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21
org.kosen.entty.User@5e32ce27
최병삼(choisam)
- 1
전자파 차폐는 전기전도도와 투자율이 관계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투자율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알고 있기로는 투자율은 열적성질이 우수해야한다고 했는데,
보통 금속재료의 경우 고온에서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성질이 투자율과 어떻게 관계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단지 열적 성질이 우수한 재료라면 투자율이 좋다고 말할 수 있는건지, 그럼 일반적으로 반도체물질이면서 열적성질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한다면 두가지 다 만족할 수 있을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차폐film이 제품에 첨가될 때 groud의 개념으로 생각을 해야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단순하게 전자파 발생제품을 감싸는, 즉 wrapping만으로는 차폐의 효과는 볼 수 없는건지요..?
- EMI
- 투자율
- 전자파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5-11-21- 0
>전자파 차폐는 전기전도도와 투자율이 관계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투자율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알고 있기로는 투자율은 열적성질이 우수해야한다고 했는데, >보통 금속재료의 경우 고온에서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성질이 투자율과 어떻게 관계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단지 열적 성질이 우수한 재료라면 투자율이 좋다고 말할 수 있는건지, 그럼 일반적으로 반도체물질이면서 열적성질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한다면 두가지 다 만족할 수 있을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차폐film이 제품에 첨가될 때 groud의 개념으로 생각을 해야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단순하게 전자파 발생제품을 감싸는, 즉 wrapping만으로는 차폐의 효과는 볼 수 없는건지요..? 전자파차폐는 전기전도도 보다 투자율에 더 많은 관게가 있다고 봅니다. 투자율 측정은 진공상태를 ZERO로 비교했을때를 기준하여 공기중,금속, 비금속등의 비교값을 측정하여 그 값을 매깁니다. 투자율이 좋은 재질중 PERMALLOY가 있는데, 이 재질을 고온에서 열처리를 하면 투자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고온에서 전기전도도가 떨어진다고 해서 꼭 투자율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차폐FILM이 전자파 발생제품에 적용될때 보통 PDP MODULE에서는 접지 개념이 도입되는 걸로 봐서는 감싸는 것만으로는 차폐효과가 반감할 걸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