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Loss of heteozygosity(LOH)가 뭔지요?

Chromosome 부위에 LOH는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LOH가 뭔가요? LOH가 특정한 chromosome 부위에서 발견되면 어떤 연관성을 있다고 봐도 되나요? 감사합니다
  • LOH
  • Tum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Chromosome 부위에 LOH는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LOH가 뭔가요? 말이 조금 복잡한면이 있는데 쉽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세포의 DNA 상태는 2n 이기 때문에 (상동염색체의 개념입니다) 특정유전자에 대해 세포는 2 개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아빠한테서 다른 하나는 엄마한테서 물려 받은 것입니다. 발암유전자의 경우 동일한 두 유전자 중 하나에 이상이 생기면 gain-of-function의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53이나 Rb와 같은 같은 발암억제유전자의 경우 2개의 유전자 중 하나에 이상이 생겨도 나머지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단백질 발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Loss-of-function 효과가 나타나려면 두 개의 유전자 모두 이상이 생겨야 합니다. 그러므로 발암억제 유전자인 경우 유전적으로 2 개의 유전자 중 한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phenotype은 normal이 될 수 있습니다. 2 유전자가 동일하다면 homozygosity를 보이는 것인 반면 2 유전자중 하나의 유전자에 mutation이 생긴다면 heterozygosity를 보이는 것이 되겠지요... 이런 heterozygosity의 경우 앞서 말했듯이 정상이지만 발암원에 의한 나머지 정상인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서 기능이 완전히 상실될 확률이 두 유전자 모두 정상인 사람에 비해 훨씬 높게 됩니다. 그러므로 발암 유전자의 heterozygosity를 보이는 사람은 암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heterozygosity는 하나는 정상 다른 하나는 변이 유전자를 가졌다는 말이고 정상인 유전자가 변이가 일어나면 (결국 heterozygosity가 없어지는 것이지요) 두 유전자 모두 변이 유전자가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loss-of-heterozygosity (LOH)라는 말을 사용하게 됩니다. >LOH가 특정한 chromosome 부위에서 발견되면 어떤 연관성을 있다고 봐도 되나요? 암과 연관된 발암억제 유전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을 수도 있습니다. LOH를 관찰을 통해 발암억제 유전자를 찾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chromosome상에서 deletion이 많이 일어나는데 상동염색체 모두 결손이 되었을 경우가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많은 암환자의 염색체를 분석해 보니 공통적으로 이런한 현상이 관찰된다는 결과를 얻는다면 발암억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서열 일부분의 결손이 있다고 볼 수 있겠죠...그런 후 어떤 유전자가 과연 결손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실험모델을 통해 확인한 연구결과는 많이 있습니다.
    >Chromosome 부위에 LOH는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LOH가 뭔가요? 말이 조금 복잡한면이 있는데 쉽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세포의 DNA 상태는 2n 이기 때문에 (상동염색체의 개념입니다) 특정유전자에 대해 세포는 2 개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아빠한테서 다른 하나는 엄마한테서 물려 받은 것입니다. 발암유전자의 경우 동일한 두 유전자 중 하나에 이상이 생기면 gain-of-function의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53이나 Rb와 같은 같은 발암억제유전자의 경우 2개의 유전자 중 하나에 이상이 생겨도 나머지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단백질 발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Loss-of-function 효과가 나타나려면 두 개의 유전자 모두 이상이 생겨야 합니다. 그러므로 발암억제 유전자인 경우 유전적으로 2 개의 유전자 중 한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phenotype은 normal이 될 수 있습니다. 2 유전자가 동일하다면 homozygosity를 보이는 것인 반면 2 유전자중 하나의 유전자에 mutation이 생긴다면 heterozygosity를 보이는 것이 되겠지요... 이런 heterozygosity의 경우 앞서 말했듯이 정상이지만 발암원에 의한 나머지 정상인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서 기능이 완전히 상실될 확률이 두 유전자 모두 정상인 사람에 비해 훨씬 높게 됩니다. 그러므로 발암 유전자의 heterozygosity를 보이는 사람은 암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heterozygosity는 하나는 정상 다른 하나는 변이 유전자를 가졌다는 말이고 정상인 유전자가 변이가 일어나면 (결국 heterozygosity가 없어지는 것이지요) 두 유전자 모두 변이 유전자가 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loss-of-heterozygosity (LOH)라는 말을 사용하게 됩니다. >LOH가 특정한 chromosome 부위에서 발견되면 어떤 연관성을 있다고 봐도 되나요? 암과 연관된 발암억제 유전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을 수도 있습니다. LOH를 관찰을 통해 발암억제 유전자를 찾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chromosome상에서 deletion이 많이 일어나는데 상동염색체 모두 결손이 되었을 경우가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많은 암환자의 염색체를 분석해 보니 공통적으로 이런한 현상이 관찰된다는 결과를 얻는다면 발암억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서열 일부분의 결손이 있다고 볼 수 있겠죠...그런 후 어떤 유전자가 과연 결손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실험모델을 통해 확인한 연구결과는 많이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