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08
org.kosen.entty.User@2f356e05
신동호(frog21c)
- 2
갑작스럽게 Self-Assembled Monolayer(SAM)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만들어 놓고 보니 잘 형성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Self-Assembled Monolayer(SAM)의 구조 분석 방법에 대해 잘 설명된 도서 또는 논문을 찾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할 수도 있지만,
직접 필드에서 일하시는 분이 추천해 주시는 자료가 더 유용할 것 같아
이곳에 글을 올립니다.
게시판 상에 설명은 쉽지 않을 것 같고,
관련된 URL이나 리뷰논문이 있으면 소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 SAM
- analy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5-11-08- 0
>갑작스럽게 Self-Assembled Monolayer(SAM)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만들어 놓고 보니 잘 형성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Self-Assembled Monolayer(SAM)의 구조 분석 방법에 대해 잘 설명된 도서 또는 논문을 찾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할 수도 있지만, >직접 필드에서 일하시는 분이 추천해 주시는 자료가 더 유용할 것 같아 >이곳에 글을 올립니다. >게시판 상에 설명은 쉽지 않을 것 같고, >관련된 URL이나 리뷰논문이 있으면 소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자료 참조 바랍니다. 비번이 필요한 문서는 WWW,KOSEN21,ORG 입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5-11-08- 0
>갑작스럽게 Self-Assembled Monolayer(SAM)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만들어 놓고 보니 잘 형성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Self-Assembled Monolayer(SAM)의 구조 분석 방법에 대해 잘 설명된 도서 또는 논문을 찾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검색을 할 수도 있지만, >직접 필드에서 일하시는 분이 추천해 주시는 자료가 더 유용할 것 같아 >이곳에 글을 올립니다. >게시판 상에 설명은 쉽지 않을 것 같고, >관련된 URL이나 리뷰논문이 있으면 소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기조립단분자막 (Self-assembled monolayers, SAMs)은 주어진 기질의 표면에 자발적으로 입혀진 규칙적으로 잘 정렬된 유기 분자막이다. SAMs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 분자는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기질과 결합하는 머리 부분의 반응기, 규칙적인 분자 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몸통 부분의 긴 알칸 사슬, 그리고 분자 막의 기능을 좌우하는 꼬리 부분의 작용기로 나누어진다. 가장 간단한 작용기로는 알킬 그룹이 있으나 분자 막에 특수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다른 그룹들 (예: NH2, OH, COOH등)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20년 동안 다양한 종류의 SAMs가 개발되고 연구되어 왔는데 이들은 기질과의 상확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기질과 이온 결합을 이루는 알칸산 (alknoic acid)으로 만들어진 SAMs, charge-transfer complex를 형성하는 유기황 (organosulfur)으로 만들어진 SAMs, 그리고 순수한 공유결합을 이루는 유기규소 (organosilicon)로 만들어진 SAMs가 있다. SAMs는 지금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Langmuir-Blodgett (LB)막과 함께 대표적인 유기 분자 박막이다. LB막과 SAMs가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막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LB막의 경우 막을 만들기 위해서는 Langmuir trough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표면 압력을 가하여 분자들을 주로 물의 표면에 이차원으로 정렬시키고 여기에 기질을 수직으로 용액에 담갔다 뺏다 하여 분자들이 기질의 표면에 막의 형태로 올라 붙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분자 막과 기질 사이에는 이온 결함만이 존재하므로 튼튼한 분자 막이 형성되기는 어렵다. 이에 반하여 SAMs는 아무런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질의 표면과 막을 이루게 되는 분자들 사이에 직접적인 화합결합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매우 튼튼한 분자막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기질의 모양이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아 복잡한 모양의 기질 위에서도 제조가 가능하며 대면적화에도 용이하다. 따라서 SAMs는 LB보다 한 단계 발전한 유기 분자 박막이라고 할 수있다. SAMs는 최근 수 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많은 그룹들에 의해서 연구되어 왔고 지금은 더욱 더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는 매우 활발한 연구분야이다. 초기 연구는 주로 SAMs의 화합물 개발, 형성기구나 구조 그리고 열안전성 등 기초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오다가 1990년대에 들어서보다 응용연구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응용분야는 표면개질, 마찰학, 화학센서, 고해상도 전사법 (high resolution lithography), 금속의 산화 방지막 등으로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 SAMs가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