 곳에 anti-Z-DNA(Z-DNA에 대한 토끼항체)가 결합하고 다시 형광성의 염소항체가 같은 지점에 결합하게 되어 Z-DNA는 염소항체의 형광물질에 의해 표시된다. Z-DNA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도 지속적 연구중이고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고 하네요. http://www.yotor.com/wiki/ko/zd/Zdna.htm 사이트도 참조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Z-DNA와 B-DNA가 각각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꼬여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DNA는 전부 오른 나선으로 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왼쪽으로 꼬인 Z-DNA도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전공이 이쪽이 아니어서..^^;) >Z-DNA는 왜 존재하는 건가요? (기능) >Z-DNA가 B-DNA로 바뀌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 >이런 등등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발견된 지는 오래되었지만 그 동안 Z-DNA의 function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CA/TG repeat sequence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Transcription factor인 nuclear factor I (NFI)의 binding site가 있는 promoter에서 발견이 된다고 하네요.. 첨부된 paper를 보시면 NFI binding site가 있는 promoter에서 RNA polymerase에 의해 transcription이 시작될 때 torsional stress에 의해 발생하는 model의 그림이 있습니다. 또한,RNA editing enzyme인 ADAR1가 left-handed Z-DNA에 binding하여 작용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Z-DNA와 B-DNA가 각각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꼬여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DNA는 전부 오른 나선으로 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왼쪽으로 꼬인 Z-DNA도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전공이 이쪽이 아니어서..^^;) >Z-DNA는 왜 존재하는 건가요? (기능) >Z-DNA가 B-DNA로 바뀌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 >이런 등등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발견된 지는 오래되었지만 그 동안 Z-DNA의 function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CA/TG repeat sequence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Transcription factor인 nuclear factor I (NFI)의 binding site가 있는 promoter에서 발견이 된다고 하네요.. 첨부된 paper를 보시면 NFI binding site가 있는 promoter에서 RNA polymerase에 의해 transcription이 시작될 때 torsional stress에 의해 발생하는 model의 그림이 있습니다. 또한,RNA editing enzyme인 ADAR1가 left-handed Z-DNA에 binding하여 작용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