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28
org.kosen.entty.User@3b454146
parksungha(mcbiz)
- 5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분리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부분에 사용하는 그라파이트의 열전도율,강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적인 comment 부탁드립니다
- bp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이재명님의 답변
2005-11-29- 0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분리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부분에 사용하는 그라파이트의 열전도율,강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적인 comment 부탁드립니다 휴대용보다 조금더 큰 PEMFC에서는 1. tensile strength > 41MPa, flexural strength > 59MPa, impact strength > 40.5 Jm−1 (0.75 ft-lb in.−1);crush strength > 4200 kPa); 2. high thermal conductivity >10W(mK)^−1 등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에너지 발생률이 수백배 더 낮은 DMFC에서 100W/mK가량의 높은 열전도율이 요구된다니 믿기 어렵군요. -
답변
구동회님의 답변
2005-11-29- 0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분리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부분에 사용하는 그라파이트의 열전도율,강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적인 comment 부탁드립니다 그라파이트 분리판이라고 할때.... 그라파이트는 이방성 열전도율을 가지는데, 면방향으로는 100~300W/mK 이고, 두께 방향으로는 10W/mK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밀도가 1.0g/cm3일경우 이고, 분리판의 경우는 밀도가 2.0이상 이므로 열전도율이 최소 10 이상은 됩니다. 혹시 ledclone은 일반 금속분리판을 얘기한건 아니신지... 그라파이트 분리판 내용이 맞나요?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5-11-29- 0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분리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부분에 사용하는 그라파이트의 열전도율,강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적인 comment 부탁드립니다 열전도율: 100W/mK이상 굴곡강도: 60MPa 압축강도: 100MPa 정도가 적당합니다. -
답변
이재명님의 답변
2005-11-29- 0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분리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부분에 사용하는 그라파이트의 열전도율,강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적인 comment 부탁드립니다 가지고 있던 논문에서 수치를 인용하였습니다. DMFC는 아니구요 PEMFC용 graphite입니다. 참고한 논문 첨부하였습니다. -
답변
parksungha님의 답변
2005-11-30- 0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분리판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를 사용하는데, >모바일 부분에 사용하는 그라파이트의 열전도율,강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이론적인 부분이 아닌 실제적인 comment 부탁드립니다 역시 듣던대로 코센에 글을 올려 놓으니 필요한 답변을 얻을 수 있고 어슴프레 나마 알고 있는 사항도 재확인 할 수 있네요.... 제가 필요한 답은 실제적인 DATA를 원했고, 문헌에 나와있던 자료는 아니었습니다. ledclone은 그라파이트 사출타입을 자료 올려 줬는데, 사출타입은 열전도율이 많이 떨어지는건 일반 상식입니다. 현재 국내 maker에서는 compressive type을 검토하는 걸로 알고 질문을 드렸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