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immunostaining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오라 궁금한게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 제가 293 cell, HeLa cell, PC12 cell을 이용하여 immunostaining을 하려고 합니다. 헌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인터넷으로 protocol을 찾아봐도 처음하는 실험이라 그런지 도통 무슨 말인지....(--^) 그리고 cover slip에 cell을 키워 이를 washing하고 그러는 것 같던데 immunostaining을 하려면 어떻게 cell을 키워야 하며 fixing, staining 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실험과정에 대해 알고 싶어요.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아니 아는게 없네요... 이런... 그럼 빠르고 친절한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cell immunostaining
  • cover slip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제가 사용하는 protocol인데 한번 참고해 보시고 의문이 생기면 다시 질문 주세요... 알고나면 실험과정은 간단합니다. 그러나 데이타의 신뢰성을 따져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정이겠죠...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오라 궁금한게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 > >제가 293 cell, HeLa cell, PC12 cell을 이용하여 immunostaining을 하려고 합니다. > >헌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 >인터넷으로 protocol을 찾아봐도 처음하는 실험이라 그런지 도통 무슨 말인지....(--^) > >그리고 cover slip에 cell을 키워 이를 washing하고 그러는 것 같던데 immunostaining을 하려면 어떻게 cell을 키워야 하며 fixing, staining 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실험과정에 대해 알고 싶어요. >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아니 아는게 없네요... 이런... > >그럼 빠르고 친절한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제가 사용하는 protocol인데 한번 참고해 보시고 의문이 생기면 다시 질문 주세요... 알고나면 실험과정은 간단합니다. 그러나 데이타의 신뢰성을 따져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정이겠죠...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오라 궁금한게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 > >제가 293 cell, HeLa cell, PC12 cell을 이용하여 immunostaining을 하려고 합니다. > >헌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 >인터넷으로 protocol을 찾아봐도 처음하는 실험이라 그런지 도통 무슨 말인지....(--^) > >그리고 cover slip에 cell을 키워 이를 washing하고 그러는 것 같던데 immunostaining을 하려면 어떻게 cell을 키워야 하며 fixing, staining 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실험과정에 대해 알고 싶어요. >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아니 아는게 없네요... 이런... > >그럼 빠르고 친절한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우하나님의 답변

    기본적인 protocol은 web 상에서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벌써 구하셨을 수도 있고요.. 그런데 실제로 실험을 하다보면 protocol상에 나와있지 않은 tip들이 많죠. 제가 처음 실험할 때도 주변에 하시는 분이 없어 혼자서 prptocol 보고 하다가 얼토당토 않은 실수을 여러번 한 경험이 있거든요.. 우선 말씀하신 세포주 중에서요. HeLa는 coverslip에도 잘 붙고 paraformaldehyde로 fix하고 나면 여러번 washing 하여도 잘 떨어지지 않으니 처음 시도하기에 적당한 세포주인것 같고, 293은 coverslip에서 잘 떨어지는 편이예요, protocol에서 보면 아시겠지만 washing step이 꽤 많죠, 그래서 washing 할 때 주의가 더 필요합니다. 그러나 또 fixation 과정을 오래하면 형광염색 같은 경우 background로 노란 dot 같은게 많이 보이기 때문에 적절한 fixation 시간을 좀 조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c12는 suspension cell로 알고 있는데 맞죠? 그런 경우에는 coverslip에 고정하려면 cnetrifuge 방법을 쓰던지 하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보통 coverslip에 coating 해서 쓰는데, 제가 해 본 걸로는 HeLa같은 것은 coating없이도 잘 붙어요. well에 coverslip 깔고 그 위에 그냥 cell 깔아서 키우면 됩니다. coverslip도 크기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지금 랩이 아니라 치수는 정확히 모르겠어요) 사각형짜리는 6 well 정도 크기가 되어야 들어가고 작은 동그란 것은 12 well이면 됩니다. 실험하려는 well (보통 transfection 한다던지 시약처리하고 본다던지 할때요)에 coverslip 깔고서 cell 깔아서 실험하고 거기에 바로 fix하고 immunostaining 할 수도 있구요. coverslip만 건져서 따로 놓고(이건 직접 고안한 약간의 장치가 필요합니다-대신 ab를 적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할 수도 있어요. 처음이시라면 그냥 well에다가 하시는 것이 안전할 듯합니다. 아무리 말로 알려드려도 옆에서 하는 것을 직접 보지 않는한 trial & error를 좀 겪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기본적인 protocol은 web 상에서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벌써 구하셨을 수도 있고요.. 그런데 실제로 실험을 하다보면 protocol상에 나와있지 않은 tip들이 많죠. 제가 처음 실험할 때도 주변에 하시는 분이 없어 혼자서 prptocol 보고 하다가 얼토당토 않은 실수을 여러번 한 경험이 있거든요.. 우선 말씀하신 세포주 중에서요. HeLa는 coverslip에도 잘 붙고 paraformaldehyde로 fix하고 나면 여러번 washing 하여도 잘 떨어지지 않으니 처음 시도하기에 적당한 세포주인것 같고, 293은 coverslip에서 잘 떨어지는 편이예요, protocol에서 보면 아시겠지만 washing step이 꽤 많죠, 그래서 washing 할 때 주의가 더 필요합니다. 그러나 또 fixation 과정을 오래하면 형광염색 같은 경우 background로 노란 dot 같은게 많이 보이기 때문에 적절한 fixation 시간을 좀 조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c12는 suspension cell로 알고 있는데 맞죠? 그런 경우에는 coverslip에 고정하려면 cnetrifuge 방법을 쓰던지 하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보통 coverslip에 coating 해서 쓰는데, 제가 해 본 걸로는 HeLa같은 것은 coating없이도 잘 붙어요. well에 coverslip 깔고 그 위에 그냥 cell 깔아서 키우면 됩니다. coverslip도 크기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지금 랩이 아니라 치수는 정확히 모르겠어요) 사각형짜리는 6 well 정도 크기가 되어야 들어가고 작은 동그란 것은 12 well이면 됩니다. 실험하려는 well (보통 transfection 한다던지 시약처리하고 본다던지 할때요)에 coverslip 깔고서 cell 깔아서 실험하고 거기에 바로 fix하고 immunostaining 할 수도 있구요. coverslip만 건져서 따로 놓고(이건 직접 고안한 약간의 장치가 필요합니다-대신 ab를 적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할 수도 있어요. 처음이시라면 그냥 well에다가 하시는 것이 안전할 듯합니다. 아무리 말로 알려드려도 옆에서 하는 것을 직접 보지 않는한 trial & error를 좀 겪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