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10
org.kosen.entty.User@38b13c8e
이호진(hjinlab)
- 3
DNA를 분석할 때 Biomarker를 사용하던데.. 웹사이트와 논문에서 보여주는 biomarker가 다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p53이라는 단백질 위치를 표시해주는 biomarker가 문헌과 게놈 자료와 다른 경우를 보았습니다. 제가 잘못 본 건지??
Biomarker가 D17S***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RH**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이것 말고도 다양한 것이 있던데 어떻게 보는 건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소개해 주십시오.
- biomark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11-11- 0
Sequence Tagged Sites (STS) marker와 같은 것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설명을 하려니 글로 잘 표현이 안되네요...KISTI의 바이오인포매틱스 센터에서 만족할만한 답변을 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아래의 문헌을 한번 참고해 보세요... Science. 1989 Sep 29;245(4925):1434-5. A common language for physical mapping of the human genome. >DNA를 분석할 때 Biomarker를 사용하던데.. 웹사이트와 논문에서 보여주는 biomarker가 다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p53이라는 단백질 위치를 표시해주는 biomarker가 문헌과 게놈 자료와 다른 경우를 보았습니다. 제가 잘못 본 건지?? > >Biomarker가 D17S***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RH**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이것 말고도 다양한 것이 있던데 어떻게 보는 건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또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소개해 주십시오. > >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11-12- 0
>DNA를 분석할 때 Biomarker를 사용하던데.. 웹사이트와 논문에서 보여주는 biomarker가 다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p53이라는 단백질 위치를 표시해주는 biomarker가 문헌과 게놈 자료와 다른 경우를 보았습니다. 제가 잘못 본 건지?? > >Biomarker가 D17S***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RH**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이것 말고도 다양한 것이 있던데 어떻게 보는 건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또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소개해 주십시오. > >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11-12- 0
혹시 참고가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DNA를 분석할 때 Biomarker를 사용하던데.. 웹사이트와 논문에서 보여주는 biomarker가 다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p53이라는 단백질 위치를 표시해주는 biomarker가 문헌과 게놈 자료와 다른 경우를 보았습니다. 제가 잘못 본 건지?? > >Biomarker가 D17S***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RH**로 시작하는 것도 있고.. 이것 말고도 다양한 것이 있던데 어떻게 보는 건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또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소개해 주십시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