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3-11
org.kosen.entty.User@389eb530
조주웅(afkll)
- 2
한국물리학회의 KPSTeX2를 사용할려고 합니다.
KPSTeX2를 쓰기 위해서는 LaTeX2e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REVTeX4를 설치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TeX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1. LaTeX2e의 설치
2. 한글 LaTeX의 설치
3. REVTeX4의 설치
4. KPSTeX2의 설치
KPSTeX2 위의 4가지를 설치 해야고 한다고 합니다.
한국물리학회의 Tex 관련 추가 링크가 폐쇄되었기 때문에, 위의 4가지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는 곳이나, 싸이트 및 설치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문의 드립니다...
- tex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06-03-12- 0
요즈음 아직도 LaTeX를 사용하시는군요. 외국에서는 아직도 TeX로 논문을 받는 곳이 있습니다만 국내에서는 한글이나 윈워드로 논문을 받기 때문에 사이트가 폐쇄되었을 겁니다. 그리고 KISTI에서 각 학회에 무료로 논문투고사이트를 설치해주기 때문에 LaTeX로 논문을 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각 나라에서는 동호회에서 LaTeX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KTUG에서 취급하고 있으므로 한글로 된 정보는 여기에서 원하는 주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에서 찾을 수 없다면 한글로 된 정보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KTUG: www.ktug.or.kr 최근에 여기에서 CD로 설치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있는데 저는 하나 무료로 얻었습니다. 영문으로는 TUG나 CTAN 같은 사이트에 정보가 있습니다. TUG: www.tug.org 만약 LaTeX를 Linux나 Unix에서 WYSWYG 기능이 되는 프로그램을 찾으시려면 Lyx를 이용하십시오. Lyx: www.lyx.org LaTeX 관련 프로그램 사이트들이 이용자의 급감으로 폐쇄가 되는 곳이 많습니다. 물론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무료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 설치방법 --------------------------------------- * 한글판은 설치용 CD가 있으므로 다운로드 받거나 CD를 얻어 설치하는 방법대로 하면 됩니다. * 영문판: 한글 사용 1. MikTeX를 설치해야 하는데, 윈도우즈용 인스톨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돌리면 2. 관련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것인가를 묻습니다. (최소, 중간, 모두) 셋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3. 다운로드 사이트를 결정합니다. 한국에 있는 KTUG 사이트를 선택하십시오. 4. 나중에 인스톨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고 다운로드가 아니라 설치를 선택하고 소스는 다운로드한 하드디스크를 선택합니다. (물론 처음부터 막바로 인터넷에서 소스를 선택하여 인스톨해도 됩니다) 5. 설치가 끝나면 패키지 선택을 합니다. 관련 패키지는 LaTeX를 실행할 때 \usepackage에 따라 자동으로 소스에서 선택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수동으로 패키지 메니저를 작동해야 합니다. 6. Ghostview와 Ghostscript(PS) 설치: 윈도우즈상에서 DVI를 보려면 두 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당연히 무료로 공급하고 있으니까 관련 사이트에서 찾아 설치합니다. 7. 한글패키지 설치: 작은 한글폰트와 큰 한글폰트 설치 버젼이 있으므로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옛날에는 일일이 손으로 했지만 지금은 영문판 MiKTeX가 있으면 알아서 자동으로 설치해줍니다. 8. 에디터 프로그램: 예전에는 Emacs를 많이 사용했으나 지금은 WinEdt를 사용합니다. shareware고 곳곳에서 크랙버전이 돌고 있으므로 찾기 쉽습니다. 프로그램 자체가 설치된 LaTeX프로그램과 PS 프로그램을 찾아줍니다. 한글은 전각을 사용해야 하므로 프로그램이 약간 헉헉입니다. 한글용 에디터 프로그램들 중에서 LaTeX를 지원하는 것들이 몇개 있습니다. 9. 편집 관련 프로그램들은 해당 사이트에서 그냥 다운로드시켜줍니다. 예를들어, REVTeX는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패키지로 설치하고 나중에 LaTeX의 패키지 관리자로 들어가 업데이터를 해줍니다. AMSTeX는 MiKTeX를 설치할 때 자동으로 설치가 되기 때문에 별다른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필요한 부분은 KTUG 게시판에 가면 설치요령과 이용방법에 대하여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Search를 하면 원하는 답은 거의 다 있습니다. -
답변
오동화님의 답변
2006-03-13- 0
> > > >한국물리학회의 KPSTeX2를 사용할려고 합니다. >KPSTeX2를 쓰기 위해서는 LaTeX2e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REVTeX4를 설치해야 한다고 합니다. > >그러므로, TeX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 >1. LaTeX2e의 설치 >2. 한글 LaTeX의 설치 >3. REVTeX4의 설치 >4. KPSTeX2의 설치 > >KPSTeX2 위의 4가지를 설치 해야고 한다고 합니다. > >한국물리학회의 Tex 관련 추가 링크가 폐쇄되었기 때문에, 위의 4가지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는 곳이나, 싸이트 및 설치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문의 드립니다... > > > > > > > 예전에 김강수씨가 운영하던 사회과학을 위한 TeX페이지와 조환진씨가 운영하던 ChoF 페이지가 KTUG page(http://www.ktug.or.kr)로 합해졌습니다. 근데 한국물리학회의 링크는 바뀌지 않았군요. 1.LaTeX설치 LaTeX은 Windog의 경우 MIKTEX(www.miktex.org)을 쓰면 되겠고 Linux에서라면 teTeX(www.tug.org/tetex)을 쓰면 되겠습니다. 2.HLaTeX설치 한국물리학회의 KPSTEX은 HLaTeX을 기반으로 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HLaTeX은 http://project.ktug.or.kr/hlatex/에서 내려 받을 수 있는데 조심할것이 이놈의 글자코딩이 완성형입니다. 그래서 Windog에서 쓰신다면 틀림없이 UTF에서 완성형으로 code converting이 필요할텐데 제가 Windog을 쓰지 않기 때문에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하는지 모릅니다. Linux에서라면 iconv를 쓰면 됩니다. 3.REVTEX및 KPSTEX설치 REVTEX과 KPSTEX은 KPS홈페이지에 있는 link가 유효합니다. 즉, REVTEX은 http://publish.aps.org/revtex4/에서 KPSTEX은 http://www.kps.or.kr/home/kor/journal/KPSTeX2/KPSTeX2b2.zip에서 내려받으시면 되겠습니다.