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3-09
org.kosen.entty.User@4da7a533
강진식(kjs761212)
- 2
안녕하십니까.
기계과에서 피로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퀜칭,템퍼링한 0.5%탄소강의 결정립을 보기위한 에칭방법을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열처리한 탄소강의 경도는 550Hv정도입니다.
제가 현재하고 있는 시험은 열처리한 탄소강을 어느정도의 인장하중을 가하여 표면에 미소 균열을 발생시킨 후 피로 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인장하중 시 미소균열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에서 발생하는지,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경계에서(결정립내에서) 발생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결정립이 보이도록 에칭을 한 후 인장하중을 가하여 발생한 균열을 관찰하면 입계균열인지 입내균열인지 알 수 있을서 같아, 에칭을 하였지만,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구별은 되지만 결정립(오스테나이트의)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결정립을 보기위한 에칭방법이 있을거 같은데, 자세한 정보를 구하기 힘드네요. 에칭액 제조 방법과 에칭방법(에칭시간 등)을 알고 싶습니다.
- 0.5% carbon steel
- etching
- crack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형연님의 답변
2006-03-15- 0
탄소강의 일반적인 부식에는 질산 1-10%정도의 Nital을 사용합니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대해서는 소위 '왕수'-염산:54%, 질산:8%, 물:38%-를 많이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탄소강은 급냉시키면 마르텐사이트가 발생합니다. 질문에서 오스테나이트라 하면 무엇을 지칭하는지 모호하지만 Prior austenite의 입계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5g FeCl3 + 5 drops HCl + 100mL Water를 사용해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표면조직을 잘 관찰하기 위해서는 replica(표면복제) 과정의 grinding-polishing에서의 상당한 숙련 뿐만아니라 에칭액의 정확한 선정/제조 및 에칭시간의 적절한 선정이 요구됩니다. 표면손상 및 조직 관찰을 위한 replica에 관한 사항은 한국표준연구원의 안전계측연구센터 강도평가그룹(042-868-5382,parkjs@kriss.re.kr)이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기계과에서 피로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칭,템퍼링한 0.5%탄소강의 결정립을 보기위한 에칭방법을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열처리한 탄소강의 경도는 550Hv정도입니다. >제가 현재하고 있는 시험은 열처리한 탄소강을 어느정도의 인장하중을 가하여 표면에 미소 균열을 발생시킨 후 피로 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인장하중 시 미소균열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에서 발생하는지,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경계에서(결정립내에서) 발생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결정립이 보이도록 에칭을 한 후 인장하중을 가하여 발생한 균열을 관찰하면 입계균열인지 입내균열인지 알 수 있을서 같아, 에칭을 하였지만,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구별은 되지만 결정립(오스테나이트의)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결정립을 보기위한 에칭방법이 있을거 같은데, 자세한 정보를 구하기 힘드네요. 에칭액 제조 방법과 에칭방법(에칭시간 등)을 알고 싶습니다. > -
답변
황병철님의 답변
2006-09-19- 0
>안녕하십니까. >기계과에서 피로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칭,템퍼링한 0.5%탄소강의 결정립을 보기위한 에칭방법을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열처리한 탄소강의 경도는 550Hv정도입니다. >제가 현재하고 있는 시험은 열처리한 탄소강을 어느정도의 인장하중을 가하여 표면에 미소 균열을 발생시킨 후 피로 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인장하중 시 미소균열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에서 발생하는지,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경계에서(결정립내에서) 발생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결정립이 보이도록 에칭을 한 후 인장하중을 가하여 발생한 균열을 관찰하면 입계균열인지 입내균열인지 알 수 있을서 같아, 에칭을 하였지만, 마르텐사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구별은 되지만 결정립(오스테나이트의)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결정립을 보기위한 에칭방법이 있을거 같은데, 자세한 정보를 구하기 힘드네요. 에칭액 제조 방법과 에칭방법(에칭시간 등)을 알고 싶습니다. > 0.5% 탄소강은 중탄소강으로 ?칭하고 템퍼링하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됩니다. 오스테나이트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에칭하는 방법으로는 질산 100에 에탄올을 3-5 정도 부피비로 섞어 만든 3~5%의 나이탈 용액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 때 관찰되는 것은 경계는 마르텐나이트의 결정립이라 하는 것이 아니고 'packet(패킷)'이라 하고, 그 크기를 martensite packet size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