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1-05
org.kosen.entty.User@2915921f
오동현(dream91)
- 1
어떤 고분자의 solid contents를 a로 하여 b라는 두께의 필름을 얻었습니다. 이 고분자를 가교시켜 viscosity는 현저히 증가시켰으나, gelation문제로 농도를 a/2 정도로 줄일수 밖에 없었습니다.
viscosity는 a 농도의 고분자보다도 오히려 a/2의 가교된 고분자용액이 더 높습니다.
문제는 유사한 수준의 두께 b를 갖는 필름을 얻어야 합니다.
film의 thickness는 solid contents에만 연관된 값인가요? viscosity가 증가할대 film의 두께도 증가할까요?
film의 thickness와 viscosity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미리 감사드리겠습니다.
- fil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철종님의 답변
2006-01-06- 0
일반적으로 필름을 뜬 이후 후공정에서 열가교 혹은 UV 가교하게 되는데 원 모액을 가교시킨 후 필름을 뜨시려 하네요. 필름 뜬 후 가교하는 방법은 고려하지 않으신건지요. 필름뜬 후 가교가 불가능한 경우 경화가 진행된 용액을 코팅해야 한다면, 1) 필름의 두께가 solid content 에 영향받는 경우는 모액을 같은 두께로 코팅했을 경우에 그렇게 되겠죠. solid content 가 반으로 줄어서 두께가 얇아지는게 걱정된다면 더 두껍게 코팅하여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2) 필름의 점도가 높아져서 코팅이 어려운 경우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solvent 양 증가시켜 해결하는것도 방법이죠. 즉 solid content, 점도 와 film 두께의 상관관계는 coating head 를 잘 조절함으로써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예상치 못한 다른 문제들도 있겠죠. 경화되어 마이크로 도메인이 형성된 경우, 이 형성된 도메인이 과연 코팅 두께보다 얇을 것이냐, 광 산란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것이냐 등등... >어떤 고분자의 solid contents를 a로 하여 b라는 두께의 필름을 얻었습니다. 이 고분자를 가교시켜 viscosity는 현저히 증가시켰으나, gelation문제로 농도를 a/2 정도로 줄일수 밖에 없었습니다. > >viscosity는 a 농도의 고분자보다도 오히려 a/2의 가교된 고분자용액이 더 높습니다. > >문제는 유사한 수준의 두께 b를 갖는 필름을 얻어야 합니다. > >film의 thickness는 solid contents에만 연관된 값인가요? viscosity가 증가할대 film의 두께도 증가할까요? >film의 thickness와 viscosity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 >미리 감사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