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O emulsion중합에서요....임펠라 코팅현상(겔코팅)

안녕하세요... 고분자합성을 실험중인데요,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상당량의 겔이 생겨 임 펠라를 코팅하고 있습니다. 상당히 안 좋은 현상인데 왜 이런 임펠라 코팅현상이 생기나요? 반응기 닦기에도 상당히 안 좋습니다. 수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어쩔때는 겔형상이고 어쩔때는 비닐이거든요. 고수님들의 답변 바랍니다. 좋은 주말되세요.^^*
  • emuls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강종원님의 답변

    그렇다면 gelation이 일어난다면 원인이 어디에 있나요? 참고로 아크릴계 모노머와 DADMAC의 공중합입니다... 반응온도와 상관이 있나요?
    그렇다면 gelation이 일어난다면 원인이 어디에 있나요? 참고로 아크릴계 모노머와 DADMAC의 공중합입니다... 반응온도와 상관이 있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철종님의 답변

    아크릴계 단량체는 모노 아크릴레이트일거구요, DADMAC 는 이관능성 단량체이기 때문에 crosslinking agent 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고 때문에 DADMAC 분율에 따라 겔레이션 확률 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가, allyl group 은 라디칼 반응시 allyl radical 로 안정화 되어 일종의 chain transfer agent 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과량을 넣더라도 gellation 이 될 가능성이 적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안정한 allyl radical 이라 하더라도 온도나 다른 조건들에 의해 충분히 활성화 된다면 gellation 도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보니 온도가 높다면 gellation 될 가능성이 높아지는게 맞느것 같습니다.
    아크릴계 단량체는 모노 아크릴레이트일거구요, DADMAC 는 이관능성 단량체이기 때문에 crosslinking agent 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고 때문에 DADMAC 분율에 따라 겔레이션 확률 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가, allyl group 은 라디칼 반응시 allyl radical 로 안정화 되어 일종의 chain transfer agent 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과량을 넣더라도 gellation 이 될 가능성이 적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안정한 allyl radical 이라 하더라도 온도나 다른 조건들에 의해 충분히 활성화 된다면 gellation 도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보니 온도가 높다면 gellation 될 가능성이 높아지는게 맞느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철종님의 답변

    겔이 생성되는게 문제인지 임펠러에 코팅되는게 문제인지 모르겠는데, 임펠러에 코팅되는게 문제라면 임펠러 재질과 중합체간 친화력 때문에 그럴 개연성이 크니까 일단 랩 테스트로 테플론 임펠러 등으로 바꿔 보셔서 해결 여부를 확인해 보시구요, 그래도 해결이 안된다면 임펠러 재질에 대한 친화력 문제가 아니라 중합체의 겔 현상에 의한 것이니까 단량체중 멀티펑셔날 단량체 여부를 첫번째로 확인해 보셔야 할듯... (뜻하지 않게 불순물로 들어가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도 저도 아니라면 중합 순서를 잘 고려해 보세요. 가교 중합 방식이면 homogeneous 해 지기전에 중합이 막 진행되어 버리면 gellation 발생 가능합니다. 일단 중합 개시되기 직전까지 homogeneous 하게 만들어 놓는게 중요하겠죠 ^^ >안녕하세요... > >고분자합성을 실험중인데요,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상당량의 겔이 생겨 임 > >펠라를 코팅하고 있습니다. > >상당히 안 좋은 현상인데 왜 이런 임펠라 코팅현상이 생기나요? > >반응기 닦기에도 상당히 안 좋습니다. 수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어쩔때는 겔형상이고 어쩔때는 비닐이거든요. > >고수님들의 답변 바랍니다. > >좋은 주말되세요.^^*
    겔이 생성되는게 문제인지 임펠러에 코팅되는게 문제인지 모르겠는데, 임펠러에 코팅되는게 문제라면 임펠러 재질과 중합체간 친화력 때문에 그럴 개연성이 크니까 일단 랩 테스트로 테플론 임펠러 등으로 바꿔 보셔서 해결 여부를 확인해 보시구요, 그래도 해결이 안된다면 임펠러 재질에 대한 친화력 문제가 아니라 중합체의 겔 현상에 의한 것이니까 단량체중 멀티펑셔날 단량체 여부를 첫번째로 확인해 보셔야 할듯... (뜻하지 않게 불순물로 들어가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도 저도 아니라면 중합 순서를 잘 고려해 보세요. 가교 중합 방식이면 homogeneous 해 지기전에 중합이 막 진행되어 버리면 gellation 발생 가능합니다. 일단 중합 개시되기 직전까지 homogeneous 하게 만들어 놓는게 중요하겠죠 ^^ >안녕하세요... > >고분자합성을 실험중인데요,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상당량의 겔이 생겨 임 > >펠라를 코팅하고 있습니다. > >상당히 안 좋은 현상인데 왜 이런 임펠라 코팅현상이 생기나요? > >반응기 닦기에도 상당히 안 좋습니다. 수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어쩔때는 겔형상이고 어쩔때는 비닐이거든요. > >고수님들의 답변 바랍니다. > >좋은 주말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배영한님의 답변

    답변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1. 일반 액상 중합을 하시는지요 아니면 다른 에멀젼 중합이나 기타 다른 중합 방식을 사용하시는지요? 2. Acrylamide와 DADMAC을 co-polymer하시는 것 같은데 중합도의 차이가 커 block co-polymer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아는데 촉매는 무엇을 사용하시는지요?
    답변을 위해 필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1. 일반 액상 중합을 하시는지요 아니면 다른 에멀젼 중합이나 기타 다른 중합 방식을 사용하시는지요? 2. Acrylamide와 DADMAC을 co-polymer하시는 것 같은데 중합도의 차이가 커 block co-polymer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아는데 촉매는 무엇을 사용하시는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