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형광측정시에 정해주는 slit의 의미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fluoremeter
  • sli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어떤 기기를 사용하시는지는 모르지만 slit width는 빛을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형광이 너무 약하면 slit width를 크게 해 주면 세기가 커져서 오차가 적어집니다. 형광이 너무 센 경우에는 slit width를 줄여줘야지만 하지요. fluorometer는 파장을 쪼개주는 장치가 안에 있습니다. 실험을 하실 때.. 제가 사용하는 기기는 윙하면서 파장을 스캔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는 Gel을 이용하거나 Array를 이용해 어떤 단백질을 동정할 때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관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정한 형광빛을 내는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가지고 있는 형광 장치가 어떤 필터가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지요. 이런 필터가 있는 형광 장치는 지금 질문하시는 기기와는 다를 것입니다. 어째든 형광을 이용한 다양한 기기들이 있다고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어떤 기기를 사용하시는지는 모르지만 slit width는 빛을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형광이 너무 약하면 slit width를 크게 해 주면 세기가 커져서 오차가 적어집니다. 형광이 너무 센 경우에는 slit width를 줄여줘야지만 하지요. fluorometer는 파장을 쪼개주는 장치가 안에 있습니다. 실험을 하실 때.. 제가 사용하는 기기는 윙하면서 파장을 스캔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는 Gel을 이용하거나 Array를 이용해 어떤 단백질을 동정할 때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관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정한 형광빛을 내는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가지고 있는 형광 장치가 어떤 필터가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지요. 이런 필터가 있는 형광 장치는 지금 질문하시는 기기와는 다를 것입니다. 어째든 형광을 이용한 다양한 기기들이 있다고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현웅님의 답변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형광분석시 slit width에 변화를 주면서 동일한 시료의 형광을 보게 되면 대충 감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우선 slit width를 작게 하면 들어오는 빛의 양이 감소하므로 형광감도 (intensity)가 감소합니다. 즉 y축 값이 작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 발생한 peak의 resolution을 좋게 하는 것 같습니다. slit width가 너무 크면 원하지 않았던 다른 peak들마저 크게 나오기 때문에 resolution이 떨어지게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slit width를 변화시켜 보면서 동일 시료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별로 어렵지도 않고 시간도 안걸리고 시료양도 매우 조금만 있으면 되니까요.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형광분석시 slit width에 변화를 주면서 동일한 시료의 형광을 보게 되면 대충 감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우선 slit width를 작게 하면 들어오는 빛의 양이 감소하므로 형광감도 (intensity)가 감소합니다. 즉 y축 값이 작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 발생한 peak의 resolution을 좋게 하는 것 같습니다. slit width가 너무 크면 원하지 않았던 다른 peak들마저 크게 나오기 때문에 resolution이 떨어지게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slit width를 변화시켜 보면서 동일 시료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별로 어렵지도 않고 시간도 안걸리고 시료양도 매우 조금만 있으면 되니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경태님의 답변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slit의 폭은 파장과 같은 물리적인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slit의 폭에 따른 영향은 fluoremeter의 방식이 scaning 방식이나 array sensor를 사용하는 비scaning 방식이냐에 따라서 좀 다릅니다. 아마도 scaning 방식일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샘플이외의 주변 빛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생물전공자입니다. >제목 그대로 fluoremeter를 이용해서 형광을 측정할때 지정해 주는 slit의 폭이 어떤 의미인가요? >광학쪽은 제가 좀 부족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즉, excitation과 emission 방향의 광원과 검출기에 일종의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놓고 빛이 통과하는 폭을 조절하는건가요? (이런경우는 빛의 양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아니면 filter방식의 fluoremeter 처럼 파장의 범위를 넓혀서 보는건지, 예를 들면 500/10nm 처럼 500nm를 기준으로 495-505nm의 파장이 조사되거나 검출되는건지? 다시말하면 500nm에 slit을 10으로 주는 경우와 500/10nm의 의미가 같은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건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slit의 폭은 파장과 같은 물리적인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slit의 폭에 따른 영향은 fluoremeter의 방식이 scaning 방식이나 array sensor를 사용하는 비scaning 방식이냐에 따라서 좀 다릅니다. 아마도 scaning 방식일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샘플이외의 주변 빛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