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1-23
org.kosen.entty.User@352155fb
강민석(plus0806)
- 1
skd11,skd61, 하이스의
온도에 따른 경도변화와
(하이스만 못 찾았습니다.)
온도에 따른 부식정도를 알고싶습니다.
도표로 나와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사출기 부품으로 사용할 재료를 선정 중인데
열에 대한 경도와 부식성을 만족하는 재료를 찾고있습니다.
- skd11
- skd61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강형님의 답변
2015-03-04- 1
첨부파일
아마 원하시는 내용이 아래의 사이트에 소개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https://in.misumi-ec.com/contents/tech/press/2.html
그래프를 보시면 SKD11, SKD61, SKH51 세 강종에 대해 내피로성을 비교한 그래프도 있습니다.
온도에 따른 내산화성을 예측하는 것은 아마도 세 가지 강종이 큰 차이없이 유사하리라 예상합니다.
그러나 템퍼링 온도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므로 이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SKD11은 상온에서 냉간가공용 공구로 사용되기 때문에 템퍼링온도가 150-200℃로 낮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고온으로 템퍼링하여 인성을 향상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는 경도가 낮습니다.
그래프에서 SKD11 improved강은 상용 SKD11과는 다른 강종입니다.
SKD61, SKH51은 550-580℃ 온도에서 템퍼링하여도 경도가 높도록 고온강화 원소가 많이 첨가된 강입니다.
이런 강종에 대해 내산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용온도에 따라서 200-300℃까지는 얇게 크롬도금(시간이 길어지면 고경도로 인해 수소취성발생으로 표면에 균열 발생)을 하여 사용하거나 템퍼링시 질화처리를 겸하거나 TiN, TiC, TiAlN, CrN 등을 PVD로 코팅하는 방법을 택합니다.
단순히 내식성만 가지면 경도가 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내식성과 고경도를 만족하는 코팅으로 처리해야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아래는 SKD61종의 플라즈마침탄질화에 의해 내산화성 개선에 관한 논문입니다.
http://www.jmst.org/EN/abstract/abstract8248.shtml
인사가 늦었습니다. 많은 도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